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백모(伯母)와 숙모(叔母)아버지의 남자 형제의 배우자. 본인을 기준으로 해서는 삼촌의 배우자이다. 본인과는 촌수가 없다.[1] 현대 한국어에서는 입말로 '큰엄마(큰어머니)', '작은엄마(작은어머니)'라는 우리말 호칭이 추가로 존재하고, 큰아버지를 백부(伯父), 작은아버지를 숙부(叔父)로 구분 하는 경우대로 백모는 '큰어머니/큰엄마'를, 숙모는 '작은어머니/작은엄마'를 나타낸다. 다만, 지역이나 가문의 전통에 따라 백숙모를 사용하는 집도, 큰엄마/작은엄마를 사용하는 집도 다양하게 존재한다. 그러나 큰아버지도 엄연히 삼촌이기에 큰어머니 역시 큰 어려움 없이 숙모라고 부르는 일도 많다.[2]
백중숙계라는 주자가례 상의 근본 호칭 기준은 현대 활용과는 상당히 멀어져 있고[3], 흔히 알려진 큰아빠 = 백부, (본인의 아버지보다 동생인) 작은아빠 = 숙부 라는 백숙 구분 역시 주자가례 상의 기준이 전혀 아니다. 삼촌 항목 참조. 결론적으로 숙(叔)은 촌수와도 상관 없고, 본가, 외가, 방계를 가리지 않고 '족보상 1항렬 위의 남성친족'[4]을 의미하도록 확장되어 있고 실제 한자의 뜻풀이 자체도 '남동생'이라는 의미는 1도 없다. (한 집안 1항렬 위) 아재비 숙 자이다.
백숙의 손윗 손아래 구분 기준은 그저 그 집안의 전통일 뿐일 수 있으므로, 그와 다르다고 해서 함부로 남의 집안 호칭이나 심지어 같은 집안 내에서도 지적에 조심할 필요가 있다.[5]
또한 일본에서는 아줌마와 숙모가 같은 발음인지라 이로 인한 일들도 벌어진다고 한다.
참고로 막내 숙모의 경우 계모(季母)라 칭하기도 하지만 용례는 극히 적다. 계모(繼母)랑 헷갈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
2. 외숙모
외백모(外伯母)와 외숙모(外叔母)어머니의 남자 형제의 배우자. 즉, 본인을 기준으로 해서는 외삼촌의 배우자이다. 역시 촌수로 3촌 관계인 외삼촌의 아내로 본인과의 혈족이 아니기 때문에 촌수가 없다. 현대 한국어의 가족 호칭에서는 구분하지 않고 외숙모로 쓰고, 백모/숙모와 마찬가지로 외백모(큰외삼촌의 배우자), 외숙모(작은외삼촌의 배우자)로 활용하는 집들도 많다.
3. 당숙모
당숙모(堂叔母)아버지의 사촌 형제의 배우자. 본인을 기준으로 해서는 당숙(본인과 5촌)의 배우자이다. 참고로 본인과 5촌 관계인 아버지의 사촌 여형제는 당숙모가 아닌 당고모이다. 핵가족이 보편화된 오늘날에는 명절에도 만나는 경우가 거의 없다. 어머니의 사촌 형제의 배우자는 외당숙모라고 쓴다.
4. 미디어에서
- 19금 각종 매체에서 불순하게 활용된다. 형수에 비하면 다루는 경우는 별로인 듯 하지만 소재에서는 처형과 함께 나름대로 단골. 다만 이런 경우는 이모가 다뤄지는 경우가 많아서 등장이 적은 편.
- 일본만화나 게임, 애니메이션 대사 같은 각종 서브컬처 매체를 한국어로 번역할 때 오역이 상당히 많이 발생하는 단어인데, 일본어의 숙모는 '부모의 남매와 자매', 그러니까 한국어의 고모, 이모를 의미한다. 한국어의 숙모는 상술되었듯 삼촌의 배우자를 의미하므로 혼동하지 말자. 어떤 의미에서는 필견, 실장 등과 함께 오타쿠 판별기 역할이 가능한 단어인 셈.
- 강철의 연금술사의 등장인물인 로이 머스탱의 숙모인 마담 크리스마스가 부모를 어려서 잃은 머스탱을 양아들로 키워주었고, 이후에도 그녀가 경영하는 술집과 종업원들을 이용하여 머스탱에게 큰 도움을 준다.
[1] 엄밀히 말하면 3촌 인척이며 직접적인 촌수는 없다. 왜냐하면 결혼을 통해 맺어진 관계에는 촌수를 따지지 않기 때문이다. 즉 삼촌의 부인은 본인 혈족이 아니므로 숙모는 본인과의 촌수를 매기지 않는다. 그리고 혼동할 수도 있지만 아버지의 남매(누이)인 본인과 3촌 관계에 있는 사람은 숙모가 아닌 고모이다.[2] 물론 당연히 잘못된 표현이 아니다.[3] 주자가례로 엄격하게 지적하자면 백은 할아버지의 장남만을, 둘째 삼촌은 중, 막내 삼촌은 계, 그외 나머지 삼촌이 숙이지만, 예컨대 본인 아버지가 4형제의 3남일 경우 삼촌들의 호칭에 숙부가 존재하지 않게된다. 주자가례의 얼핏 엄밀해보이는 기준 자체가 실제로는 그다지 엄밀하지 못하기 때문에 실제 고려말 조선초에 이미 중계는 아예 사라지고 백숙이 손윗 손아래를 의미하는 경우가 있게 되었을 뿐이다. 심지어 백숙조차 안 쓰고 손윗 삼촌에게조차 숙부만 사용한 예는 조선왕조실록에서도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다. 세종실록56권, 세종 14년 4월 18일 병오 4번째기사[4] 즉 장남인 삼촌, 5촌 당숙, 외숙(엄마의 오빠든 남동생이든)이 모두 현대어에서 틀리지 않은 표준어이다.[5] 물론, 백은 엄연히 활용되는 용어이기에 아버지의 손아래 친척에게 백을 사용하는 것은 완전히 틀린 것이나, 고모 이모 등의 명확한 표현대상 외 1항렬 위 누구에게든 숙을 활용할 수 있다. 즉, 현대어에서는 숙이 과거의 백중숙계를 모두 포함하는 용어인 것.[6] 메이 큰엄마, 메이 백모, 메이 숙모가 모두 맞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