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6 07:05:52

유백부



庾伯符
? ~ 1019년

1. 개요2. 생애3. 기타

1. 개요

고려 초의 문관, 무장. 3차 여요전쟁에서 전사했다.

2. 생애

1010년에 사재주부(司宰注簿)[1] 직을 역임했으나 요 성종강조의 정변을 이유로 전쟁을 일으키자 상서도사(尙書都事) 고연경(高延慶)과 함께 중군병마판관(中軍兵馬判官)으로 임명되었다.[2] 중군병마판관으로 임명된 정황으로 볼 때 이후 벌어진 통주 전투에 참전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기록이 없다.

2차 전쟁이 끝나고 8년 후 유백부는 통주 도부서(通州都部署)로 올랐으나 제3차 여요전쟁 도중 전사했는데, 현종1019년 음력 3월 유백부 이하 173명의 전사자들에게 관직을 높히고 그들의 집에 쌀과 보리를 내리되 차등 있게 하라고 명을 내렸다.

현종 사후 덕종이 즉위한 원년에 위위소경으로 증직했다.

3. 기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평안도 선천에 양규, 김숙흥, 유백부를 제향한 삼충사(三忠祠)라는 사당이 있었다고 한다.
삼충사(三忠祠) 고려 때 세웠는데 뒷날 병란 때 없어졌다. 본조 인조 을유년에 중건(重建)하였다.
양규(楊規)는 안악(安岳) 사람인데 고려 현종 2년에 서북면 도순검사(西北面都巡檢使)로서 거란과의 싸움으로 통천(通川)에서 죽었다. 벼슬은 형부 낭중 벽상공신(刑部郎中壁上功臣)이다.
김숙흥(金叔興)는 서북면 도지휘사 귀주 별장(西北面都指揮使龜州別將)으로서 양규와 함께 순절하였다.
유백부(庾伯符)는 통주 도부서(通州都部署)로서 양규와 함께 순절하였다. 위위소경(衛尉少卿)에 추증되었다.
- 신증동국여지승람 제53권 평안도 선천군
그런데 유백부가 애전 전투에서 양규, 김숙흥과 같이 전사했다고 언급되었다. 고려 때 지어진 삼충사에서 유백부를 양규, 김숙흥과 함께 모셨다는 기록과 헷갈린 것으로 추정된다.
[1] 고려시대 사재시(司宰寺)·사재감(司宰監)의 종7품 벼슬이다.[2] 출처 - 고려사 반역열전 강조(고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