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000> | 전쟁 관련 문서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선전포고 | 전략 | 전쟁범죄 | 목록 | 명언 | |||
분류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한전(국지전) | 전면전(총력전)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내전(독립전쟁) | 소모전(참호전) | 기동전(전격전) | }}} |
1. 개요
전술은 "전투나 작전에서 사용되는 군사적 기술과 방법", 또는 "일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수단과 방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을 뜻하는 말이다. 일반적으로 전술이라고 하면 첫 번째 의미인 군사적 의미의 전략을 의미한다. 군사적 의미로 사용될 때는 전략, 작전술과 비슷하면서도 좀 더 하위의 개념이다. 이 쪽 의미로 쓰이는 전략은 군사 관련 정보, 분류는 문서로.군사적인 의미 외에도 전반적인 사회 활동에 광범위한 범위로 사용하기 때문에 헷갈릴 사람들을 위해 간략히 설명하면 둘 이상의 개인 혹은 집단이 각자 목표를 설정할 때, 그것을 이루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야 하며, 여러 조건을 가진 상대 집단(들)에게 어떠한 태도를 취해야 하는가 라는 것에 대해 각자의 사정에 따라 답을 내리는 것이 전술의 수립이고 그 답이 전술이다. 따라서 군사적인 의미에서 전술은 전투상황에서 전투를 승리로 이끌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일 것이고, 돌발상황에서는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를 군이나 이에 상응할 수 있는 조직이 정립한 계책이라고 할 수 있다.
비슷한 개념인 전략과의 관계에 대해 말하자면 전략은 전술보다 광대한 범위를 다루기 때문에 아무리 전술이 좋아도 전략이 엉망이면 최종적으로 전쟁에서 패배한다. 그렇다고 전술이 안중요한가 하면 그건 아니다. 전략만 좋고 전술이 나쁘다면 결국 전쟁의 향방은 그 과정에 있는 일련에 전투들 이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승리하기 어려워 꼭 우열을 가리긴 어렵다..
1.1. 군사전술
1.1.1. 작전술/전략과의 차이
19세기와 그 이전에는 아군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적의 피해를 최대화하여 종국에 전쟁을 이기기 위한 계획이 전략이고, 그 실행 방법이 전술이며, 실제 행동은 전투를 통해 이뤄진다고 보았다. 당시에는 대규모의 회전 한두번으로 적군을 괴멸시키고 영토를 정복했기에 전술은 전쟁에 알파이자 오메가였다.그러나 시간이 지나고 산업혁명을 거치며 정치적, 경제적, 인구적으로 국가가 성장했다. 국가 규모의 성장으로 인해 단순히 회전 몇번으로 적을 궤멸시키고 국가를 정복하기 어려워졌다. 전투의 수 역시 많아졌고, 이 전투들을 아울러 전략과 연결시키기 위한 개념으로 작전술이 등장했다. 현대 서방 군사학계에서는 용병술을 군사전략 - 작전술 - 전술의 3단계로 구분한다.
- 전술
각 전투부대 지휘관이 수행하는 용병술로, 전투와 교전 차원에서 각 부대 및 해당 전투원이 각자 어떻게 싸워야 하는가에 대한 방법이자 과학이다. 전투란, "적을 섬멸하여 승리를 획득하기 위한 직접적인 행동"[1]이다. 무기체계에 '전술'이 붙게 되면, 전투가 진행되는 개별 전장에 적용하거나 전술적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2]
- 작전술
합참, 군사령부 수준에서 수행하는 용병술로, 전구 차원에서 승리하기 위해 적용한다. 이를 위해 작전술은 전역과 주요작전들을 구상하고 용병술 체계 내에서 예하부대의 전술적 행동이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도록 구성하는 역할을 맞는다.
- 군사전략
국가 최고지도부와 국방부가 수행하는 용병술로 국가, 국방전략 틀 안에서 군사력 운용을 정치와 연계하고 작전술에 지침을 제공한다. 현대적인 의미의 전략은 아예 전쟁터 밖에서 이뤄진다. 전쟁에 시행여부를 결정하고, 국민들을 단합시키고, 외교로 아군을 모으는 등 국가 차원에서 적국을 이기기 위해 수행하는 모든 일이 전략이다. 현대 국가에서 문민통제가 강조되는 이유다. 전략적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 정치·외교·내정의 전문 능력을 가지고 있는 민간 정부가 전략 수립 및 실행의 주도권을 잡아야 한다.
1.1.2. 중요성
기본적으로는 전술은 전쟁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아무리 전략적 승리가 전쟁에 승리 여부를 결정한다지만 아무리 전략을 잘 세워도 전술적 승리를 하지 못한다면 그 전략 목표를 이뤄낼수가 없어 결국 전쟁에서 패배한다. 애초에 작전술이란 개념의 등장이 전술적 승리가 전략적 승리에 기여하지 못하는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였다. 전술이 하찮은 것이었다면 나폴레옹이 체급 면에서 비교도 안되는 유럽 전역을 상대로 승리하는 전설적인 신화도 없었을 것이다. 현대의 용병술은 개별적인 전술적 승리를 전략 목표와 연결하는 것을 기본전제로 한다.다만, 전술적 성과가 크더라도 전략을 잘못짜면 끝내 패배하게 된다. 예시로는 2차 대전의 독일군이 있다. 전술적으로는 수없이 많은 승리를 거두었고 패하더라도 적군에게 많은 피해를 안겨줬지만, 전략을 잘못 짜서(혹은 이를 전략적 이점으로 연결하지 못해서) 결국 비참하게 패전했다.
1.2. 전쟁 이외의 분야에서
현재는 다른 영역에서도 전술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어느 영역에 적용하든지 해당 영역에서 경쟁 우위에 서기 위한 방법론을 의미하게 되며, 이때는 보통 전략이라는 단어와 혼용하여 쓰인다.1.2.1. 경제학에서의 전술
게임이론의 개념이다. 전략형 게임 문서로.1.3. 관련 문서
[1] 이태규, 군사용어사전, 일월서각, 2012.[2] 마케팅에서는 군경 및 아웃도어인들을 위한 각종 장비나 피복에 무광 흑색이나 위장무늬 칠해서 출시해놓고 "전술 000", “택티컬 000”라고 부르며 전술을 남용하는 경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