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7 23:07:09

인피니티 드래곤(듀얼마스터즈)


1. 개요2. 원작3. 플레이스

1. 개요

듀얼마스터즈의 카드로 이름이 인피니티 드래곤인 종족과는 인피니티 부분의 표기법이 다르다

2. 원작

한글판 명칭 인피니티 드래곤
일어판 명칭 インフィニティ・ドラゴン
크리처
코스트 문명 종족 파워
7 아머드 드래곤 7000
■자신의 "드래곤"이 배틀 존을 떠날 때, 자신의 덱 가장 위에 있는 카드를 묘지에 놓는다. 그 카드가 "드래곤" 또는 "파이어 버드"일 경우, 자신의 "드래곤"은 배틀 존을 떠나지 않고 남는다.
W 브레이커
전당 레귤레이션 전당 카드
일본판 기준으로 DM-22에서 처음 수록된 불 문명의 드래곤 크리처.

자신의 드래곤이 어떠한 방식이든 간에 배틀 존을 떠날 때 자신의 덱을 위에서 한 장을 묘지에 놓은 뒤 드래곤이나 파이어 버드 종족의 카드가 보내지면 배틀 존을 떠나야 할 자신의 드래곤은 배틀 존에 남게 하는 효과를 가졌다.

드래곤을 마구 내는 데 특화된 덱에서 어느정도 운이 필요하다고 하지만 본인조차 자신의 효과로 버틸 수 있기에 절대적인 수준의 내성을 줄 수 있다. 카드풀이 많이 늘어난 현대에도 배틀 존을 떠나는 효과면 다 막을 수 있다보니 봉인이나 파워를 0으로 만드는 등 유니크한 제거만 먹히다보니 충분히 제기능을 한다. 현대에는 오히려 트윈팩트, 볼샤크 에이코 루피아처럼 주문을 대체할 수 있는 파이어버드와 드래곤이 생겼기에 어떤 의미론 더 튼튼해졌다.

이런 이유인지 대체제도 생겼고 파워 7000의 더블 브레이커 뿐이라는 이제와선 코스트에 비해 심심한 스펙임에도 불구하고 전당에 머물러 있다.

3. 플레이스

한글판 명칭 인피니티 드래곤
일어판 명칭 インフィニティ・ドラゴン
크리처
코스트 문명 종족 파워
7 아머드 드래곤 7000
■자신의 드래곤이 배틀 존을 떠났을 때, 자신의 덱 ​​위에서 1장째를 앞면으로 한다. 그 카드가 드래곤 또는 파이어 버드이면 배틀 존에 내고, 그렇지 않으면 자신의 묘지에 둔다.(각 플레이어의 1턴 중, 효과의 적용을 9회까지로 한다.)
W 브레이커
전당까지 간 카드이다보니 효과가 많이 바뀌었다.

드래곤이 배틀 존을 벗어날 때 덱 위를 보는 것까지는 똑같지만 플레이스 버전은 종이판과 반대로 떠나는 크리처는 그대로 보낸 뒤 덱 맨 위 카드를 꺼낸다. 이 때문에 실드 트리거 관통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힘들어졌고 이 카드 자체가 데몬 핸드 등으로 쉽게 제거당하는 단점이 생겼다.

하지만 저코스트의 드래곤을 파괴했더니 볼메테우스 사파이어 드래곤 같은 초대형 크리처가 나오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는 잠재적 위험을 통해 압박을 걸 수 있으며 환상요정 카츄아나 어둠 문명의 카드를 통해 자신이 자신의 드래곤을 파괴하고 가챠를 하는 식의 사용이 가능해졌다.

모바일 게임 특성 상 루프 발생 시[1] 플레이 타임이 과하게 늘어나는 사태가 일어나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나중에 패치로 효과가 한 턴에 9번까지만 적용되는 조정을 받았다.
[1] 제어의 날개 오리오티스 같은 지속 효과에 의해 메타로 나온 드래곤이 자꾸 돌아가버리는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