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02 21:09:32

이충순

이충순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롯데우승엠블럼V2.jp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코치
1992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1a1748><tablebgcolor=#1a1748>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png두산 베어스 2군
역대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72c,#d3dade
<rowcolor=#15326f> 초대 2대 3대 4대
강대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3~1984)
배수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5)
이충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6)
이선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7)
감독 대행
이광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7)
<rowcolor=#15326f> 5대 6대 7대 8대
이광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
감독 대행
이선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1990)
윤동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0~1991)
정연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1~1994)
손상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5~1996)
<rowcolor=#15326f> 9대 10대 11대 12대 13대
김윤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7)
손상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강태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손상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3)
송재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2006)
14대 <rowcolor=#131230> 15대 16대 17대
박종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2009)
김광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
박승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
송재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
감독 대행
김우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
<rowcolor=#131230> 18대 19대 20대 21대 22대
송일수 파일:일본 국기.svg
(2013)
황병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송재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
공필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2017)
이강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
<rowcolor=#131230> 23대 24대 25대 26대 27대
강석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2019)
박철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2021)
이복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이정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2024)
니무라 파일:일본 국기.svg
(2025~)
}}}}}}}}}}}}}}} ||

OB 베어스 등번호 87번
결번 이충순
(1983~1986)
박종훈
(2007~2009)
MBC 청룡 등번호 77번
팀 창단 이충순
(1987~1989)
이광환
(1992~1996)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70번
김진영
(1990)
이충순
(1991~1993)
차명주
(1996~1997)
한화 이글스 등번호 82번
김명성
(1991~1993)
이충순
(1994~1996)
장종훈
(2006)
쌍방울 레이더스 등번호 84번
결번 이충순
(1997~1998)
결번
SK 와이번스 등번호 77번
김준환
(2000)
이충순
(2001~2002)
김대진
(2003~2004)
}}} ||
파일:충순코치.jpg
이충순
출생 1946년
함경북도 명천군
사망 2023년 1월 28일 (향년 76세)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대광중 - 경동고
포지션 투수
소속팀 한국전력공사 야구단 (1966~1975)
지도자 마산용마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1976~1977)
중앙대학교 야구부 감독 (1982)
OB 베어스 2군 투수코치 (1983~1985)
OB 베어스 2군 감독 (1986)
MBC 청룡 1군 투수코치 (1987~1989)
롯데 자이언츠 1군 투수코치 (1991~1993)
한화 이글스 1군 투수코치 (1994~1996)
쌍방울 레이더스 1군 투수코치 (1997)
쌍방울 레이더스 2군 감독 (1998)
SK 와이번스 1군 투수코치 (2001~2002)[1]
SK 와이번스 2군 투수코치 (2002)[2]
해설위원 KBS 라디오 야구 해설위원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야구인.

2. 선수 경력

1946년 함경도 명천에서 태어났고 중학생 때부터 야구를 시작했다. 중학생 시절 야구가 하고 싶어서 대광중으로 옮기느라 중학교 1년 유급되었다. 경동고 1학년 때까지는 포수로 뛰다가 당시 김일배 감독이 "키(185㎝)가 크니 투수를 해보라"라고 권해서 2학년 때부터 투수로 활약했다. 고교 졸업 후 1966∼1975년 실업팀 한국전력에서 김명성 전 롯데 감독과 함께 주전 투수로 활약했다.

3. 지도자 경력

1976년 마산상고 감독, 1982년 중앙대 감독을 거쳐서 1983년 OB 베어스 2군 코치로 발탁됐다. 그의 아들 이준서씨는 "김성근 감독님이 뽑아주셨다. 그 후 프로야구에선 김성근 감독님이나 강병철 감독님과 늘 같이하셨다"고 말했다. 1986년 MBC 청룡 코치로 활약한 뒤 롯데와 한화 시절엔 강병철 감독과 함께 했고, 쌍방울 시절엔 김성근 감독, SK 시절엔 다시 강병철 감독과 호흡을 맞췄다.

1990년 롯데 코치로 부임하자마자 전해 부상으로 1년간 활약하지 못한 윤학길을 다시 마운드에 설 수 있게 훈련시켰고, 1992년엔 염종석을 발굴했다.[3]
염종석은 개막전 엔트리부터 합류하며 35경기에 등판, 17승9패 6세이브, 평균자책점 2.33, WHIP(이닝당 출루 허용률) 1.01을 기록하며 그해 신인왕과 투수 골든글러브를 휩쓸었고, 포스트시즌에서도 4승 1세이브, 평균자책점 1.47로 우승의 주역이 됐다.[4]

프로야구 코치 생활을 끝낸 뒤에는 전주고·연세대 인스트럭터로 일했고, 2007년 카자흐스탄과 파키스탄 어린이에게 야구를 가르치기도 했다.

2023년 1월 28일 파킨슨병으로 타계했다. 빈소는 분당서울대병원 장례식장 5호실에 마련됐다. 생전 2011년 약속한 대로 30일 시신 기증 절차(한양대병원)가 진행될 예정이다.#

4. 관련 문서


[1] ~8월 12일[2] 8월 13일~[3] 염종석은 부산고 졸업 후 원래 경성대에 갈 예정이었지만 집안 사정으로 갑자기 롯데에 입단한 신인이었다.[4] 당시 기록한 WAR(대체 선수 대비 승리 기여도) 8.40으로 KBO 역사상 역대 신인 최고로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