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09-24 21:53:08

주요 IT전문매체/스마트폰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rowbgcolor=#00A495><tablebordercolor=#00A495><tablebgcolor=#fff,#1c1d1f> 문서가 있는 주요 IT 전문매체
스마트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Ars_Technica_logo.png파일:external/cnet1.cbsistatic.com/cnet-redball-large.jpg파일:The Verge 로고.svg
Ars Technica CNET The Verge
파일:underkg_ver.mini.png파일:Wired 로고.png파일:ZDNet 로고.svg
UNDERkg Wired ZDNet }}}}}}}}}


1. 소개2. 용어의 정의
2.1. IT전문매체2.2. '목록' 내 용어
3. 등재기준4. 주요 IT전문매체 목록5. 목록의 활용

[clearfix]

1. 소개

'주요 IT전문매체/스마트폰'은 정보기술을 주로 다루는 매체 중 스마트폰을 리뷰하는 곳을 따로 분류해 정리한 문서이다.

2. 용어의 정의

이 장에서는 'IT전문매체'의 용어를 규정하고, 하단의 '주요 IT전문매체 목록'에 사용된 용어를 정리했다.

2.1. IT전문매체

한국의 주요언론은 정보기술 전문 미디어를 아래와 같이 호명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① 'IT 전문 매체' 혹은 'IT전문매체' 블로터
② '테크매체' 블로터
③ '테크전문매체' 대외경제정책연구원,
④ 'IT 미디어' 지디넷,
⑤ '정보기술 전문 매체' 혹은 '정보기술전문매체',
⑥ 'IT 매체' 매일경제

이 문서에서는 이들 용어 중 'IT전문매체'를 택해 표제어로 삼았다.

'IT전문매체'라는 용어 자체의 엄밀한 정의를 찾기 어려운 관계로, 협의(狹義)와 광의(廣義)를 자체적으로 규정했다.

전자의 의미에 부합하는 매체는 'The Verge', 'Mashable', '아웃스탠딩' 등이 있다.
후자의 의미로 접근 시 기성언론사, 정론지 등을 모두 편입한다. 이 문서 내 리스트에 포함된 대표적인 기성언론사로 영국의 '더 가디언', '포브스', 'CNN', '더 선' 등이 있다.

2.2. '목록' 내 용어

아래 '주요매체 목록'에는 매체명과 국가(제공 언어), 설립년도, 누적제품수, 점수제 유무를 기재했다.
① '매체명'
'매체명'은 가나다순으로 정리했으며, 대소문자와 붙여쓰기 띄어쓰기를 구분해 작성했다.
② '국가'(제공 언어)
'국가'엔 '최초 설립 당시 소속 국가'를 기재했다.
* 이와같이 설정한 이유는 몇몇 매체가 소속국가를 분명하게 밝히지 않는 경우가 발견되기 때문이다.
* Notebookcheck는 설립자가 오스트리아인이고, 설립당시국가도 오스트리아인 IT전문매체이다. 그러나 그들은 자신들이 오스트리아 소속이나 독일 소속으로 지칭되기보다는 국제 미디어라고 지칭되기를 희망한다. Notebookcheck 따라서 '최초 설립 당시 소속 국가'를 기재하는 것이 문제를 피할 수 있는 방법으로 판단된다.
국가항 아래에는 지원하는 주요 언어를 괄호 안에 기재했다. 세 개 이상의 언어를 지원하는 경우 '다국어'라고 표기했다.
* 대다수의 매체는 영어가 기본언어이다.
③ '설립년도'
설립년도에는 각 매체가 설립된 '년도'를 기재했다.
④ '리뷰한 스마트폰 수'
'리뷰한 스마트폰 수' 엔 누적제품 수가 100개 이상일 경우 100+, 500개 이상일 경우 500+로 표기했다.
⑤ '점수제 유무'
'점수제 유무'에는 점수제일 경우 '점수제', 점수제를 채택하지 않은 매체의 경우 '비점수제'로 표기했다.
* Metacritic과 같은 사이트의 경우 비점수제 사이트의 평가를 점수화하기 위해 '논조'를 살피는 것을 참고하라.

3. 등재기준

'주요매체 목록'에 등재한 IT전문매체의 등재기준은 총 세 가지로 한다. 이 기준들을 모두 만족하는 것이면 모두 '주요 IT전문매체/스마트폰'이다.
① 운영 기간이 최소 5년 이상인 매체
② 누적 리뷰 제품 수가 100개 이상인 매체
③ 자체적인 사이트에 '문서화된 제품 리뷰'를 올린 매체
* 따라서 'Marques Brownlee'. 'Unbox Therapy'. 'Linus Tech Tips'와 같은 영향력자(影響力者; influencer)가 가지는 파급력이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1], 그들을 본 리스트에 산입하지 않았다. [2]

점수제로 운영하는 매체가 일반적으로 선호된다.
자체적으로 규정한 전문적인 틀에 입각해 장기간 꾸준히 제품을 리뷰한 업체가 선호된다.

4. 주요 IT전문매체 목록

<colbgcolor=#00a495><colcolor=#ffffff><rowcolor=#ffffff> # 매체명 설립년도 국가 (제공언어) 점수제 유무 누적 리뷰 수
1 91mobiles 2010년 인도
(영어)
점수제 500+
2 9to5google 2007년 프랑스
(영어)
비점수제 500+
3 AnandTech 1997년 미국
(영어)
비점수제 500+
4 Android Authority 2007년 미국
(영어)
점수제 500+
5 Android Central 2005년 미국
(영어)
점수제 500+
6 Android Headlines 2010년 미국
(영어)
점수제 100+
7 Android Police 2008년 미국
(영어)
점수제 500+
8 androidplanet 2009년 네덜란드
(네덜란드어)
점수제 500+
9 Ars Technica 1998년 미국
(영어)
비점수제 500+
10 Ausdroid 2010년 호주
(영어)
비점수제 100+
11 CNET 1994년 미국
(영어)
점수제 500+
12 CNN 1980년 미국
(다국어)
비점수제 500+
13 Consumer Reports 1936년 미국
(영어)
점수제
(회원 공개)
100+
14 digit 2000년 인도
(다국어)
점수제 500+
15 Digital Camera World 2000년 영국
(영어)
점수제 100+
16 Digital Trends 2006년 미국
(영어)
점수제 500+
17 DxOMark 2008년 프랑스
(영어, 중국어)
점수제 500+
18 engadget 2004년 미국
(다국어)
점수제 500+
19 Expert Reviews 1987년 미국
(영어)
점수제 500+
20 EXPRESS 1900년 영국
(영어)
점수제 100+
21 finder 2006년 호주
(다국어)
점수제 500+
22 Forbes 1917년 미국
(영어)
비점수제 100+
23 Gadgets 360 2015년 인도
(영어)
점수제 100+
24 GIZMODO 2002년 미국
(다국어)
비점수제 500+
25 GSMArena 2000년 불가리아
(영어)
점수제 500+
26 harwarezone 1998년 싱가포르
(영어)
점수제 100+
27 hothardware 1999년 미국
(영어)
비점수제 500+
28 IGN 1996년 미국
(다국어)
점수제 500+
29 Input 2019년 미국
(영어)
비점수제 100+
30 INSIDER 2015년 미국
(영어)
비점수제 100+
31 itpro 2006년 영국
(영어)
점수제 100+
32 laptopmag 1991년 영국
(영어)
점수제 100+
33 Lifewire 2016년 미국
(영어)
점수제 100+
34 Mashable 2005년 미국
(영어)
점수제 100+
35 MobileSyrup 2007년 캐나다
(영어)
점수제 100+
36 nextpit 2009년 독일
(다국어)
점수제 500+
37 Notebookcheck 2005년 오스트리아
(다국어)
점수제 500+
38 PCMag 1982년 미국
(영어)
점수제 500+
39 PCWorld 1991년 미국
(영어)
점수제 500+
40 PHANDROID 2007년 미국
(영어)
점수제 500+
41 PhoneArena 2001년 불가리아
(영어)
점수제 500+
42 Photography Blog 2003년 영국
(영어)
점수제 100+
43 pickr 2016년 호주
(영어)
점수제 100+
44 Pocket-lint 2003년 영국
(다국어)
점수제 500+
45 Radio Times 1923년 영국
(영어)
점수제 100+
46 recombu 2009년 영국
(영어)
비점수제 100+
47 reviewgeek 2006년 미국
(영어)
점수제 500+
48 root-nation 2012년 러시아
(다국어)
점수제 100+
49 SlashGear 2005년 미국
(영어)
점수제 500+
50 Stuff 1996년 영국
(영어)
점수제 500+
51 T3 1998년 영국
(영어)
점수제 500+
52 Tech Advisor 1995년 영국
(영어)
점수제 500+
53 Tech Guide 2011년 호주
(영어)
점수제 500+
54 TechCrunch 2005년 미국
(영어)
비점수제 100+
55 techradar 2008년 영국
(영어)
점수제 500+
56 the Guardian 1820년 영국
(영어)
점수제 500+
57 The Next Web 2006년 네덜란드
(영어)
100+
58 The Sun 1964년 영국
(다국어)
점수제 100+
59 The Verge 2011년 미국
(영어)
점수제 500+
60 tom's guide 2007년 미국
(영어)
점수제 500+
61 Trusted Reviews 2003년 영국
(영어)
점수제 500+
62 UNDERKg 2014년 한국
(영어, 한국어)
점수제 100+
63 What HI-FI? 1976년 영국
(영어)
점수제 500+
64 Which? 1957년 영국
(영어)
점수제
(회원 공개)
500+
65 WIRED 1993년 미국
(영어)
점수제 500+
66 XDA Developers 2003년 네덜란드
(영어)
비점수제 100+
67 ZDNet 1991년 미국
(다국어)
점수제 500+

5. 목록의 활용

소개항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문서에 기재된 목록은 여러 방면에서 활용할 수 있다.

① 각 매체가 평가한 단일 제품의 점수를 한 눈에 모아 제시하는 틀을 만들 때 활용할 수 있다.
② 각 매체별 '문서' 최상단의 둘러보기 틀을 제작할 때 이 문서를 활용할 수 있다.
[1] 예시로 든 인플루언서 세 명의 구독자는 각각 1,000만명 이상이다.[2] 스마트폰 리뷰를 전문적으로 진행하는 인플루언서는 별도의 문서를 참고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