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6 07:51:22

오트론 TV스포츠


1세대 콘솔 게임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조사 게임기 이름
마그나복스/필립스 마그네복스 오디세이 마그나복스 오디세이 시리즈(전용 게임기)
파일:아타리 로고.svg 비디오 핀볼
파일:콜레코 로고.svg 콜레코 텔스타 시리즈
파일:에폭 로고.svg 테레비 테니스 테레비 블록 시스템 텐 테레비 야구 테레비 베이더
파일:토미 로고.png 테레비 펀 시리즈
파일:닌텐도 흰색 로고 (빨간색 배경).svg 컬러 TV 게임
파일:반다이 로고.svg 테레비 잭 시리즈
오림포스전자 오트론 TV스포츠
각 세대별 콘솔 게임기 둘러보기
1 | 2 | 3 | 4 | 5 | 6 | 7 | 8 | 9
}}}}}}}}} ||
파일:attachment/오트론/image.jpg
저 사진은 첫 모델 후에 나온 7800 모델 광고

1. 개요

한국의 첫 비디오 게임 거치형 게임기. 풀네임은 "오트론 텔레비전 스포츠"이다.

1976년[1]에 발매되었는데, 2만원 가까운 가격[2]은 2020년 기준 돈으로 70~80만원 정도로 상당히 비싼 물건이었다.[3] 제조/판매원은 당시 한국 디지털 손목시계 전문 회사인 '오림포스전자(오트론)'이다. 미국산 게임기인 을 카피한 물건으로 게임의 구성도 똑같다.

2. 상세

텔레비전에 연결하는 콘솔인데, 당시 TV에는 외부입력단자가 전혀 없다.[4] 그래서 두 갈래로 나눠진 안테나선을 텔레비전의 안테나 단자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콘솔과 TV를 연결한다.[5]

카트리지나 디스크 따위를 교체하는 방식이 아니라 게임 콘솔에 내장된 대여섯가지 게임이 전부다. 콘솔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게임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과 똑같은 게임인 "테니스"와 그 아종인 축구와 스쿼시 등을 플레이할 수 있다. 참고로 위의 광고 사진에서 콘솔 앞에 놓인 조종장치는 퐁 등의 게임의 플레이를 위한 단축(Y축 이동만 가능) 조종기로서 "패들"이라 불리는 물건이다. 오디오 등의 볼륨조절용 놉을 생각하면 이해가 될 것이다.

고급형의 경우 여기에 "사격" 게임도 있는데, 콘솔에 라이플(실제로는 광센서)을 연결하여 화면에 움직이는 표적을 쏴 맞추는 클레이 사격 게임이다.

1970년대 중반에는 간이 RC 자동차인 "제미니 전자완구"[6]와 더불어 어린이들이 모두 탐내던 꿈의 아이템이었다.[7] 물론 그 당시 저 제품을 동전을 넣고 플레이하게 만들어서 유원지나 다방, 당구장 등의 업소에 비치해 저것으로 경험해 본 사람들이 있다.[8]
[1] 광고지에 나온 전화번호 중 서울 26, 75국은 70년대 후반 3자리 국번으로 변경되었다. 광고지가 만들어진 시기를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1976년 12월 동아일보에서 최초로 언급이 되었다. 많은 수의 검색 결과에서는 1978년 발매로 되어 있지만, 중앙일보에 의하면 늦어도 1977년 12월 20일 기사에서 이미 해외 수출 중인 물건으로 언급되고 있다.[2] 처음 나온 모델의 가격은 29,500원이었다. 광고에 있는 물건은 인플레이션 이후 가격대가 낮아지며 2만원대에 나온 7800 모델이다.[3] 1970년대는 인플레이션이 매우 심해서 중반과 후반이 다르다. 1975년 당시 서울 강남의 민영아파트 분양가는 평당 30만원이다. 참고로 1970년대 후반 신문 배달 알바의 월급이 2만원 정도였다.[4] 흑백 TV라서 RGB 단자가 있을 리 만무하고 동축 케이블도 없다.[5] RF 모듈이라는 것을 이용, 게임기의 신호를 TV 전파신호로 변환한 다음 이를 안테나선에 연결하여 TV로 나오게 한다. 국내에서 잘 안 쓰는 채널 3/4를 주로 이용한다. 여기에 고주파증폭기 달면 옆집에서도 채널만 맞추면 볼 수 있다. 참고로 이런 방식은 80년대까지 이어져서 1980년대에 나온 VCR도 마찬가지로 연결한다. 좀 발전되었다는 것이 동축케이블 연결형. 참고로 동축케이블(지상파 수신용 단자) 연결선은 오늘날의 TV에도 달려 있다. 안테나 단자는 이미 오래 전에 소멸일부 셋톱박스에도 이 단자가 있다.[6] 당시 인기 가수였던 서수남과 하청일이 TV 광고 모델로 출연했다.[7] 당시에도 부유층 혹은 서울의 부자 동네 기준으로 꿈의 아이템이었다. 서울의 서민 동네나 지방에서는 저런 물건의 존재조차 몰랐다. 1970년대라면 지방의 읍, 면 지역에서는 집에 TV 없는 집도 제법 있을 때다.[8] 1970년대라면 오락실이 명동 등 중심지 번화가 이외에는 대중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 밖의 대도시 지역에서는 주로 저런 장소에서 주로 볼 수 있었다. 당시에 국민학교앞 문구점에도 이 기기를 설치한 곳이 몇몇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