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14:21:51

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유벨(유희왕/카드군)
,
,
,
,
,

유벨의 진화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보기 · 닫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제1형태 제2형태 제3형태 제4형태
[[유벨(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파일:ocg유벨.png
]]
[[유벨-다스 압쇼이리히 리터|
파일:유벨완전체.jpg
]]
[[유벨-다스 엑스트레머 트라우리히 드라헨|
파일:유벨궁극체.jpg
]]
[[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
파일: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png
]]
유벨 유벨-다스 압쇼이리히 리터 유벨-다스 엑스트레머 트라우리히 드라헨 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
관련 카드 : 네오스 와이즈맨 ·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크루거 }}}}}}}}}
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
파일:에비히CM.png
내 안에는 나를 믿는 또 하나의 영혼이 있어! 초융합! 궁극적인 어둠의 힘을 해방하라! 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
オレの中には、オレを信じるもう一つの魂がある! 超融合 ! 究極の闇の力を解き放て ! ユベルーDas Ewig Liebe Wächter!!

-팬텀 나이트메어 CM의 소환대사-

1. 개요2. 설명
2.1. 모티브
3. 수록 팩 일람4. 관련 카드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최상급 융합 몬스터 카드.

2. 설명

유희왕 OCG의 12기 부스터 팩 커버 카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코즈믹 퀘이사 드래곤|
파일:코즈믹 퀘이사 드래곤.pn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20224D 코즈믹 퀘이사 드래곤}}}'''
]]
[[패왕천룡 오드아이즈 아크레이 드래곤|
파일:패왕천룡.pn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EAECB7 패왕천룡 오드아이즈 아크레이 드래곤}}}'''
]]
[[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
파일: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pn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202123 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
]]
[[파괴룡 간드라G|
파일:파괴룡 간드라G.pn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3a3154 파괴룡 간드라G}}}'''
]]
[[환상의 소환신 엑조디아|
파일:융합엑조디아.pn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ffd700 환상의 소환신 엑조디아}}}'''
]]
}}}}}} ||
← 11기 부스터팩 커버 카드

파일:ユベル-Das Ewig Liebe Wachter.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
일어판명칭=ユベル-<ruby>Das Ewig Liebe Wächter<rp>(</rp><rt>ダス・エーヴィヒ・リーベ・ヴェヒター</rt><rp>)</rp></ruby>,
영어판명칭=Yubel-The Loving Defender Forever,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레벨=12, 공격력=0, 수비력=0,
소재="유벨" 몬스터 + 필드의 효과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융합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융합 소재로 한 몬스터의 수 × 500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효과2=②: 이 카드는 전투 /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이 카드의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0이 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발동한다. 그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주고\, 그 몬스터를 제외한다.)]
해방하라! 세상을 감싸는 궁극적인 어둠의 힘을! 초융합! 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
解き放て ! 世界を包みこむ究極の闇の力を! 超融合 !ユベルーDas Ewig Liebe Wächter!!!
부스터 팩 팬텀 나이트메어의 커버 카드. CNo.96 블랙 스톰 이후 10년만에 등장한 정규 팩 악마족 커버 카드이다.

융합 소재가 유벨 몬스터와 아무 효과 몬스터 1장 이상으로 엄청나게 널널하다. 당연하지만 이런 소재를 자유롭게 풀어줬다가는 미래융합-퓨처 퓨전으로 한 턴만 버티면 덱을 전부 갈아버리는 콤보나 체인 머티리얼과 각종 융합 관련 속공 마법/함정 카드를 조합한 선턴킬 덱이 흘러넘칠 테니 유벨 이외의 융합 소재는 필드 위로 한정되어 있으며, 유벨도 카드군 단위로 지정되어 있어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를 사용할 수도 없다. 다만 원래 카드명을 지정하고 있진 않기에 엘리멘틀 히어로 플리즈마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크루거를 지정해 유벨의 이름을 베끼면 융합 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

유벨이 다루기 까다로운 카드다 보니 범용처럼 쓰긴 힘들겠지만 초융합을 통해 꺼내기 매우 편하도록 설계되었다. 초융합으로 소환하면 상대 필드의 마법 내성이 없는 효과 몬스터를 남김없이 소멸시키고 번까지 먹이는데 퍼미션조차 불가능하다. 같이 나온 이터널 페이버릿과의 연동도 가능하다. 이쪽은 체인이 걸리니 무력화될 가능성이 있지만 스피릿 오브 유벨 등으로 서치가 가능하다. 또한 소환에도 이 카드에도 다른 제약 등은 없으므로 유벨 리베를 그대로 소재로 사용해서 또 유벨 리베를 꺼내는 것도 가능.

①의 효과는 융합 성공 시 소재의 수 × 500의 데미지를 주는 효과. 기본적으로 1000의 데미지를 입히며, 소재로 한 만큼 500씩 늘어난다. 실제로는 상대 몬스터를 2장 이상 먹고 나올 것이므로 기대값은 1000보단 높은 편. 번 데미지로 상대를 몰아붙이는 유벨 덱의 플레잉에 걸맞는 효과로, 상대에게 상당한 압박을 줄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유벨식 내성에 효과 파괴 내성이 추가된 내성 효과. ③의 효과를 마음껏 발동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존의 유벨보다 훨씬 단단해진 내성 효과다.

③의 효과는 유벨-다스 엑스트레머 트라우리히 드라헨보다 강화된 데미지 반사 + 전투 후 제외 효과.[1] 나이트메어 페인이 없는 상황에서도 능동적으로 효과 데미지를 가할 수 있다. 나이트메어 페인과 연계할 시 상대에게 이 카드를 공격할 것을 강제하면서 번 데미지를 극대화할 수 있다.

소재 조건이 '유벨' 몬스터로 지정되어있으므로 퓨전 태그를 사용하면 덱에 유벨 몬스터가 없더라도 이 카드를 소환 할 수 있다. 다만 퓨전 태그를 구태여 서치한 후, 추가로 융합 소환 기믹까지 가져와야하므로 효율은 기대하기 어렵다. 진지하게 연구를 해본다면 프레데터 플랜츠에서 이용해보는 정도.

2.1. 모티브

파일:팬나메매트.png

CM의 쥬다이 목소리가 성숙한 톤이며 유벨과의 초융합이 명시된 상태인 점, 공식 플레이매트에서 니쥬다이가 함께 있는 것을 보아 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의 전체적인 컨셉은 '4기 이후의 쥬다이가 초융합으로 소환한 유벨의 새로운 형태'다.

공개 당시에는 압쇼이리히 리터 → 엑스트레머 트라우리히 드라헨 루트와 별개의 폼으로 여겨졌으나, 팬텀 나이트메어 공식 사이트 및 잡지에서 <제4형태(第四形態)>로 명명함으로써 드라헨에서 진화한 개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이 모습이 현재 유벨의 최종 진화체이다. 점점 괴물처럼 뒤틀리다가 마지막에는 이전의 슬림한 디자인으로 회귀하는 특이한 구조인 것.[2]

이름인 Das Ewig Liebe Wächter는 독일어로 '영원한 사랑의 수호자'라는 의미로, 전생의 패왕부터 현재의 쥬다이까지 영원히 곁에 머물며 수호하고 있는 유벨을 상징하는 이름이다. 작중에서 유벨이 "나는 너의 사랑을 영원히 독차지 할 수 있다!"란 말을 한 것과 쥬다이가 그 광적인 선언에 응하면서 시전한 초융합으로 둘은 영원히 떨어지지 않게 된 후, 유벨이 쥬다이의 충실한 파트너가 된 스토리도 반영됐다.

디자인은 유벨의 팔에 유벨-다스 엑스트레머 트라우리히 드라헨의 오른쪽 용머리와 꼬리를 가지고 있고, 무릎의 눈알이 유지된 형태이다. 다만 용머리같은 경우엔 원본에는 이마에 얼굴이 있는데 이 버전의 머리에는 이마에 얼굴이 없고, 대신 뿔이 더 크게 그려져있다. 무릎의 눈알은 크기가 작아졌다. 아무튼 이 용 머리에 작중 유벨이 타인의 몸에 융합한 걸 팔을 통해 나타냈음을 의식한 것으로 보이는데, 쥬다이의 페이버릿 카드인 프레임 윙맨과 구도가 상당히 비슷하다.
파일:리베배경.png

팬텀 나이트메어의 캐치 카피[3]를 통해 설정상 초융합으로 소환된 것을 알 수 있으며, 배경 주변의 빛나는 이펙트는 초융합의 일러스트와 똑같다.
파일:짤플윙.jpg
파일: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png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 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
파일:스피릿오브비오스.jpg
파일:스피릿오브유벨.png
엘리멘틀 히어로 스피릿 오브 네오스 스피릿 오브 유벨

융합 몬스터는 소재가 되는 두 몬스터의 외모를 조합해서 디자인되는 특징을 고려하면, 리베 베히터는 유벨과 프레임 윙맨이 융합했을 때 모습으로 추정된다.[4] 팔에 달린 드래곤 헤드와 긴 용의 꼬리, 그리고 3번 효과가 유사하다.

기존에도 유벨과 프레임 윙맨은 쥬다이의 페이버릿 카드와 여성과 남성의 융합 등의 공통점 덕분에 팬덤 사이에서 종종 유사성이 언급됐다.[5] 프레임 윙맨은 암흑사도 요한 전에서 첫 턴에 융합 소환해 쥬다이가 그동안의 트라우마를 이겨냈음을 상징했고, 쥬다이가 요한을 구해내기 위해 그의 마음 속으로 들어가는 데 힘을 보태주기도 했다. 마침 같은 팩에 이터널 페이버릿이라는 카드도 함께 등장하여 페이버릿이라는 카드군에 묶인 덕분에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프레임 슛이 조달할 수 있는 형태로 설계되어 있기도 하다.

작중 유벨이 소환하려고 했던 '초융합의 신'을 OCG화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 "유벨" 몬스터 + 필드의 효과 몬스터 1장 이상이라는 소재 덕에 초융합으로 소환하기 좋도록 설계되어있고 배경에도 초융합의 번개가 그려져있기 때문이다. 만약 12체를 소재로 소환하면 6000데미지로, 원작 기준 바로 게임에서 승리할 수 있는 높은 수치이다. GX 방영 시절에는 필드가 10칸이라 체인 머티리얼 등을 이용하지 않으면 소환 자체가 불가능했지만, 현재는 엑스트라 존도 있고, 프레데터 플랜츠 트리안티스 등을 이용하면 펜듈럼 존의 몬스터도 융합 소재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필드에 최대 12체 이상의 몬스터도 소재로 할 수 있어 초융합의 신과 마찬가지로 12체의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 삼는 게 가능.[6] 물론 이 카드의 소환조건을 보면 알겠지 체인 머티리얼로의 원작 재현은 불가능한 만큼, 초융합의 신을 어느정도 오마주하여 만들었을지는 몰라도 그 카드 자체일 가능성은 낮다.

게다가 이 몬스터는 쥬다이와 유벨이 합쳐진 이후의 모습을 상정한 진화체이므로, 오히려 초융합의 신과는 정 반대의 컨셉이다. 쉽게 말해서 GX 3기 마지막화 바로 전 에피소드에서 초융합으로 "나(쥬다이)와 유벨의 영혼을 하나로!" 라고 했을때 나온 융합 결과물이 바로 이 카드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해당 화에서 유벨과 쥬다이의 초융합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먼저, 필드에 있던 네오스와 유벨 궁극체가 합쳐지는 연출이 먼저 나온다. 듀얼 로그 상 네오스와 유밸 궁극체가 합쳐지고, 그리고 초융합 카드가 가진 자체적인 힘으로 유벨과 쥬다이가 합쳐졌다는 말인데, 그 시점에서 쥬다이가 전투불능 상태가 됨에 따라서 듀얼이 중단되었기에 네오스와 유벨 궁극체가 합쳐진 융합 몬스터의 모습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아마 그게 이 카드일 것이다. 그 때문에 네오스 와이즈맨도 모티브로 삼은 게 보이는데, CM에서 와이즈맨이 처음 등장하는 GX 177화의 대사 "내 안에는 나를 믿는 또 하나의 영혼이 있다."가 나온데다 초융합으로 소환된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이상한 점이 있는데, 네오스 와이즈맨의 소재인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는 일반 몬스터이고, 이 카드는 효과 몬스터를 소재로 하고 있다는 말이다. 따라서 이 카드는 엘리멘틀 히어로 어나더 네오스 등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면 네오스와 유벨 몬스터의 융합으로는 소환할 수 없다.

단, 이 부분은 이 카드가 효과 몬스터인 프레임 윙맨과 유벨의 융합체라고 생각하면 해결 되는 문제이다. 앞서 말했듯 이 카드는 프레임윙맨과 유벨의 융합체로 생각할 수 있는 단서도 꽤 많다. 따라서 좀 더 끼워맞춰보자면 3~4기의 최종보스 전(유벨 최종전, 다크니스 전)에 초융합을 발동했을 때 필드에 네오스 대신 프레임 윙맨이 있었다면?을 상정한 카드로 생각해볼 수 있다. OCG에서 자주 냈던 특유의 오리지널 IF컨셉이라고 보면 될 듯.

물론 위의 내용은 추측으로 비약이 너무 크다고 생각될 수 있다. 공식 정보만 나열하자면 1.외형이나 소재 상으로 프레임 윙맨과 유벨의 융합체로 보일 만한 단서가 있음. 2.유벨과 쥬다이(혹은 유벨과 네오스)의 초융합에서 모티브를 가져온 대사가 있음. 이 2개이다. 어쩌면 양쪽 모두로 해석할 수 있도록 열어둔 카드라고 요약할 수 있겠다.

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23-10-28 |
[[일본|]][[틀:국기|]][[틀:국기|]] PHNI-JP038 | ファントム・ナイトメア [ PHANTOM NIGHTMARE ]
2023-12-02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PHNI-KR038 | 팬텀 나이트메어
2024-02-09 |
[[미국|]][[틀:국기|]][[틀:국기|]] PHNI-EN038 | PHANTOM NIGHTMARE

4. 관련 카드

4.1. 유벨

4.2.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

4.3. 초융합


[1] 혹은 또다른 모티브로 보이는 엘리멘틀 히어로 플레임 윙맨의 파괴한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데미지를 주는 효과의 강화형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2] 직전까지 파멸의 빛에 물든 유벨이 쥬다이의 영혼과 하나 되어서 그가 바라는 모습이 되었다고 볼수도 있다.[3] "해방하라! 세상을 감싸는 궁극적인 어둠의 힘을! 초융합! 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 (解き放て ! 世界を包みこむ究極の闇の力を! 超融合 !ユベルーDas Ewig Liebe Wächter!!!)"[4] 팬텀 나이트메어 기념 방송 OCG 타임즈에서도 패널이 프레임 윙맨과 닮았음을 언급한다.[5] 반대로 메인 에이스 카드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와는 탄생 계기, 파멸의 빛과 정의로운 어둠으로 안티테제 구도를 이루고 있다. 같은 팩 출신 스피릿 오브 유벨에서도 네오스와의 대비를 강조한다.[6] 벌써 YGOPro를 통해 재현하는 영상이 만들어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