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 [ 펼치기 · 접기 ]
- ||<-3><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000,#fff><tablewidth=100%><height=42><|1><width=25%> 방송 규칙 ||<-3><width=25%> 방송 기록 ||<-3><width=25%> 방송 역사 ||<-3><width=25%> 방송 외 활동 ||
콘텐츠 의상 구독 배지 · 이모티콘 · 도네 이펙트 제2회 치레동: 슈퍼 포뮬러
<colbgcolor=#124><colcolor=#fff> 제2회 치지직 레이싱 동아리: 슈퍼 포뮬러 The 2nd CHZZK Racing Club: Super Formula | |
<bgcolor=#fff,#1c1d1f> | |
주최 | 남궁혁, 형독 |
게임 종목 | 그란 투리스모 7 |
일정 | 예선: 2025년 6월 29일 (일) 본 경기: 2025년 7월 6일 (일) |
해설진 | |
참가자 | 남궁혁, 형독, 요나, 강지형, 문호준 등 치지직 스트리머 20명 확정, 이후 최대 24명까지 증원 가능 |
1. 개요
남궁혁과 형독이 2025년 6월 29일과 7월 6일에 개최하는 그란 투리스모 7 스트리머 대회이다. 대회 일정만 확정되었으며, 대회 이름을 비롯한 아래의 세부사항 및 진행 방식 등은 추후 변경될 수 있다.2. 주요 변경 사항
직전 대회인 고속도로 배틀과 비교시 달라진 점은 다음과 같으며, 추후 변경될 수 있다.- 팀은 고속도로 배틀과 동일하게 4개의 팀으로 구성되며, 고속도로 배틀의 개인 성적 상위 4명을 각 팀의 팀장으로 정했기 때문에 팀장도 남궁혁, 형독, 요나, 강지형으로 고속도로 배틀과 같다.
- 경기 진행{{{#!wiki style="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010101> | 제1회: 고속도로 배틀 | 제2회: 슈퍼 포뮬러 |
참가자 | <colcolor=#808080,#808080> 12명 | 20 ~ 24명 |
예선 | X | O[1] |
팀 결정 | 팀장 제외 전체 랜덤 | 팀장 경매[2] |
경기 방식 | 전체 팀전 | 1:1 팀전 토너먼트[3] |
경기 차량 | GT 차량 | 포뮬러 차량 |
랩 수 | 13랩 | 20랩 정도[4] |
페널티 | 인게임 페널티 | 심판제 페널티[5] |
- 그란 투리스모 7 세부 설정{{{#!wiki style="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010101> | 제1회: 고속도로 배틀 | 제2회: 슈퍼 포뮬러 |
부스트 | <colcolor=#808080,#808080> O | X |
레이스 중 고스트 화 | O | X |
플래그 룰[6] | X | O |
타이어 마모 | OFF | 3~5배[7] |
사용 의무 타이어 | - | 레이싱 타이어 하드(RH) 또는 소프트(RS) |
3. 대회 정보
3.1. 포스터
|
4. 진행 내역
4.1. 팀 드래프트 결과
- 방식: 예선 결과를 바탕으로 팀장이 팀원을 입찰하는 경매 방식.
- 경매 결과 {{{#!wiki style="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010101> 팀 명 | 팀장 | 팀원 | |||
? | [[남궁혁| No. 14 ]] 남궁혁 | ? | |||
? | [[형독| No. 07 ]] 형독 | ? | |||
? | [[V-llage#s-3.2| No. 02 ]] 요나 | ? |
[1] 스트리머 레이싱 리그와는 달리 예선임에도 퀄리파잉만 진행하는게 아니라 퀄리파잉과 레이스 모두 진행한다. 예선 탈락은 없으며, 팀 결정 경매에서 팀장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팀장인 남궁혁, 형독, 요나, 강지형은 예선 경기에 직접 참가하지는 않되, 팀원이 될 참가자를 파악하기 위해 그란 투리스모 7 내의 관전 기능을 사용하여 직접 관전한다.[2] 예선 결과를 바탕으로 팀장이 일정한 예산을 갖고 팀원을 입찰하는 방식이다.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 3성급 팀장에게 4성급 팀장보다 조금 더 많은 포인트를 줄 수도 있다고 한다.[3] 트랙 위에 있는 차량 중 절반이 같은 팀이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하면 엄청난 손해가 발생한다. 따라서 보내줄 차량은 먼저 보내주는 등 실시간 소통이 중요해진다.[4] 포뮬러 차량의 속도가 GT 차량보다 빠른 것을 고려하여, 경기 시간이 지난 경기와 비슷하게 1경기당 30분 정도가 되도록 랩 수를 맞출 것이라고 한다.[5] 스트리머 레이싱 리그 때는 심판이 옵저버 포함 5명이었으나, 이번 치레동에서는 심판이 3명이다.[6] 코스 가장자리의 마셜이 흔드는 깃발이 유효해지는 기능으로, 해당 설정을 켜면 사고 차량(옐로 플래그 - 황색기)이나, 1바퀴 이상 뒤처진 차량(블루 플래그 - 청색기)에 투명화가 적용된다.[7] 1경기당 1번은 무조건 피트인해서 타이어를 교체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