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09:50:30

저스틴 브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svg피츠버그 파이리츠
2024 시즌 40인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e5e5e5
<colcolor=#fdb827>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fdb827,#d89301> 23 켈러 · 24 오비에도IL-60 · 26 팔터 · 27 M.곤잘레스IL-60 · 28 플레밍 · 30 스킨스 · 35 홀더맨 · 36 모레타IL-60 · 37 존스 · 43 보루키IL-60 · 45 채프먼 · 46 프리스터IL-15 · 48 오티즈 · 50 머진스키 · 51 베드나 · 53 버로우스40인 · 54 페레스IL-15 · 56 브룰40인 · 59 제프리스 · 60 산타나 · 62 니콜라스 · 63 스트래튼IL-15 · 67 애시크래프트40인 · 72 라이언40인
포수 6 그랜달 · 14 바트IL-10 · 25 로드리게스IL-60 · 32 데이비스IL-7 · 55 딜레이
내야수 2 · 13 헤이스 · 15 크루즈 · 19 트리올로 · 25 윌리엄스40인 · 31 페게로40인 · 39 N.곤잘레스 · 44 텔레즈 · 71 정쭝저40인
외야수 3 배지환IL-10 · 10 레이놀즈 · 18 테일러 · 22 맥커친 · 38 올리바레스 · 65 수윈스키 · 77 팔라시오스40인
''' 파일:미국 국기.svg 데릭 셸턴''' 파일:미국 국기.svg 돈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오스카 마린
파일:미국 국기.svg 앤디 헤인즈 파일:미국 국기.svg 타릭 브록 ·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크 라벨로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인디애나폴리스 인디언스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
저스틴 브룰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63번
쉘든 노이지
(2021)
저스틴 브룰
(2021~2023)
카일 허트
(2023~)
콜로라도 로키스 등번호 55번
브래드 핸드
(2023)
저스틴 브룰
(2023)
결번
피츠버그 파이리츠 등번호 56번
그랜트 쿡
(2024)
저스틴 브룰
(2024~)
현역
}}} ||
파일:파이리츠브룰.jpg
<colbgcolor=#000><colcolor=#fdb827> 피츠버그 파이리츠 No.56
저스틴 브룰
Justin Bruihl
[1]
출생 1997년 6월 26일 ([age(1997-06-26)]세)
캘리포니아 주 페탈루마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캘리포니아 폴리테크닉 주립대학교
신체 188cm, 97kg
포지션 투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입단 2017년 아마추어 자유계약 (LAD)
소속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21~2023)
콜로라도 로키스 (2023)
피츠버그 파이리츠 (2024~)
계약 1yr / $740,000
연봉 2024 / $740,000


[clearfix]

1. 개요

피츠버그 파이리츠 소속 좌완 투수.

2. 선수 경력

2.1.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파일:MLB-DODGERS-ANGELS.jpg

고교 졸업반 당시 토미 존 수술을 받는 바람에 졸업반을 통째로 날렸고 이후 대학 진학 후에도 수술 후유증으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 결과 2017년 드래프트에 지명을 받지 못한 뒤, 같은 해 7월 15일에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아마추어 자유계약을 맺고 입단을 했다.

2.1.1. 2021 시즌

8월 8일에 메이저 리그로 승격되었다. 승격된 날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전에서 8회초 2:8로 이기고 있는 1사 2, 3루 상황에서 등판해 1⅔이닝 무피안타 1볼넷 2K 무실점으로 나름 성공적인 데뷔전을 마쳤다.

8월 10일 필라델피아전 6회말 2사 1,2루에서 코리 크네블의 뒤를 이어 등판해 공 한 개로 브래드 밀러를 1루수 땅볼 아웃으로 잡아내며 6회를 끝냈고, 7회말에도 나와 오두벨 에레라를 중견수 라인드라이브로 잡아낸 뒤 로날드 토레예스에게 볼넷을 기록했지만, 트래비스 잰카우스키를 삼진으로 잡아내며 7회 2사에서 브루스더 그라테롤에게 마운드를 넘겼다. 그라테롤도 루크 윌리엄스를 삼진으로 막아내며 7회말 종료. 총 1이닝 1볼넷 1K 무실점으로 호투를 펼치면서 팀도 5:0으로 승리하고 본인도 데뷔 첫 홀드를 챙겼다.

결국 LOOGY 역할로 후반기 막판까지 좋은 활약을 하고 2021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엔트리에까지 승선하는 데에 성공했지만, 결국 시리즈 도중 팔뚝 부상으로 이탈하는 바람에 팀의 챔피언십 시리즈 탈락을 지켜봐야했다. 이후 브룰 본인은 자신의 트위터에 미지명 자유계약이라는 신분이었음에도 4년 동안 지켜봐주고 메이저 리그 로스터에서 기회를 준 다저스 구단에게 감사하다는 인사를 남기기도 했다.

2.1.2. 2022 시즌

지난해보다 많은 기회를 받았지만 그만큼 확실히 소포모어 징크스를 겪으며 지난해보다 떨어진 성적을 기록했다.

2.1.3. 2023 시즌

아직 제구는 불안하지만 그래도 확실히 지난 시즌보다는 나아진 모습을 보이며 5월 현재 ERA 1.35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0경기에서 1승 1홀드 24⅓이닝 ERA 4.07 WHIP 1.315 fWAR 0.1 bWAR 0.2를 기록한 뒤 7월 28일, 트레이드로 영입된 랜스 린조 켈리의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지명할당되었고, 이후 콜로라도 로키스로 현금 트레이드되었다.

2.2. 콜로라도 로키스

파일:로키스브룰.jpg

7경기에 등판한 뒤 8월 25일 DFA되었고 이후 마이너로 권리가 이관되었다.

2.3. 피츠버그 파이리츠

2024년 6월 6일 피츠버그와 메이저 계약을 맺었다.

3. 플레이 스타일

4. 연도별 성적

파일:MLB 로고.svg 저스틴 브룰의 역대 MLB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G W L S HLD IP ERA H HR BB HBP SO WHIP ERA+ fWAR bWAR
2021 LAD 21 0 1 0 3 18⅔ 2.89 13 1 7 1 11 1.071 144 0.2 0.3
2022 24 1 1 1 3 23⅔ 3.80 22 4 6 3 13 1.183 111 -0.3 0.0
<rowcolor=#c4ced4> 연도 G W L S HLD IP ERA H HR BB HBP SO WHIP ERA+ fWAR bWAR
2023 LAD/COL 27 1 0 0 1 28 5.46 28 2 11 3 22 1.393 84 0.1 -0.2
MLB 통산
(3시즌)
72 2 2 1 7 70⅓ 4.22 63 7 24 7 46 1.237 103 0.0 0.2

5. 여담



[1] i와 h가 묵음이며, 브룰이라고 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