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3:34:59

이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해당 이름을 가진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이보(동명이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이보(동명이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이보(동명이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해당 이름을 가진 동명이인: }}}[[이보(동명이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이보(동명이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이보(동명이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李輔
생몰년도 미상


1. 개요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수.

2. 정사 삼국지

맹달의 심복이었고 위로 항복했던 그가 다시 촉나라로 돌아갈 생각으로 상용에서 반기를 들었을 때 사마의가 신속하게 달려와 맹달을 공격하자 이보와 등현은 성에서 나와 항복했다.

이후 전장군이 되어 263년에 종회를 따라 1만을 이끌고 촉 정벌에 종군해 촉의 감군 왕함이 지키는 낙성을 포위했다.

3. 삼국지연의

신의가 종을 통해 사마의에게 맹달이 모반한다는 사실을 보낼 때 이보와 등현은 맹달을 고발하는 글을 보냈으며, 사마의가 성을 공격하자 이보와 등현은 성문을 열어 성 안으로 맞아들였다. 그 공으로 조예로부터 신성과 상용을 지키는 일을 맡겨지게 된다.

4. 미디어 믹스

4.1.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파일:external/kongming.net/lifu.jpg
삼국지 9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59.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이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랜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1/67/57/47. 병법으로는 제사, 정란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허리에 댄 채 얼굴을 찡그리고 있으며 능력치는 삼국지 9와 같다. 특기는 문화 2, 공성 3, 견수 1. 전수특기는 공성이고 전법은 창방강화.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1, 무력 64, 지력 52, 정치 35, 매력 36으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3, 지력이 5, 정치력이 12 하락했다. 개성은 공명, 주의는 명리, 정책은 삼령오신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혼란, 도발,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4.2. 진삼국무쌍 시리즈

진삼국무쌍 4 맹장전에서 외전 모드의 시나리오인 227년 신성전에서 성에서 성과 가까운 곳의 동쪽에서 말을 타고 있는데, 이보를 격파하면 투항한다는 메시지가 뜨면서 "져, 졌습니다. 아무쪼록 목숨만은..."이라는 대사가 나온다.

4.3. 삼국전투기

맹달스자쿠여서 그런지 루키아노 브래들리로 등장했다.

상용 전투 편에서 처음 등장. 사마의의 상용성 공략 때 맹달에게 사마의가 8방향으로 공격을 해온다는 사실을 알리거나 방향마다 적의 병력이 다르다는 사실을 전달하기도 했지만 딱히 강한 모습은 보이지 않고 제갈탄에게 간단히 제압당하고 항복한다. 그런데 정작 나중에 종회를 따라 종군할 때의 모습은 호오즈키의 냉철의 카라우리로 등장한다. 호오즈키로 패러디된 위관의 부하 중 한 명으로 나왔기에 그렇게 패러디된 듯 한데, 아무래도 최훈이 종회를 따라 촉 정벌에 참여한 이보와 상용성에서 항복한 이보를 동명이인으로 본 듯하다. 손관의 예로 보았을 때 까먹었을 가능성이 더 높다(...)[1]

여하튼 검각 전투 편부터는 카라우리로 등장한다. 검각 전투 편에서는 촉 정벌에 참여했으며, 위관의 명을 받아 낙성을 포위하는 임무를 맡았다.

성도 전투 편에서는 위관이 종회의 난을 조기 진압하는 큰 공을 세우자 이제 급승진만 남았다며 축하해 줬다. 그러나 막상 당사자인 위관이 찜찜한 태도를 보이자 뭔가 걱정거리가 있냐고 묻기도 했다.

4.4.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

파일:이보등현.png

이름만 언급된다.


[1] 맹달이 죽고 이보가 항복한 해가 228년, 그 뒤 다시 등장한 게 무려 35년 뒤인 263년이었다. 충분히 헷갈릴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