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李敬業/徐敬業(636년 ~ 684년)
당나라의 인물로, 능연각훈신 중 한 사람이었던 영정무공 이세적의 손자였다.
2. 생애
이경업은 아버지인 이진(李震)이 조부인 이세적보다 먼저 세상을 떠나, 669년 이세적이 죽은 뒤에 조부의 작위인 영국공을 습봉했다.이경업은 태복소경을 역임하고, 미주(眉州) 자사를 지냈다. 당시 당나라 조정은 고종이 붕어한 뒤, 중종이 재위하고 있다가 측천무후에 의해 폐위되고, 중종의 아우인 예종이 재위하며 측천무후가 수렴청정을 하고 있었다. 게다가 무씨 일족에 의해 당나라의 농서 이씨 황족들이 주륙되자 천하의 불만이 커져갔다. 이경업은 이때 측천무후에 의해 유주(柳州) 자사로 좌천되었다. 이후 그는 684년 양주(揚州)에서 측천무후에 의해 좌천을 당한 아우 이경유(李敬猷)와 당지기(唐之奇), 두구인(杜求仁), 낙빈왕(駱賓王)과 함께 측천무후에 반발하여 거병했다.
이경업은 측천무후에 의해 폐위된 중종의 복위를 명분으로 내걸고, 광복부(匡復府), 영공부(英公府), 양주 대도독부(大都督府)라는 3개의 부를 연 뒤, 자신을 '광복부 대장군 겸 양주 대도독'으로 칭했다. 이경업은 낙빈왕이 지은 격문을 전국에 뿌렸고, 그의 군대는 삽시간에 100,000명까지 늘어났다. 측천무후는 이경업의 반란에 분노하여, 조부인 이세적의 관작을 추탈하고, 그의 성을 몰수하여 원래 성씨인 서씨로 되돌렸다.
이경업의 진중은 곧장 낙양으로 진격해야 한다는 위사온(魏思溫)의 주장과 상주(常州)와 윤주(潤州) 등지를 우선적으로 공격해야 한다는 설장(薛璋)의 주장으로 나뉘어 있었는데, 이경업은 설장의 주장대로 남하하여 윤주를 차지했다. 한편 장회태자 이현이 죽자, 이경업은 장회태자와 생김새가 닮은 사람을 찾아 그를 장회태자로 꾸미고 장회태자가 죽지 않았다고 날조하기도 했다. 윤주를 차지한 뒤, 이경업은 이효일(李孝逸)과 맞붙었고, 처음에는 유리하게 싸웠으나 점점 대패했다. 결국 패색이 짙어지면서 이경업은 배를 타고 고려(옛 고려 땅 혹은 신라)로망명을 시도했으나, 부하의 배신으로 실패하고 살해당했다.
3. 기타
- 《구당서》와 《신당서》의 기록에 의하면, 이경업이 죽고 100년 이상이 지난 당덕종 정원 17년(801년)에 토번 제국이 당나라를 침공한 사건이 있었다. 이때 토번의 장군들 중에 자신을 ‘서사인'(徐舍人)이라고 부른 장군이 있었는데, 그는 자신을 이경업의 5대손이며, 측천무후 시기에 멸문의 화를 피해 망명했다고 주장했다. 서사인은 토번군에 의해 포로로 붙잡혔던 승려 연소(延素)를 안심시키며 이 이야기를 했고, 곧 연소를 포함한 포로 수천 명을 당나라로 다시 돌려보냈다고 한다.
- 이세적(이적)이 손자 이경업을 걱정했다는 설이 있다.
우리집을 망치게 할 자는 바로 이 아이다.
- 이경업이 일으킨 반 무후 반란의 여파로 대돌궐 방어선이 와해되었다. 돌궐 전선에서 활약하던 정무정[1]이 이경업의 난에 연좌되었다는 무고를 받고, 이를 맹신한 무측천에 의해 처형당한 것이다.[2] 그의 사후 돌궐 방어선은 와해되고 말았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