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회 체스 올림피아드 10th Chess Olympiad | ||
| ||
대회기간 | 1952년 8월 9일 ~ 8월 31일 | |
개최지 | [[핀란드| ]][[틀:국기| ]][[틀:국기| ]] 헬싱키 | |
참가국 | 25개국 | |
대회 결과 | ||
금메달 | [[소련| ]][[틀:국기| ]][[틀:국기| ]] | |
은메달 | [[아르헨티나| ]][[틀:국기| ]][[틀:국기| ]] | |
동메달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 |
이전·이후 대회 | ||
1950년 유고슬라비아 | 1952년 핀란드 | 1954년 네덜란드 |
[clearfix]
1. 개요
10회부터 참가국이 많아지면서 8회처럼 예선전과 본선전을 나눠 진행했다. 또 새로운 체스 초강국인 소련의 등장으로 매 대회마다 금메달을 휩쓸기 시작했다.2. 예선
각 조마다 1~3위는 A조로 진출하고 4~6위는 B조, 나머지는 C조로 진출하는 방식이다.2.1. 1조
<rowcolor=#8f5432> 순위 | 국가 | 승점 | 비고 | |||
1 | | 아르헨티나 | 25½ | |||
2 | | 서독 | 23 | |||
3 | | 체코슬로바키아 | 22½ | |||
4 | | 잉글랜드 | 18 | |||
5 | | 덴마크 | 15½ | |||
6 | | 쿠바 | 14 | |||
7 | | 아이슬란드 | 12½ | |||
8 | | 자르 | 10½ | |||
9 | | 룩셈부르크 | 2½ | |||
■ A조 진출 | ■ B조 진출| ■ C조 진출 |
2.2. 2조
<rowcolor=#8f5432> 순위 | 국가 | 승점 | 비고 | |||
1 | | 스웨덴 | 21 | |||
2 | | 헝가리 | 20½ | |||
3 | | 유고슬라비아 | 18½ | |||
4 | | 동독 | 13½ | |||
5 | | 오스트리아 | 11½ | |||
6 | | 이탈리아 | 11 | |||
7 | | 브라질 | 10½ | |||
8 | | 노르웨이 | 5½ | |||
■ A조 진출 | ■ B조 진출| ■ C조 진출 |
2.3. 3조
<rowcolor=#8f5432> 순위 | 국가 | 승점 | 비고 | |||
1 | | 소련 | 23½ | |||
2 | | 미국 | 18 | |||
3 | | 핀란드 | 17 | 개최국 | ||
4 | | 이스라엘 | 16 | |||
5 | | 네덜란드 | 13½ | |||
6 | | 폴란드 | 12½ | |||
7 | | 스위스 | 7½ | |||
8 | | 그리스 | 4 | |||
■ A조 진출 | ■ B조 진출| ■ C조 진출 |
2.4. 평가
- 1조는 아르헨티나, 서독, 체코슬로바키아가 초반에 공동 1위를 기록하고 접전을 펼치다 아르헨티나가 계속 앞서나가면서 마무리 되었다.
- 2조는 스웨덴이 우승후보인 헝가리와 유고슬라비아를 이기고 1위를 차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브라질은 아쉽게 ½점 차로 B조 진출에 실패했다.
- 미국과 소련이 배정된
냉전의 조,3조는 소련이 압도적으로 1위를 차지하고 미국이 2위를 차지했다. 핀란드는 1점 차로 아슬아슬하게 A조로 진출했고 야심차게 등장한 이스라엘이 1점 차로 아깝게 B조로 진출했다.
3. 본선
3.1. A조
<rowcolor=#8f5432> 순위 | 국가 | 승점 | 비고 | |
1 | | 소련 | 21 | |
2 | | 아르헨티나 | 19½ | |
3 | | 유고슬라비아 | 19 | |
4 | | 체코슬로바키아 | 18 | |
5 | | 미국 | 17 | |
6 | | 헝가리 | 16 | |
7 | | 스웨덴 | 13 | |
8 | | 서독 | 10½ | |
9 | | 핀란드 | 10 | 개최국 |
3.2. B조
<rowcolor=#8f5432> 순위 | 국가 | 승점 | 비고 | |
10 | | 네덜란드 | 21 | |
11 | | 이스라엘 | 19½ | |
12 | | 폴란드 | 16½ | |
13 | | 동독 | 16½ | |
14 | | 덴마크 | 16 | |
15 | | 쿠바 | 15 | |
16 | | 잉글랜드 | 14 | |
17 | | 오스트리아 | 13 | |
18 | | 이탈리아 | 12½ |
3.3. C조
<rowcolor=#8f5432> 순위 | 국가 | 승점 | 비고 | |
19 | | 브라질 | 18½ | |
20 | | 그리스 | 13½ | |
21 | | 노르웨이 | 13 | |
22 | | 스위스 | 13 | |
23 | | 아이슬란드 | 12½ | |
24 | | 자르 | 12 | |
25 | | 룩셈부르크 | 1 |
3.4. 평가
- A조에서 아르헨티나와 유고슬라비아가 2위 자리를 두고 접전을 벌였다. 아르헨티나가 초반에 부진한 모습을 보여줬지만 ½점 차로 역전승을 거뒀다. 미국도 초반에 앞서나가는 성적을 보여줬지만, 의외로 스웨덴과 핀란드를 상대로 높은 점수를 얻지 못하고 5등으로 마무리 되었다.
- B조 상위권에선 이스라엘도 좋은 성적을 보여줬지만 마지막 부분에 오스트리아와 경기에서 비기면서 네덜란드에게 1위 자리를 내어주게 된다.
- C조에서는 브라질이 압승했고, 모두 점수가 비슷해서 아슬아슬하게 마무리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