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01:41:56

이상혁/국가대표 경력/2023년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e4002b> 파일:이상혁.svg이상혁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4002b><colcolor=#fff> 선수 경력 클럽 경력 (2013 시즌 · 2014 시즌 · 2015 시즌 · 2016 시즌 · 2017 시즌 · 2018 시즌 · 2019 시즌 · 2020 시즌 · 2021 시즌 · 2022 시즌 · 2023 시즌 · 2024 시즌)
국가대표 국가대표 경력 (2018 시즌 · 2023 시즌)
기타 플레이 스타일 · 개인 방송 · 별명 · 여담 · 사진 · 페이커 패싱 선동 사건 · 놀랍지만 그건 사실이야 · 기습숭배 드립
}}}}}}}}} ||
이상혁의 연도별 국가대표 경력 일람
2018년 2023년 미정

1.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1f2023> [[대한민국 리그 오브 레전드 국가대표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국가대표팀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감독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정균|김정균
kkOma
]]
분석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재민(e스포츠)|이재민
Zef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동하(프로게이머)|김동하
Kh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재완|이재완
Wolf
]]
로스터
파일:TOP_icon_black.png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T1 LoL 로고.svg [[최우제|최우제
Zeus
]]
파일:JGL_icon_black.png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서진혁|서진혁
Kanavi
]]
파일:MID_icon_black.png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정지훈(2001)|정지훈
Chovy
]]
파일:crwn.png 파일:T1 LoL 로고.svg [[이상혁|이상혁
Faker
]]
파일:ADC_icon_black.png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박재혁(1998)|박재혁
Ruler
]]
파일:SUP_icon_black.png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T1 LoL 로고.svg [[류민석|류민석
Keria
]]
}}}}}}}}} ||
파일:국가대표 이상혁.jpg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e스포츠(LOL) 국가대표팀
이상혁 (Lee Sang-hyeok)
아시안 게임 최종 엔트리에 합류하면서 자카르타 팔렘방 아시안 게임에 이어 두 대회 연속 국가대표의 자격을 얻게 되었다.

페이커 본인에게 있어서는 2019년 이후 헤어졌던 김정균 감독과 오랜만의 선수와 코치 관계로의 재회이기도 하며, 작년 인터뷰에서 지난 아시안 게임을 설욕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고 최근 아쉬운 커리어에 대한 환기와 또다시 국가대표로 출전하는 만큼 매우 의미가 중요한 대회이다.

1.1. 평가전

대만과의 평가전에서 출전했으며, 아직 폼이 회복되지 않은 것인지 아쉬운 모습을 보였다. 1세트 탈리야를 픽하며 승리하였다.
파일:아시안게임 평가전 아지르.gif
2세트 아지르를 픽하며 2:0으로 대만전과의 경기를 승리하였다. 앞서 말한듯이 아쉬운 폼을 보였으며 사실 패치 버전이 13.12로 페이커가 부상으로 인한 결장했던 기간이었고, 부상에 대하여 월즈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시선이 많았던 만큼 뛰어난 활약을 기대하긴 어려웠지만, 이를 감안해도 주전 경쟁 중인 쵸비에 비해 낮은 폼을 보였기 때문에 주전은 쵸비로 고정될 가능성이 높다.

1.2. 본선

그룹 스테이지 홍콩전에 이은 2번째 경기 카자흐스탄전에서 정지훈 대신 선발 출전했다. 요네를 들고 솔킬 및 12킬을 내는 활약을 하며 17분 만에 경기가 무난히 끝났다.
파일:국대 이상혁 요네.gif
카자흐스탄 선수들이 소위 포킹 챔피언들을 가져왔으나 탑 솔킬을 시작으로 전 라인에서 터져나가며 무난하게 대한민국이 승리하였다. 선수들도 분위기에 취한 것인지 한번씩 던지는 모습을 보여줬으나, 이미 게임은 멀리 간 상황이었다. 게임 마지막에 팀 내에서 제일 성장이 덜 되었던 박재혁이 넥서스에서 1:4를 시도하는 여유를 보였을 정도로 격차가 컸다. 심지어 제리가 터진 직후 12킬 먹은 이상혁이 뭉친 4명 한가운데에 당당하게 텔레포트를 타자 이번에는 1:4고 나발이고 거기서 게임이 폭발했다.

카자흐스탄이 사일러스를 서포터로 돌리며, 애쉬-제라스가 아닌 애쉬-사일러스로 바텀 듀오를 구성했으나, 17분 만에 킬 스코어 28:7의 대한민국의 압살이었다.

이후 결승전까지 출전하지 못하였으나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은 금메달을 따냈다.

1.3. 총평

카자흐스탄전 한 세트만 출전하고 대회 내내 벤치를 지켰기 때문에 경기력적으로는 판단하기가 불가능하다. 13.12 프로 경기를 뛴 적 없는 데다가 몸살 이슈까지 있었기에 13.12 때도 활약했고 현재도 폼이 좋은 정지훈 상대로 주전에서 밀리는 것은 사실상 당연한 수순이었기도 하다.
파일:롤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금메달.jpg
다만 주장으로서 깔끔한 인터뷰로 호평받기도 하고, 출정식 팬미팅 프로그램 인터뷰 당시 의외인 인물로 뽑히는 등 내부 분위기를 잡았다. 또한 정지훈이 미드 티어 정리 및 연습에 도움이 된다고 언급한 바 있는 만큼, 이번 대회는 직접적으로는 경기보다는 내부적으로 플레잉 코치와 같이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토너먼트에서 출전하지는 않았지만, 결과적으로 대표팀이 금메달을 따내며 5년 전의 복수를 도왔다.

경기 출전과는 별개로, SKT 왕조 시절부터 중국 및 전 세계에서 만든 팬덤의 위엄이 대단해서, 공항에 입국할 때부터 경기장 이동, 숙소 이동할 때마다 구름 같은 관중을 몰고 다니면서 일일히 팬 서비스를 해 주는 위엄을 선보였다. 심지어 중국 측 기자 몇 명이 회사에 말도 안 하고 페이커를 보겠다고 독단적으로 롤 경기를 취재하러 오거나, 중국과의 4강전에서 페이커의 T1 유니폼을 들고 관람하러 온 중국 팬들도 상당수 관측되었다. 주전으로 나서든 나서지 못하든 그의 인기가 얼마나 드높은지를 알 수 있는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