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00:34:47

이증백

1. 개요2. 생애3. 주요 작품4. 작품의 특징5. 기타

1. 개요

李曾伯, 1198~1268
남송 시대 문신이자 사인으로, 자는 장유(長孺) 이고 호는 가재(可齋)이다.

2. 생애

1198년 출생이다. 일찍이 호주에 통판하고 군기감 주부로 자리를 옮겼으며, 악주 겸 연강제치부사사 주관 기의문자를 증차하였다. 다시 도지낭관으로 옮겨 좌사랑관, 회서총령으로 바뀌었고, 얼마 후 다시 우사랑관으로 옮겨 태부소경과 좌사랑관, 칙령소삭수관 등을 겸하였다.

1242년에는 태부경, 회동제치사, 지양주로 자리를 옮겼고 1244년에는 회서제치사를 겸임하고 군사를 주관할 권리를 얻었다.

그리고 이증백은 조정에 이렇게 건의한다.
하늘의 뜻에 답하고, 지형을 잘 이용해야 하며, 화합하는 사람의 모략이옵니다. 국경의 군량과 급료는 광적에 있고, 장령은 평소의 비축에 귀중하며, 상을 하사하는 일이 분명하지 않으면 안 되며, 병사들은 구휼하지 않으면 아니 되옵니다.

그리고 또 이렇게 상소했다.
회하 상수군이 주둔하는 곳은 경계해야 할 것이고, 호면의 험난한 곳은 정비해야 하옵니다.

조정에서 화문각대제로 임명되고 또한 보장각 직학사를 가하여 권임병부상서로 임명된다.

1246년 정월 초하루, 일식이 나타나 조정의 조서에 호응하여, 천상의 발생으로 인해 전조가 변비를 강화하고 장수를 방문하여 일찍이 중책을 내려놓고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갈 것을 청하였다. 그는 조정에 사주 서성을 보수해 달라고 부탁했다.조정에 의해 환장각 학사로 임명되나 간관이 다투어 규탄하자 사관으로 낙직된다.

1249년 이증백은 옛 직책을 가지고 지정강부, 광서경략안무사 겸 광서전송사가 된다.

1250년, 휘유각학사가 더해지고, 경호안무제치사, 지강릉부 겸 호광총령, 경호둔전사 등으로 자리를 옮겼으며, 다시 용도각 학사로 진출하였다. 이증백은 양양을 보수했으며 양양의 수비를 중시했고 조정에서 이를 동의한다.[1]

1253년 가단명전학사 겸 기로책응대사가 된다.

1254년, 사정전학사가 된 이후 사천변방을 마련해 집정관과 같은 대우를 내렸다. 곧 사천선무사를 증수하여[2] 동진사 출신을 특별히 하사하였다. 조정에서 그를 초치하여 알현하고, 자금전 대학사를 증수하고, 복주 겸 복건 무마사로 고쳤으며, 이증백은 힘써 임명을 사임하고 자정전대학사의 직책으로 동소궁에 올랐다. 이후 호남무마대사에 올라 지담주를 겸하고 광남제치사와 지정강부를 겸하였다.

1259년 정강 성을 수리하라는 명을 받는다.

1259년 9월 22일(10월 10일), 몽골의 대장 우량카다이[3]가 13,000명을 거느리고 정강성 아래로 진격하자[4] 이를 3차례나 방어하는 데 성공하고 몽골군은 호남 지역으로 퇴각한다.[5] 동년 상진위 관문전학사에 재직하였으나 가사도의 탄핵으로 인해 경직된다.

1264년 연해제치사·지경원부로 복직되나 이듬해 다시 전중시어사 진종례의 논박을 받아 직위해제되었고 1268년 세상을 떠난다.

1269년 이증백의 아들 이표가 그의 작품을 세상에 펴내었고 1275년 송 공제에 의해 원래 벼슬을 되찾는다.

3. 주요 작품

『가재잡고』가 세상에 전해진다.[6]

4. 작품의 특징

이증백의 작품의 특징은 시와 사, 문이 집중되어 있고 에서 성과가 나타난다. 여기서 사는 현재 200여 수가 있는데, 그 중 장조가 절대다수를 차지한다.

시련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관대하고 비장한 톤을 사용했고, 그는 신기질과 비슷한 뉘앙스[7]를 풍겼다.

"사고전서총목제요"는 그를 재기가 종횡무진하고 꽤 격에 맞지 않으며, 또한 매우 이질적이며 혜아를 줍는 것을 경멸한다고 평하는 등 이증백의 사 특징을 요약했다.

그러나 함축성과 과한 논의로 인해 작품 중 일부는 거칠고 호방하며 지루하고 이미지가 좋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5. 기타

순우 2년 양회제치사로 있을 때 몽골군의 차간[8]장유가 양회 일대를 공격하자 오하구와 영수, 와구의 방어에 주력했다.[9] 또한 양회성의 방어에 박차를 가해 전략적 위치가 중요한 태주성과 수춘성, 수영주성을 복원하는 데 주력했다.

여문덕과 고달, 유정, 주사손이 그의 밑에 있었다. 여기서 고달은 양양에서 몽골군을 격파하고, 백하에서 동문위[10]가 이끄는 몽골군을 격파하는 등 경호 전선에서 명성을 드날린다. 이후 1259년 악주 전투에서 공언휘를 주살하는 등 맹활약하지만, 가사도에게 배척당하였다. 양양 함락 뒤인 1275년 4월 7일 아리해아의 권유로 인해[11] 청양몽염과 함께 자신이 지키던 강릉을 바치고 원나라에 투항한다. 또한 유정은 초기에는 금나라 출신의 한인이었지만 맹공의 수하에 속하였고 이후 이증백의 수하로 있었다. 1261년 여문덕의 무시와 암해를 받고 자신과 사이가 좋지 않은 유흥이 사천제치사로 부임해 오자 이에 불안을 느끼고 자신이 지키던 노주를 몽골 제국에 바치고 투항한다.


[1] 여기서 고달이 이증백의 수하로서 몽골군을 방어한다.[2] 여개가 조정의 무고로 인해 급사했다.[3] 수부타이의 아들이다.[4] 몽케는 사천 방면, 쿠빌라이는 악주, 우량카다이는 광서 일대에서 북진했다.[5] 우량카다이는 이증백이 야습을 걸어오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무시한 채 호남 지역으로 북진하였다.[6] 이증백의 《가재잡고》는 34권, 속고 8권, 속고 후 12권이 있으며 《사고전서 진본초집》에서 볼 수 있다. 그 후손들은 '가재류원고'라는 공동명을 지었고, 그 안에는 7권의 단어가 들어 있다.[7] 신기질은 중원을 그리워하는 등 비분의 감정이 느껴진다.[8] 서하 출신의 몽골 장수[9] 여기서 남송군은 화약무기로 몽골군을 막아낸다.[10] 동문병의 아우이다.[11] 이전 아릭카야가 이끄는 원나라의 군대는 동정호에서 고세걸의 군대를 제압한 뒤 사시진에서 남송군을 대도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