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4 02:33:44

졸·병

졸(장기)에서 넘어옴
의 기물
파일:장기 기물 초궁.svg 파일:장기 기물 한차.svg 파일:장기 기물 초포.svg 파일:장기 기물 한마.svg 파일:장기 기물 초상.svg 파일:장기 기물 병.svg 파일:장기 기물 초사.svg
졸·병
파일:장기 기물 졸.svg 파일:장기 기물 병.svg
1. 개요2. 설명

1. 개요

卒·兵. 장기의 기물 계통 중 하나. 기물 배치 시 장기판에서 맨 앞에 위치하고 있다.[1]

각각은 장기판 내에서 가장 약하나, 그 대신 수가 가장 많은 기물이다. 서로 뭉쳐서 약점을 보완하기에 무시 못할 위력을 갖는다. 일부 장기에서는 승급을 할 수 있어서 강력한 기물로 탈바꿈하는 잠재적인 가치도 존재하므로 때에 따라서 졸병이 고가치 기물이 되기도 한다.

한국 장기에서는 왕이 초/한으로 표기되듯 졸/병으로 표기가 다르다. 샹치도 마찬가지로 왕과 졸병이 진영마다 다르게 표기된다. 이외에도 쇼기에서는 보(후효), 체스에서는 폰, 막룩에서는 비아 등으로 불린다.

2. 설명

[include(틀:장기게임, 25=한궁, 25색=171bce, 95=초궁, 65=병, 34=졸, 06=병,
33=초이동, 35=초이동, 24=초이동, 44=초이동, 64=한이동, 66=한이동, 55=한이동, 75=한이동, 05=한이동, 07=한이동)]
궁과 마찬가지로 진영에 따라 글자가 다른 기물로 초나라 쪽이 졸이고, 한나라 쪽이 병이다. 두 한자 모두 말단 군인을 뜻한다. 왼쪽, 오른쪽, 앞쪽으로 1칸씩 움직일 수 있으며 후퇴는 할 수 없다. 만약 궁성에 진입하면 궁성에 그려진 대각선을 따라 왼쪽 앞이나 오른쪽 앞으로 전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대각선을 후퇴할 수는 없다. 상대 진영 쪽 끝줄에 도달한다면 좌우로만 움직이게 된다. 점수는 개당 2점이다.

체스에서 대응되는 기물은 이며, 진짜 군대로 따지자면 보병에 해당되는 기물로 쇼기에서는 이에 대응되는 기물 이름부터 보병이다. 실제 전투에서도 보병이 앞에서 적들과 교전하고 뒤에 있는 기병으로 타격을 하는 방식인 만큼 장기도 배치부터 이와 흡사하게 진행된다.

체스에서의 폰과 같이 한 개의 힘은 매우 허약하다. 하지만 이 기물은 인해전술에 특화되어 있는 기물로 체스의 폰처럼 많이 뭉쳐 있을수록 기하급수적으로 강해지는 기물이다. 그래서 맨 처음 주어지는 숫자도 5개로 제일 많다. 초반에는 다른 기물들에 비해 약하고 수동적으로 움직이게 되며 보잘 것 없다. 그러나 후반으로 갈수록 주변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점점 막강해진다. 앞이나 옆으로 한 칸씩만 이동한다는 점에서 느릿하지만 확실한 공격수단이기도 하며, 의 부족한 공격능력은 졸&병의 여러마리와 같이 움직인다면 이상으로 굉장히 위협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 후반에 차와 마가 거의 전멸한 상황이라면, 졸&병이 가장 강력한 기물이 된다. 단, 졸·병이 한 마리밖에 남지 않았다면 존재감이 아예 없어질 수도 있다.[2] 졸·병 역시 포와 마찬가지로 위치에 따라 위력이 크게 달라지는 기물인데 적의 궁성 안에 들어가는 데 성공하면 차에 준하는 수준으로 엄청나게 강력해진다.[3]

졸병이라는 말의 어원. 졸이름인 '졸'이나 '병'답게 보병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크기도 작고 개개는 매우 허약한 말이지만, 대신 다른 말과는 달리 5개를 가지고 시작하는 데다 서로 뭉치면 강해진다. 비슷한 역할을 하는 체스의 폰처럼 서로 뭉쳐서 서로를 엄호하면서 진형을 짤 수 있다. 상대가 민궁(사가 없음)일 때, 졸 & 병 2개 또는 1개와 차, 마, 상[4] 중 하나와의 조합으로 승리할 수 있다. 단, 차졸 or 차병 조합이 아니라면 수를 상당히 신경 써야 한다. 차졸 or 차병 조합 외에는 졸 & 병이 궁성 한가운데에 들어가야 하는데 졸·병이 후진을 못하기 때문에 상대방 궁이 천궁할 자리를 마나 상이 막아놔야만 마졸 or 마병, 상졸or상병 조합으로 승리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5] 물론 이 지경까지 갔으면 그냥 기물로 점수를 내서 승부를 가릴 수도 있지만. 참고로 졸&병은 차와 더불어 궁성 한가운데에 입궁하여 외통을 낼 수 있는 2개의 기물 중 하나다. 졸이나 병에게 궁을 내주면 그만 한 굴욕도 없다.

체스의 폰이나 쇼기의 보병에 대응하는 말인데, 다른 두 게임과는 달리 장기에서는 승급 개념이 없어서 적진에 도달해도 엄청 강해지진 않지만 대신 기본적인 전투 능력이나 유연성이 훨씬 좋다. 다른 대응하는 보병류 말에 비해 졸병은 옆으로도 문제 없이 움직여서 차가 강해지는 데 한몫 하기도 하고. 폰은 적 말을 잡지 않으면 옆으로 이동이 불가능할뿐더러 바로 앞의 말도 못 먹으니까. 게다가 사거리가 짧을 뿐이지 직선상으로 세 방향을 다 커버하는데다 자체점수가 낮기 때문에 적진으로 한 칸 전진할수록 상대에게 가해지는 위협이 매우 커지게 된다. 졸병 하나 때문에 기물들이 손해보기 싫다고 다 피하다 보면 형태가 급격이 흐트러지기 때문에 때로는 점수 손해를 감수하고 대기물 하나와 바꿔주어 손절하는 것이 그나마 나을 때도 있다. 실제점수는 2점 그대로지만 올라갈수록 전황에 끼치는 위상이 급격히 증가하므로 이 졸병에 힘을 실어 침투시키는 전술을 ‘마린(졸)병 키우기’ 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상대 4, 3선 정도까지 침투에 성공한 병은 거의 포나 차 급으로 무섭다.[6] 졸병 둘 이상이 상대 궁성의 면/귀까지 올라갔는데 상대가 민궁이라면 매우 높은 확률로 외통수를 뽑을 수 있다.[7] 대신 궁성의 귀자리가 위치한 3선까지 올라갔다면 그 이상 올라가는 것엔 신중해야 한다. 기동성이 느린 것은 여전하고 무엇보다 후진을 못한다는 약점이 매우 치명적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특히 궁성에 쉽게 붙지 못하게 견제하는 사와 연계하여 가로 방향으로 병을 저격하는 포에 매우 취약해 진다. 만약 공들여 올라간 졸이 이렇게 허망하게 잡혀버릴 경우 타격이 매우 크게 된다.

반면, 후퇴를 못하기 때문에 아군의 궁성으로 들어가지 못하는 유일한 기물이다. 따라서 아군의 궁이나 아군의 사를 만날 일이 없다.

여담으로, 무언가 '거대한 계획'을 위해 '이용당하고 버려지는 존재'를 가리키는 비유적 표현으로 '장기판 졸'이란 표현이 쓰이기도 한다.[8] 물론 상대적으로 가장 점수가 낮은 기물일 뿐이지 e스포츠처럼 피지컬 빨로 상대보다 머릿수를 더 갖추거나 같은 유닛으로 상대보다 강한 전투력을 낼 수도 있는 것도 아니고 서로가 대등한 병력을 가지고 한 수씩 겨루는 장기에서 하찮은 기물은 없다. 고수들 간의 대국에서 졸 하나라도 공짜로 깔끔하게 내줬다면 상당히 속쓰린 일이며 전황이 불리해지게 되니 불가피하게 전사시키더라도 유의미하게 활용해야 한다.[9]

한쪽만 졸·병이 없는 상태로 장기를 두면 의 통로가 많아지면서 도리어 졸·병이 없는 쪽이 압도적으로 유리해지는 상황이 발생한다. 양사오졸 접장기가 성립하는 것도 같은 원리이다. 여러가지 요인이 있지만 졸이 없어 세로로 양찻길을 열고 시작하며 마와 상만 비켜주면 궁성에 길을 막는 사가 없기 때문에 가로로도 언제든지 이동해 상대 궁성을 겨냥할 수 있다. 차의 사기성과 왜 첫수로 찻길을 열고 상대의 차는 묶어두려 하는지가 드러나는 부분이다.

[1] 밑에서 4번째 가로줄이며 가로로는 2칸씩 띄워서 1, 3, 5, 7, 9번째 세로줄에 각각 하나씩 배치된다. 포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장기판에는 이 자리에 작은 x표시가 있다.[2] 다른 대기물로 뒤를 받쳐주지 않는 이상 전진이 어렵기 때문.[3] 앞서 말했듯이 궁성의 모든 방향을 한 번에 커버하는 기물은 차와 졸·병밖에는 없다.[4] 포졸 or 포병은 이길 수 없다.[5] 마나 상이 하나 더 있다면 상대 궁이 졸장을 천궁으로 피할 자리를 또 다른 마/상으로 겨누면 외통이 나온다. 포가 2개라면 궁성 한 가운데를 포 하나로 겨눈 뒤 상대 궁이 피해 있는 세로선에 다른 포로 장군을 부르면 외통.[6] 상대 궁성 귀 자리에 붙은 졸병은 2점짜리 소형와 다름없어, 포를 죽여서라도 잡는 게 나을 수 있다. 궁성에 붙으면 줄이 그어진 대각선 방향으로도 진격이 가능해지는데, 어차피 궁성은 3x3 사이즈이므로 1칸씩만 움직이는 졸병이라도 그 영향력이 차와 별반 다를 게 없어진다. 이런 졸병이 합졸/합병된 형태로 2개 이상이 궁성에 붙어버리면 졸병에 차가 날아가는 막장사태가 벌어지는 건 일도 아니다.[7] 졸병이 귀나 면까지 올라갔다면 상대의 궁은 끝줄까지 몰린 상태고, 이때 졸병 하나가 궁성 중앙으로 올라가고 나머지 졸병이 중앙으로 올라간 졸병을 겨누면 된다. 이렇게 되면 궁성 중앙을 상대의 차/포/마/상이 보고 있는 게 아니면 무조건 외통수다. 심지어 상대 마나 상이 궁성 중앙을 지키고 있더라도, 그 멱을 아군의 졸병이나 다른 기물로 막아버리면 무력화가 가능하다.[8] 영어에서도 이와 비슷하게 'pawn'이라는 표현이 쓰이는데, 힘 있는 사람의 손에 좌우되는 노리개를 체스에 비유한 것.[9] 어차피 상대 차에게 죽을 졸병을 다른 자리에서 죽게 함으로써 아군의 찻길 또는 상멱을 열거나, 상대 차에게 묶인 기물이 풀릴 수 있도록 하는 식으로 졸병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하라는 뜻.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9
, 2.7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