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0> | 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 | |
가이아나 | 과들루프 | 과테말라 | 그레나다 | |
| | | | |
니카라과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마르티니크 | |
| | | | |
멕시코 | 몬트세랫 | 미국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
| | | | |
바베이도스 | 바하마 | 버뮤다 | 벨리즈 | |
| | | | |
보네르 | 생마르탱 | 세인트루시아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
| | | |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수리남 | 신트마르턴 | 아루바 | |
| | | | |
아이티 | 앤티가 바부다 | 앵귈라 | 엘살바도르 | |
| | | |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온두라스 | 자메이카 | 캐나다 | |
| | | | |
케이맨 제도 | 코스타리카 | 쿠바 | 퀴라소 | |
| | | |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푸에르토리코 | |
|
프랑스령 기아나 |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0b4b99> | 카리브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wiki style="color:#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 | | | | | | | |
앵귈라 | 도미니카 공화국 | 푸에르토리코 | 앤티가 바부다 | 프랑스령 기아나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아루바 | 그레나다 | |
| | | | | | | | |
세인트루시아 | 바하마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바베이도스 | 가이아나 | 과들루프 | 생마르탱 | 버뮤다 | |
| | | | | | | | |
보네르 | 아이티 | 신트마르턴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자메이카 | 수리남 | 케이맨 제도 | 마르티니크 | |
| | | | | | | ||
트리니다드 토바고 | 쿠바 | 몬트세랫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도미니카 연방 | 퀴라소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 |
|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 |
British Virgin Islands national football team | |
<colbgcolor=#fff200> 정식명칭 | British Virgin Islands national football team[1] |
FIFA 코드 | VGB |
협회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축구 협회 (BVIFA) |
연맹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CONCACAF) |
지역연맹 | 카리브 축구 연맹 (CFU) |
감독 |
크리스 키워먀 (Chris Kiwomya) |
주장 | 트로이 시저 (Troy Caesar) |
최다출전자 | 트로이 시저 (Troy Caesar) - 30경기 |
최다득점자 | 애번데일 윌리엄스 (Avondale Williams) - 5골 |
홈 구장 | AO 셜리 레크리에이션 그라운드 (A.O. Shirley Recreation Ground, 3,000석) |
첫 국제경기 출전 | VS 케이맨 제도 (1:2 패), 세인트 키츠 네비스 바스테르 (1991년 5월 10일) |
최다 점수차 승리 | VS 푸에르토 리코 (5:0 승), 아이티 포르토프랭스 (1999년 3월 19일) VS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5:0 승),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로드타운 (2004년 1월 30일) |
최다 점수차 패배 | VS 도미니카 공화국 (0:17 패), 도미니카 공화국 산크리스토발 (2010년 10월 14일) |
별칭 | The Nature Boyz (네이처 보이즈) |
FIFA 랭킹 | 208위 (2025년 9월 18일 기준 / #) |
Elo 랭킹 | 228위 (2025년 8월 30일 기준 / #) |
유니폼 | 홈 | 어웨이 |
상의 | 초록 | 노랑 |
하의 | 검정 | 노랑 |
양말 | 검정 | 노랑 |
1. 개요
홈구장은 AO 셜리 레크리에이션 그라운드, 감독은 크리스 키워먀, 대표팀 별칭은 네이처 보이즈(The Nature Boyz), 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160위[2], 최저 순위는 209위[3]이며 2025년 4월 현재 FIFA 랭킹은 207위이다.2. 상세
아직까지 월드컵과 골드컵 본선에 출전한 기록은 없으며 축구계에서는 최약체이자 변방으로 손꼽히는 팀들 가운데 하나로 대표팀 구성은 최약체답게 국내팀 소속 선수 절반, 잉글랜드 아마추어 리그 소속, NCAA 소속 선수, 미국의 하부 리그인 프리미어 사커 리그 소속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다.워낙 선수풀이 적은 만큼 어린 선수가 매우 많이 뽑히는데 대표적으로 최다 득점자 타일러 포브스는 2002년생, 불가리아 태생인 몸칠 요르다노프는 2007년생이다.
그리고 비교적 흥미로운 기록이 하나 있는데 2010년 FIFA 월드컵 참가국(지역예선 포함) 가운데 유일하게 출전 경기에서 패배 기록이 없는 팀[4]이라는 이색적인 기록을 남겼다.
특히 1차 예선에서 같은 최약체팀인 바하마를 상대로 예선 1·2차전[5] 합계 3:3으로 비겼음에도 불구하고 원정 다득점에 의해 탈락하긴 했지만 2010년 대회에서 유일하게 패배를 기록하지 않은 팀으로 기록되었다.
2025년 4월 FIFA 랭킹은 207위이며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아디다스이다.
현재까지 영국령 버진아일랜드가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국제 대회로는 대표적으로 2023-24년 CONCACAF 네이션스리그 C로 손꼽히며 4경기 1승 2무 1패로 도미니카 연방에 이어 C조 2위를 기록했다.
CONCACAF 네이션스 리그/2024-25 시즌에서는 리그 C 전패 최하위를 기록했다.
3. 역대전적
3.1. FIFA 월드컵
3.2. 골드컵
연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엘살바도르 1963 | 불참 | |||||||
과테말라 1965 | ||||||||
온두라스 1967 | ||||||||
코스타리카 1969 | ||||||||
트리니다드 토바고 1971 | ||||||||
아이티 1973 | ||||||||
멕시코 1977 | ||||||||
온두라스 1981 | ||||||||
개최국 없음 1985 | ||||||||
개최국 없음 1989 | ||||||||
미국 1991 | 예선 탈락 | |||||||
미국/멕시코 1993 | ||||||||
미국 1996 | 기권 | |||||||
미국 1998 | 예선 탈락 | |||||||
미국 2000 | ||||||||
미국 2002 | ||||||||
미국/멕시코 2003 | ||||||||
미국 2005 | ||||||||
미국 2007 | 기권 | |||||||
미국 2009 | 예선 탈락 | |||||||
미국 2011 | ||||||||
미국 2013 | ||||||||
미국/캐나다 2015 | ||||||||
미국 2017 | ||||||||
미국/자메이카/코스타리카 2019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1] 영어[2] 2000년 3월 15일 ~ 4월 11일(1차, 1개월), 2002년 8월 14일 ~ 12월 17일(2차, 4개월), 총합 약 5개월[3] 2022년 3월 31일 ~ 2023년 7월 19일(1년 4개월)[4] 대회 우승국이었던 스페인도 조별 리그 1차전에서 스위스에게 0:1 패배를 당했고, 준우승국 네덜란드는 예선부터 결승까지 무패 행진이었지만 스페인에게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그리고 본선 한정 유일하게 패배 기록(0승 3무 0패, 조 3위로 탈락)이 없던 뉴질랜드 또한 오세아니아 예선 경기에서 피지를 상대로 비주전 선수들을 내보냈다가 0:2 패배를 기록한 적 있었다.[5] 심지어 이 예선은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의 축구장 시설이 열악했다는 이유로 모든 경기를 바하마에서 치르는 것으로 진행했었다. 1차전은 바하마 홈, 2차전은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홈인것으로 간주하고 예선을 치렀다.[6] 북중미 1차예선에서 도미니카 연방을 만나 합산 스코어 2:3으로 탈락했다.[7] 북중미 1차예선에서 엘살바도르, 몬트세랫, 앤티가 바부다, 그레나다와 함께 A조에 편성되었으며 앤티가 바부다에 0:3, 그레나다에 0:1, 몬트세랫에 0:4, 엘살바도르에 0:7로 패하며 골 한번 넣어보지 못하고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