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3 03:14:10

이재선 추대사건


1. 개요2. 배경3. 진행 및 실패4. 이재선 역시 표적이 되다5. 출저

1. 개요

흥선대원군의 측근들이 이재선을 추대하려 했던 사건.

2. 배경

흥선대원군이 실각한 후 민씨 일파가 실권을 쥐고 개국 정책을 펴자, 이에 불만을 품은 흥선대원군의 측근들인 전(前) 승지(承旨) 안기영(安驥泳) · 권정호(權鼎鎬) 등이 민씨 세력을 몰아내고 이재선을 추대하여 흥선대원군을 권좌에 복귀시키려 하였다.

3. 진행 및 실패

이들은 거사 자금 · 군대 동원 · 요인 암살 등 세밀한 계획을 세우고 기회를 기다렸으나, 8월 28일 경기도 광주부 장교 이풍래의 밀고로 모두 체포되었다.

그 뒤, 난을 주도한 안기영, 권정호, 이두영 등은 사형당하게 된다.

4. 이재선 역시 표적이 되다

직접적으로 개입은 하지 않았어도 반란 세력의 택군 대상[1]이었던 이재선은 심문을 피할 수 없었다. 단, 잡히기 전에 먼저 의금부에 자수를 하기는 했다. 그래도 역모에 연루되었다는 이유로 혹독한 고문을 동반한 심문을 받았다.

심문을 받은 이후, 이재선은 제주도귀양을 갔다. 그러나 양사와 홍문관으로부터 계속 탄핵을 받아[2] 결국 같은 해 사약을 받고 사망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때 죽지 않고 한성으로 돌아와서 사사되었다는 설과, 비공식적으로 신분을 바꾸고 살았다는 설 등이 있다.

5. 출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擇君. 왕으로 선택 된 대상.[2] 큰아버지 흥인군 이최응 역시 그를 탄핵하는 상소를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