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31 19:06:36

육자륭

진서(陳書)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abbadb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2권 「무제기(武帝紀)」 3권 「문제기(文帝紀)」 4권 「폐제기(廢帝紀)」
진패선 진천 진백종
5권 「선제기(宣帝紀)」 6권 「후주기(後主紀)」
진욱 진숙보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열전(列傳) ]
7권 「후비전(后妃傳)」
장요아 · 심묘용 · 왕황후 · 유경언 · 심무화 · 장여화
8권 「두승명등전(杜僧明等傳)」 9권 「후진등전(侯瑱等傳)」 10권 「주철호등전(周鐵虎等傳)」
두승명 · 주문육 · 후안도 후진 · 구양위 · 오명철 ,배자열, 주철호 · 정령세
11권 「황법구등전(黃法氍等傳)」 12권 「호영등전(胡穎等傳)」 13권 「서세보등전(徐世譜等傳)」
황법구 · 순우량 · 장소달 호영 · 서도 · 두릉 · 심각 서세보 · 노실달 · 주부 · 순랑 · 주경
14권 「형양헌왕창등전(衡陽獻王昌等傳)」 15권 「종실전(宗室傳)」 16권 「조지례등전(趙知禮等傳)」
진창 · 진담랑 진의 · 진상 · 진혜기 조지례 · 채경력 · 유사지 · 사기
17권 「왕충등전(王沖等傳)」 18권 「심중등전(沈衆等傳)」 19권 「심형등전(沈炯等傳)」
왕충 · 왕통 · 원경 심중 · 원필 · 유중위 · 육산재 · 왕질 · 위재 심형 · 우려 · 마추
20권 「도중거등전(到仲舉等傳)」 21권 「사철등전(謝哲等傳)」
도중거 · 한자고 · 화교 사철 · 소건 · 사하 · 장종 · 왕고 · 공환 · 소윤
22권 「육자륭등전(陸子隆等傳)」 23권 「심군리등전(沈君理等傳)」 24권 「주홍정등전(周弘正等傳)」
육자륭 · 전도집 · 낙아 심군리 · 왕창 · 육선 주홍정 · 원헌
25권 「배기등전(裴忌等傳)」 26권 「서릉전(徐陵傳)」 27권 「강총등전(江總等傳)」
배기 · 손창 서릉 강총 · 요찰
28권 「세조9왕·고종29왕·후주제자전(世祖九王高宗二十九王後主諸子傳)」
진백무 · 진백산 · 진백공 · 진백신 · 진백인 · 진백의 · 진백례 · 진백지 · 진백모 · 진숙영 · 진숙견 · 진숙명 · 진숙경 · 진숙헌 · 진숙제
진숙문 · 진숙달 · 진숙탄 · 진숙표 · 진숙웅 · 진숙중 · 진숙엄 · 진숙신 · 진숙우 · 진숙평 · 진숙오 · 진숙흥 · 진숙선 · 진숙목 · 진숙검
진숙징 · 진숙소 · 진숙광 · 진숙순 · 진숙모 · 진숙현 · 진숙륭 · 진숙영 · 진심 · 진장 · 진윤 · 진억 · 진언 · 진경 · 진건 · 진념 · 진지
진전 · 진번
29권 「종원요등전(宗元饒等傳)」 30권 「소제등전(蕭濟等傳)」 31권 「소마하등전(蕭摩訶等傳)」
종원요 · 사마신 · 모희 · 채징 소제 · 육경 · 고야왕 · 부재 소마하 · 임충 · 번의 · 노광달
32권 「효행전(孝行傳)」
은불해 · 사정 · 사마고 · 장소
33권 「유림전(儒林傳)」
심문아 · 심수 · 척곤 · 정작 장애 육후 심덕위 하덕기 · 전완 · 장기 · 고월 · 심불해 · 왕원규
34권 「문학전(文學傳)」
두지위 · 안황 · 강덕조 · 유지 · 허형 · 저개 · 잠지경 · 육염 · 하지원 · 서백양 · 장정견 · 채응 · 완탁
35권 「웅담랑등전(熊曇朗等傳)」 36권 「시흥왕숙릉등전(始興王叔陵等傳)」
웅담랑 · 주적 · 유이 · 진보응 진숙릉 · 진백고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0275d><tablebgcolor=#10275d>
※ 흠정 24사 관련 틀 둘러보기
||
}}}}}}}}}}}} ||
<colbgcolor=#10275d><colcolor=#fff> 남진의 대신
조양위후(朝陽威侯)
陸子隆 | 육자륭
시호 위(威)
작호 익양현자(益陽縣子) → 조양현후(朝陽縣侯)
육(陸)
이름 자륭(子隆)
흥세(興世)
부친 육전(陸悛)
조부 육창지(陸敞之)
출생 524년 ~ 570년
출신 오군(吳郡) 오현(吳縣)
국적 양(梁) → 진(陳)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남북조시대 남진의 인물로 자는 흥세(興世).

2. 생애

오군(吳郡) 오현(吳縣) 출신으로 524년에 태어났다. 양나라 시기에 동궁직후(東宮直後)로 등용되었다가, 후경이 반란을 일으키자, 고향에서 무리를 모아 후경에 항거하고자 했다. 당시 오군 태수였던 장표(張彪)가 육자륭을 장수로 등용하였고, 장표가 회계군(會稽郡)으로 부임하자 육자륭은 장표를 따라 회계군으로 갔다.

이후 진천이 장표를 토벌할 때 장표의 부하였던 심태(沈泰), 오보진(吳寶眞), 신진(申縉) 등은 모두 진천에게 항복하였지만 육자륭은 진천에게 대항하다가 병력이 다하자 결국 진천에게 항복하였다. 진천은 육자륭을 의롭게 여겨 자신의 군대를 지휘할 수 있게 해주었고, 진천의 밑에서 중병참군(中兵參軍)이 되었다. 육자륭은 뒤에 시풍현령(始豐縣令)과 영흥현령(永興縣令)을 역임하였다.

559년, 무제가 죽고 진천이 제위에 오르니 이가 제2대 황제인 문제이며, 육자륭은 진천이 즉위한 뒤에 숙위를 맡았다. 육자륭은 왕림(王琳)이 반란을 일으키자 후안도에게 종군하였고 왕림이 평정된 뒤에 좌중랑장(左中郎將)으로 제수되었다. 560년, 익양현자(益陽縣子)로 책봉되고 식읍 300호를 받았으며, 고당군(高唐郡) 태수로 전출되었다. 561년, 명위장군(明威將軍), 여릉(廬陵) 태수로 제수되었다.

주적(周迪)이 임천군을 점거하고 반란을 일으킬 때 동창현(東昌縣)에서 수행사(脩行師)라는 인물이 주적의 반란에 응하여 육자륭을 공격하였다. 육자륭은 성 밖에 군대를 매복시키고 성문을 닫아 수행사를 방심시켰다. 육자륭의 계략에 걸려들어 패배한 수행사는 육자륭에게 항복을 청하였고, 육자륭은 수행사를 수도로 압송한다.

563년, 주적이 진보응과 연합하여 다시 임천으로 출병하자, 육자륭은 장소달에게 종군하여 주적을 토벌한다. 주적이 패주하자 육자륭은 동흥령을 넘어서 진보응을 토벌하였고, 건안군(建安郡)에 당도한 뒤에는 건안군의 감리를 맡는다. 진보응이 건안의 호숫가에서 저항하자, 육자륭은 장소달과 함께 군대를 이끌었는데 도중에 장소달이 불리해지자 육자륭은 장소달을 구원하여 진보응을 토벌한다. 육자륭은 반란을 진압한 공으로 가절(假節)도독무주제군사(都督武州諸軍事)로 승진하였으며, 장군은 예전과 같이 받았고 조양현백(朝陽縣伯)으로 책봉된다.

폐제 진백종이 즉위한 뒤 지무장군(智武將軍)으로 진호되고 원외산기상시가 더해졌으며 나머지 직무는 종전과 같이 맡았다. 화교(華皎)가 상주(湘州)를 점거하고 배반할 때 화교는 한때 자신의 부하였던 육자륭을 초유했다. 하지만 육자륭은 화교의 부름에 응하지 않았고 화교가 군대를 보내 육자륭을 공격하자 화교의 공격을 모두 격퇴한다. 화교가 영주에서 패배하자 육자륭은 화교를 추격하여 화교의 반란을 진압했고 지절, 통직산기상시, 도독무주제군사로 제수되었으며, 작위가 후로 올라간다.

이후 육자륭은 도독형신우3주제군사(都督荊信祐三州諸軍事), 선위장군(宣毅將軍), 형주 자사로 옮기고 지절과 산기상시는 예전과 같이 받았다. 형주를 새로 설치하고 공안에 치소를 설치하면서 육자륭은 성곽을 수선하고 정치에 힘을 쏟아 백성들이 육자륭을 칭송했다. 육자륭은 569년에 운휘장군(雲麾將軍)으로 진호되었고 이듬해인 570년에 사망하여 산기상시로 추증되고 위(威)라는 시호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