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5 21:30:02

정열모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aaa
권덕규 권승욱 김도연 김법린 김선기
김양수 김윤경 김종철 리극로 서민호
서승효 신윤국 안재홍 안호상 윤병호
이강래 이만규 이병기 이석린 이우식
이윤재 이은상 이인 이중화 이희승
장지영 장현식 정열모 정인섭 정인승
정태진 최현배 한징 }}}}}}}}}}}}
<colbgcolor=#121212><colcolor=#fef2ca>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열모
鄭烈模|Jeong Yeolmo
출생 1895년 11월 1일
충청북도 회인군 향상사
(현 충청북도 보은군 회북면)
사망 1967년 8월 14일 (향년 71세)
북한
국적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1]
직업 교사, 독립운동가, 언어학자
경력 조선어학회 회원

1. 개요2. 생애
2.1. 일제강점기2.2. 해방 후

1. 개요

일제강점기와 북한의 독립운동가, 언어학자. 조선어학회 회원으로 한글연구를 하던 중 조선어학회 사건에 연루되기도 했다.

2. 생애

2.1. 일제강점기

그는 회인보통학교를 마치고 서울로 상경하여 경성고등보통학교나 다른 학교에 적을 두면서 주시경이 주도한 조선어강습원에 최현배와 함께 참여해 1912년 3월 중등과 제5회를, 1914년 3월에 고등과 제2회를 수석으로 수료했다. 정열모는 와세다대학에서 재학 중이던 중 다른 유학생들과 함께 교육실업단을 조직해 방학 기간 중 국내에서 순회강연을 했다.[2]

일본 유학을 마치고 그는 조선어연구회에서 일하며 한글연구를 계속 전개하고 강연회에도 많이 참여했다. 그는 한글연구를 하며 김두봉, 신명균, 권덕규, 장지영, 최현배와 가까이 지냈다.

그는 많은 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면서 학교 설립에 기여하던 중 조선어학회 사건에 연루되며 교장직을 사임하고 일경에게 체포되어 유치장으로 수감되었다. 1944년 9월 30일 장지영과 함께 석방된 후 농가에 칩거했다.

2.2. 해방 후

광복 후, 그는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김천지방위원장으로 추대되었다. 그는 김구, 김규식과 함께 남북통일과 좌우 정당의 합작을 촉구하기도 하였다.[3] 계속 정치 활동을 하던 중, 6.25 전쟁이 일어나서 납북되었다. 그는 1955년 10월 김일성종합대학 언어학교수, 1958년 4월 사회과학원 언어학 연구실 교수, 1964년 4월 사회과학원 후보 원사, 1965년 1월 사회과학원 언어학 연구실 교수와 후보원사 등에 임명되어 계속 한글연구를 하던 중 1967년 8월 14일 사망했다.






[1] 6.25 전쟁 때 납북.[2] 강연회에서 정열모는 ‘우리의 살 길’이라는 제목으로 강연을 했다.[3] 이런 활동으로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구속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