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5 16:54:13
이승준의 역대 등번호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두산 베어스 등번호 29번 |
신동수 (1998) | → | 이승준 (1999~2002) | → | 이리키 (2003) |
두산 베어스 등번호 62번 |
오세학 (1998~2002) | → | 이승준 (2003~2004) | → | 원용묵 (2005~2010) |
두산 베어스 등번호 33번 |
알칸트라 (2004.8.1.~2004) | → | 이승준 (2005~2006.5.16.) | → | 김진수 (2006.5.17.~2006)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32번 |
김진수 (2006~2006.5.16.) | → | 이승준 (2006.5.17.~2006) | → | 손광민 (2007) |
}}} ||
|
이승준 |
출생 | 1976년 7월 3일 ([age(1976-07-03)]세) |
국적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학력 | 청원정보고 - 중앙대 |
포지션 | 내야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1999년 2차 3라운드 (전체 21번, OB) |
소속팀 | 두산 베어스 (1999~2006) 롯데 자이언츠 (2006) |
지도자 | 광천-한국K-POP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17~2023) |
두산 베어스와 롯데 자이언츠를 거친 前 야구선수. 1976년 7월 3일 생.
2. 선수 경력
동대문상고와 중앙대를 졸업하고 1999년 두산 베어스의 2차 3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2004년 6월 15일에는 선발 7번타자로 출장해 OB - 두산 베어스 선수 중 첫번째로 3연타석 홈런을 때리기도 했다. 2006년 롯데 자이언츠로 트레이드된 뒤 은퇴했다. 2017년부터 홍성군에 위치한 한국K-POP고등학교(구 광천고등학교)의 감독을 맡고 있었으나 2024년 초 팀 해체가 결정되면서 감독직에서 물러났다.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