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0 01:57:44

양현민(프로게이머)


{{{#!wiki style="margin:-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C50F1><tablebgcolor=#0C50F1> 파일:DN 프릭스 로고 화이트.svgDNF Challengers
2025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colbgcolor=#0C50F1><colcolor=#fff> 감독 [[정명훈(e스포츠)|정명훈
FanTaSy
]]
코치 [[손민혁|손민혁
Punch
]] | [[양현민(프로게이머)|양현민
Minit
]]
로스터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정흠|한정흠
Lancer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방문영|방문영
DDoiV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종혁(2004)|이종혁
Pungyeon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진영(프로게이머)|김진영
Slayer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손정환(프로게이머)|손정환
Quantum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민우(프로게이머)|강민우
Minous
]]
1군 로스터
LCK CL 참가팀 로스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8dd9b> 파일: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 로고.svgAsia Star Challengers
Invitational

역대 준우승자
}}} ||
{{{#!wiki style="color: white;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시즌 준우승팀 포지션별 선수 감독 및 코치
파일:TOP_icon_black.png
TOP
파일:JGL_icon_black.png
JGL
파일:MID_icon_black.png
MID
파일:ADC_icon_black.png
BOT
파일:SUP_icon_black.png
SPT
파일:SUB_icon_black.png
SUB
파일:Coach_icon.png
COACH
<colbgcolor=#08dd9b><rowcolor=#5fa7cf> 2022 파일:MAX_logo_square.png 파일:중국 국기.svg
Garvey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KennyChan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Medzz
파일:중국 국기.svg
Xiaguang
파일:중국 국기.svg
XinMo
- 파일:중국 국기.svg
SLJ
파일:중국 국기.svg
XiaoLv
<rowcolor=#5fa7cf> 2023 파일:중국 국기.svg
Garvey
파일:중국 국기.svg
moyan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Medzz
파일:중국 국기.svg
Such
파일:중국 국기.svg
Vinay
파일:중국 국기.svg
Crush3
파일:대만 국기.svg
AFei
파일:중국 국기.svg
QiuQiu
<rowcolor=#5fa7cf> 2024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파일:광동 프릭스 로고 화이트.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anc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ourag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ungye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ul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Quantu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aeyo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ub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inou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init
}}}}}}}}}
<colbgcolor=#0C50F1><colcolor=#fff>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nopad> 파일:KDF Minit 2024.png
DNF Challengers 코치
Minit
[1]
양현민 (Yang Hyeon-min)
출생 1998년 2월 3일 ([age(1998-02-03)]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D Minit #0203 #
포지션 서포터
소속
[ 펼치기 · 접기 ]
HOU Gaming(2018.04.27 ~ 2018.05.04)
KONGDOO MONSTER
(2018.06.03 ~ 2018.11.04)
GC Busan Rising Star
(2018.12.13 ~ 2019.01.14)
VSG
(2018.12.13 ~ 2019.09.30)
hyFresh BLADE
(2020.01.30 ~ 2020.11.03)
KDF Challengers
(2021.01.06 ~ 2022.11.21)
All Knights
(2022.12.06 ~ 2023.05.18)
DNF Challengers 코치[2]
(2023.11.21 ~ 2025.05.09)
DN FREECS 코치
(2025.05.09 ~ 2025.09.01)
DNF Challengers 코치
(2025.09.01 ~ 2026.11.16예정)
에이전시 쉐도우코퍼레이션[3]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DN 프릭스 챌린저스 코치. 선수 시절 포지션은 서포터.

2. 수상 경력

준우승 기록
2021 LCK Challengers League Summer 준우승
HLE Challengers AF Challengers NS Challengers

3. 플레이 스타일

팀의 메인 오더와 운영 지휘를 담당하며, 다양한 챔프폭을 소화해내지만 기복이 좀 있다는 게 단점. 나이가 2군에서도 가장 많지만 경험 역시 풍부해 고점이 뜰 때는 탈 2군급 실력을 가졌다고 평가받는 반면 저점이 뜰 때는 심히 부진하기도 한다.

4. 선수 경력

4.1. 2018 시즌

HOU Gaming이 챌린저스 코리아 승격에 실패해 팀에 나왔고 얼마 안지나 콩두 몬스터에 입단하게 되었다. X가 다소 불안한 모습을 보여줄때가 있었지만 교체 출전기회는 주어지지 않았고 리그 한 시즌을 한경기도 나오지못하고 스플릿 내내 벤치만 달궜다.

4.2. 2019 시즌

4.2.1. 2018 LoL KeSPA Cup

미닛이 전에 소속이었던 콩두 몬스터 연습생인 무와 함께 처음으로 대회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16강 MVP와의 경기에서 라칸, 탐 켄치를 뽑아 좋은 모습을 보여줬다. 1라운드 8강 진에어전에서는 상체 라인이 휘둘리는 와중에서도 무와 함께 상대 바텀을 박살내고 잘 큰 무를 잘 보좌하면서 승리에 큰 기여를 했다. 하지만 2라운드 8강 KT와의 경기에서는 경험 부족과 체급 차이를 이겨내지 못하고 0:2로 패배했다.

4.2.2. 2019 제닉스 LoL Challengers Korea Spring

리그 초반 무와 함께 케스파컵에서 보여주었던 상대를 찍어누르는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아수라경기 이후부터 10명모두 콜이 안맞는건지 2연패를 하게되었다. ESS전에서는 무가 아닌 베리타스와 선발출전하게 되었는데 바텀은 반반아니면 우세한 구도를 가져왔지만 탑의 부진을 막지못해 0:2로 패배하였다.

2라운드에서는 베리타스-퓨어에게 주전자를 뺐겼지만 가끔식 교체출전해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곤 한다.

플레이오프 결승전에서 2세트때 교체출전했는데 초중반은 상대를 압도했지만 후반 한타에서 상대 징크스를 막지 못해 역전패 당하고 벤치로 다시 퓨어로 교체되고 벤치로 들어갔다.

4.2.3. 2019 제닉스 LoL Challengers Korea Summer

단 한 경기만 출전하고 서머시즌 내내 벤치만 달궜다.

4.3. 2020 시즌

4.3.1. 2020 LoL Challengers Korea Spring

VSG에 나오고 브리온 블레이드로 이적됐다. 후보 없이 풀로 주전을 뛰어야 하는 상황. VSG에서 서브 자리만 달궈서 불안하다는 얘기가 나왔지만 스플릿 내내 기대 이상으로 좋은 모습을 보여줬다. 헤나-할로우와의 호흡 시너지도 잘 뽑아내고 중후반 게임 운영과 이니시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었다. 챌린저스 코리아 서포터들 중에서 KDA 1위[4]킬 관여율 1위라는 높은 지표를 보여줬다.
플레이오프에서는 1세트 때 쓰레쉬를 뽑아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승리에 일조했지만 2, 3세트에서는 후반 집중력 차이 때문에 패배했고 4세트에서는 상대 원딜의 캐리를 허용해버렸다.

4.4. 2021 시즌

4.4.1. LCK 스토브리그/2020

브리온 블레이드에서 나온 뒤 2021년 1월 6일 아프리카 프릭스 2군에 입단했다.

4.4.2. 2021 LCK Challengers League Spring

1라운드에 맵씨가 꾸준히 선발 출장하면서 나오지 못했으나, 그가 콜업된 이후 2라운드에서부턴 주전으로 올라섰다. 그러나 팀은 2R 담원전 승리 이후 또 다시 극도의 부진 끝에 2승 16패라는 실로 처참한 성적표를 받았고 그 와중에 미닛 본인도 팀의 부진에 휩쓸린 채 별다른 모습은 보여주지 못했다. 그나마 막장 팀 내에서 던지지는 않았다 정도.

4.4.3. 2021 LCK Challengers League Summer

이후 팀이 재구성되는 와중에도 케이니, 발키리와 함께 살아남았고 농심 레드포스 2군 출신의 이 영입되면서 파트너가 한 명 더 늘었다.

첫 경기인 T1전에서 새 파트너인 불과 함께 출전해 칼리스타 - 니코 조합이라는 강수를 꺼내들었지만, 초반 바텀에서 킬을 내준 것을 시작으로 여러 스킬 실수까지 선보이는 등 낮은 숙련도만 드러내면서 팀 패배의 주범으로 전락했다.

다음 경기인 리브 샌드박스 전에서는 노틸러스로 전 경기보다 더 안정화된 모습을 보여줬다. 그러나 중간중간 닻을 허공에 난사한다든지 한타 때 급발진해 들어가 먼저 산화하는 등 집중력이 흐려진 듯한 모습이 나온 것은 옥의 티. 파트너인 불 역시 불안불안한 모습이 있는 만큼 더욱 안정적으로 플레이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그런데 한화생명전에서 레오나로 공격적인 이니시 에이팅을 선보이며 팀 승리에 큰 공을 세웠다. 한타 때마다 궁극기도 적절히 쓰고 초시계를 활용한 어그로 핑퐁도 선보이는 등 폼을 끌어올렸다.

젠지전에서는 전반적인 체급차로 패하는 동안 본인도 별다른 모습은 보여주지 못했다.

이후에는 팀의 상승세를 보좌하며 자신의 기량을 마음껏 펼치고 있다.

플레이오프와 결승전에서도 전반적으로 좋은 모습을 보여줬지만 아쉬운 장면들도 몇번 있었고, 팀은 젠지의 단단함을 뚫어내지 못한 채 아쉽게 준우승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 '모함' 정재훈이 팀에 합류하며 주전 경쟁을 벌이게 됐다. 아마 중간 중간 노출된 불안정성으로 인한 영입인 듯하다.

4.5. 2022 시즌

4.5.1. 2022 LCK Challengers League Spring

일단은 주전에 팀 성적도 좋지만 5주차 이후 맵씨의 센드다운으로 주전 경쟁을 벌였고 4라운드 들어서 3인 돌림판을 돌리고 있다. 올해 좋은 모습을 못 보인다면 나이 때문에 더 이상 1군 승격의 기회는 물론 2군에서도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시즌 후반까지 나름대로 괜찮은 모습을 보이면서 모함과 함께 1군 승격 기회를 제대로 잡았다는 평. 호잇이 점점 좋아지긴 했지만 기복이 크기도 했고.

그러나 호잇의 기량이 본 궤도에 올라오면서 1군에 승격하지 못한 채 시즌을 마무리했다.

4.5.2. 2022 LCK Challengers League Summer

서머에는 오히려 더 악화된 탑솔러 일리마의 기량과 팀 적 기복으로 인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팀은 결국 8위로 멸망하며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시즌 종료 후 11월 21일 팀과 계약이 종료됐다. 이후 IG 감독 출신인 김가람, TCL의 NASR ESPORTS에서 뛰던 이재엽과 함께 LLA의 올 나이츠에 입단하며 커리어 처음으로 해외 진출을 하게 됐다.

5월 18일에 올나이츠와 계약이 종료돼 팀을 나갔다.

5. 지도자 경력

5.1. DN 프릭스 & DN 프릭스 챌린저스

6개월 간 휴식기간을 거쳐 11월 20일에 가장 오래 몸담았던 광동의 2군 코치로 복귀했다. 새로이 영입된 큐브 코치와 함께 호흡을 맞추며 이후 광동이 짜임새 있는 조직력과 탈 2군급 운영으로 호성적을 기록하면서 큐브와 미닛의 코칭에 대한 평가도 올라갔다.

2024년 서머 최종순위 3위와 ASCL 준우승이라는 호성적을 기록했으며, 2025 시즌에는 전년도에 안딜의 예기치 못한 질병 이슈로 인해 1군으로 오랜 기간 불려가서 성장기를 놓친 퀀텀의 성장에 일조해서 퀀텀이 챌린저스 최상위권 서폿으로 발돋움하는 데 도움을 주면서 DN 프릭스 챌린저스의 호성적에 일조하고 있었으나 정작 1군이 희대의 재앙 감독으로 판별되어버린 빠른별과 역량 부족의 펀치 코치 듀오의 합작으로 개박살이 나자 5월자로 개박살난 1군을 구원하기 위해 펀치가 2군으로 내려가는 동시에 큐브 코치와 동시에 1군으로 콜업되었다.[5]

이후 1군의 피드백 담당 코치로 활약하였으나 이미 박살난 팀을 살려내지는 못했다. 그래도 능력을 인정받아 오딘의 총감독 부임 이후 오딘을 보좌하는 코치로서 시즌 종료까지 1군과 함께 했다.

1군이 굴욕의 시즌 조기 종료를 맞이한 후, DN 프릭스 챌린저스가 트라이얼 그룹 3위로 간신히 플레이인에 진출하자 챌린저스의 구원 투수로 재파견되어 DN 프릭스 챌린저스가 저력을 되찾는 원동력이 되었다.

6. 여담


[1] 前 Umaru[2] 팀명 변경: KDF Challengers → DNF Challengers, 2024년 12월 26일[3] 출처[4] 전체에서는 KDA는 2위 1위는 상윤[5] DNF 챌린저스는 큐브, 미닛 듀오가 함께할 때 2군 최강팀 반열인 kt 롤스터 챌린저스DRX Challengers 바로 다음의 3위를 기록하고 있었으나, 펀치의 센드다운 이후 팀이 박살나서 6연패 후 5위 Gen.G Global Academy와 단 1승 차이로 트라이얼 그룹에 입성하고 말았고, 이로 인해 4라운드 이전에 판타지가 2군 감독으로 내려온 후에야 간신히 약간의 안정을 되찾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