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03 00:52:42

중앙대학교/학내 언론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중앙대학교
파일:중앙대학교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캠퍼스
서울캠퍼스 다빈치캠퍼스
학교 정보
역사
상징 학부 대학원
재단 교통 축제 홍보 대사
학사 제도 동아리 총학생회 학내 언론
기숙사 출신 인물 사건 사고
운동부
농구부 축구부 야구부 블루 드래곤스
부속 병원
파일:중앙대학교병원 심볼.svg 중앙대학교의료원 중앙대학교병원
중앙대학교광명병원
부속 학교
부속유치원 부속중학교
}}}}}}}}} ||

1. 개관2. 중대신문3. 대학방송국 (UBS)
3.1. 개요3.2. 부서3.3. 연혁3.4. 출신 인물
4. 중앙헤럴드5. 대학원신문6. 중앙문화7. 녹지


학내언론

1. 개관

중앙대학교는 미디어센터 산하 기구인 '중대신문사(학보)', '중앙헤럴드사', '방송국(UBS)', '대학원신문사'와 교지로 구성되어 있다.
교지 아래에는 중앙문화, 녹지 등 총 20개의 발간지가 있다.

2. 중대신문


중대신문 홈페이지
교내 신문사. 대한민국 대학신문사 중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자랑한다. (대학 신문의 효시)

3. 대학방송국 (UBS)

3.1. 개요

의와 참의 소리, 대학 방송의 효시 UBS UBS홈페이지 UBS유튜브
대한민국 최초의 대학방송국으로 1957년 개국하여 콜사인에 교명이 들어가지 않은 "University Boardcasting Service ; UBS"를 사용한다.

1957년 4월 12일 UBS, 중앙대학교 교육방송국은 극예술연구회(VCAU) 중심으로 영신관 2층에 한국 최초의 대학방송국으로 개국했다. 해방 이후 정치, 경제의 격변기 속에서 우리 사회와 대학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고민과 함께 개국된 UBS는 한국대학 방송의 선두에서 대학언론과 사회를 선도하고 진정한 대학문화의 창달과 지성인들의 인격 함양을 위해 애써왔다.

1963년부터 지금의 호칭인 UBS로 Call Sign을 개칭하고 대학방송의 효시로써 1964년 전국대학방송인연합 창립을 주도하였고, 이후 1965년 제1회 방송대강좌를 시작으로 1967년 캠퍼스퀴즈쇼를 개최하는 등 중앙대학교의 올바른 대학문화 창달에 힘써왔다.

1972년 서라벌예술대학방송국인 VOS를 병합하였고, 1974년에는 전국대학방송인연합회 회장국으로써 대학방송국이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한 모색에 앞장서왔다. 또한, 국훈을 ‘신의’로 제정하여 중앙대학교에 진정한 의와 참의 소리를 전달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후에도 UBS는 중앙대학교와 대학언론의 발전을 도모하며 1975년에는 본교 신문방송학과와 함께 컬러TV 시험방송을 실시하였고, 1976년에는 효창구장으로부터 중앙인체전을 이동방송하였다.

1981년에는 안성캠퍼스 방송국을 개국하기 위한 준비단계에 들어가 1987년부터 안성캠퍼스 자체적으로 방송시설을 갖춰 지금까지 1체제 2원화로 방송을 계속해오고 있으며 1991년부터는 시대적 요구에 발맞추어 UBS-TV를 준비함으로써 오디오 방송에 이어 영상방송을 개국하였다. 이후 1998년에는 자체적으로 인터넷 홈페이지를 제작하여 현재 오디오•영상•인터넷방송을 겸하는 명실상부한 대학최고의 방송국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UBS는 현재 6개부서(제작,보도,진행,기술,영상기획,뉴미디어)로 구성되어 1체제 2원화로 방송을 하고 있으며 오디오, 영상에 이어 인터넷 방송까지 학우들에게 젊은 지성의 얘기와 참된 진리를 전해드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3.2. 부서

3.3. 연혁

1957 4. 12 call sign ‘VCAU’로 개국
1963 ‘UBS‘로 Call sign 개칭
1965 ’제 1회 방송대강좌‘개최
1972 ’VOS‘(서라벌 예대 방송국)병합
1974 전국대학방송인연합회 회작국으로 피선, 국훈 ’신의‘제정
1975 UBS와 신문방송학과 합동으로 Color TV 시험방송
1977 개국 20주년 기념 ’성년대잔치‘ 개최
1987 제2캠퍼스(안성)방송국 개국
1992 UBS-TV 시험방송 실시
1993 UBS-TV 정규방송 실시
1994 영상부(후에 영상기획부로 개칭) 신설
1997 제 1캠퍼스 학생문화관으로 이전, 개국 40주년 기념 방송제
2001 iubs 인터넷 방송국(www.iubs.net)개국
2003 제 4회 YTN 대학생 영상공모전 대상 및 특별상 수상
2004 제 6회 YTN 대학생 영상공모전 사장상 수상
2005 UBS BI 제정 언론매체부 통합사이트 개설(www.cauon.net), 학위수여식 인터넷 생중계 장면 KBS 보도(01:00-01:06)
2007 UBS 개국 50주년 기념식 개최, UBS 개국 50주년 기념 조형물 설치, UBS 50년사 발간
2009 LMB(LCD Media Board) 시험방송 송출
2017 UBS 개국 60주년 기념식 개최
2020 UBS 로고 변경, 뉴미디어부 신설

3.4. 출신 인물

4. 중앙헤럴드

교내 영자언론사. 중앙헤럴드
중앙헤럴드는 우리나라 최초의 대학 영자신문으로 1957년 5월 20일 창간되었다.
중앙헤럴드의 창간목적은 재학생으로 하여금 어학공부에 대한 관심을 깊게하고 언론활동을 통해 영어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는 실력을 배양하고자 하는 것이다.

관형의 시작은 Tabloid 판으로 당시 일간 영자지 Korea Herald 사에서 조관 인쇄하였으며 처음에는 2개월에 1회씩 발행하였으나 차츰 관심도가 높아지고 기사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 월 1회 발간으로 발전 하였다. 그리고 1994년 3월을 기점으로 타블로이드판에서 시사주간지와 같은 Magazine 형태로 매체를 혁신하였다.

중앙헤럴드는 주간교수를 위시하여 3학년을 편집장과 부장으로, 2학년은 정기자, 1학년 수습기자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헤럴드는 언론매체활동으로 잡지발행업무를 그 문자로 두고 있다. 그러나 그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학내 학생 참여활동을 통해 올바른 대학생 문화창달에 기여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매년 2학기에 교내 영어수필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또한 지난 2005까지 진행된 대학/고등부 전국영어웅변대회에 이어 올바른 사회여론 형성 및 방향제시를 위해 각종 NPO, NGO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2008년에는 SIFE(Student In Free Enterprise) Naticnal Competition을 주관하여 사회공헌 및 리더십 함양을 위한 장을 열기도 하였다.

5. 대학원신문


6. 중앙문화

정식 명칭은 "중앙대학교 교지편집위원회 중앙문화". 교내 진보언론사. 1953년에 창간되어 최초의 교지라고 주장한다.
시사인 대학기자상을 다회 수상했다.(2010년 특별상, 2013년 대상, 2015년 학내보도취재상, 2019년 취재보도부문상)

7. 녹지

중앙대학교 페미니즘 교지. 정식 명칭은 중앙문화와 마찬가지로 "중앙대학교 교지편집위원회 녹지". 서울대 주이상스, 고려대 석순, 성균관대 정정헌과 더불어 얼마 되지 않는 대학 내 페미니즘 교지이다. 2010년 이전까지는 학생으로 이루어진 편집위원들의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했던 공간이었으나, 학내 정치와 교수의 알력관계 가운데 이전보다 학생 자치의 비중이 떨어졌다.

등록금 납부 시 녹지비라는 이름으로 지원금을 내는 항목이 납부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데, 납부하지 않아도 큰 문제는 없으나 이를 학교 내 잔디나 식재 사업 등에 들어가는 돈으로 알고 좋은 마음으로 납부하는 경우가 꽤 많이 있다. 그 덕분에 새내기나 학교 교지 상황 등을 잘 모르는 학생들에게 혼동을 주는 명칭을 악용한다는 인식이 생겨 교내에서의 이미지는 별로 좋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