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06 01:04:45

차륜 배치 표기법

1. 개요2. UIC 표기법3. AAR식4. 화이트 식5. 프랑스, 러시아 식6. 관련 문서

1. 개요

흔히 컴퓨터의 사양을 나타낼 때 CPU에 코어가 몇 개냐, 램이 몇 기가냐, 그래픽카드는 어떤 걸 쓰느냐 등을 이용한다. 철도차량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차량의 특징을 나타내는 데에는 동력방식은 어떻게 되는가, 궤간은 어디에 대응하는가 등을 쓴다. 그중에서 빠지지 않는 것이 차륜 배치가 어떠한가, 즉 철도차량에 바퀴가 몇 개인지, 어떻게 달려있는지, 모터(나 터빈)가 달려있는지를 보는 것이다.

차륜 배치 표기법은 전통적으로 사용되던 AAR식, 화이트 식, 그리고 국제철도연맹 표준의 UIC 표기법이 있다. IRS AAR식은 미국식의 차륜 배치 표기법이다. 화이트 식은 UIC 표기법 이전에 사용하던 차륜 배치 표기법으로서 한국에서는 증기 기관차의 차륜배치 표기에 주로 이용한다. UIC 표기법은 AAR식과 화이트 식의 단점을 모두 커버하는 킹왕짱표기법으로 유럽에서는 모든 철도차량의 차륜배치 표기에 이용되며 한국에서는 증기 기관차를 제외한 모든 철도차량의 차륜배치에 쓴다.

2. UIC 표기법

독일에서 처음 개발된 표기법으로, 이후 국제철도연맹이 유럽의 철도 사업자들을 중심으로 결성되면서 국제 표준이 되었다. 과거에는 UIC Leaflet 650에, 현재는 IRS[1] 60650에 정의되어 있다. # 증기 기관차가 아닌, 최근의 철도차량에 관심있는 철도 동호인에게는 사실상 가장 중요한 표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보통 사람이라도 몇 번만 보면 의미를 대충이나마 알 수 있을 정도로 쉽지만 널리 응용되는 표기법.

UIC 표기법에서 사용하는 기호들은 다음과 같다.

여기까지가 흔히 사용되는 표기법이며, 이외에 자주 사용되지 않는 추가 표기들은 다음과 같다.

예시를 통해 더 알아보자.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_MG_9850.jpg
8000호대 전기기관차
  • 차량 1대에 대차가 3개 장착되어 있으며, 대차 3개 모두 조향 기능이 있다.
  • 각 대차마다 차축이 2개 있다. 모든 차축은 구동축이다.
  • 각 차축은 독립적인 전동기를 통해 구동된다.
Bo'Bo'Bo\'
파일:1280px-Saemaeul_train_at_Cheonan_Station.jpg
7100, 7200, 7300, 7400, 7500호대 디젤기관차
  • 차량 1대에 대차가 2개 장착되어 있으며, 대차 2개 모두 조향 기능이 있다.
  • 각 대차마다 차축이 3개 있다. 모든 차축은 구동축이다.
  • 각 차축은 독립적인 전동기를 통해 구동된다.
Co'Co\'
파일:external/www.mylargescale.com/UPbigBoyAtFairplexMuseum_PB060058.jpg
유니온 퍼시픽 빅 보이
  • 전륜 4개(축 2개), 1군 동륜 8개(축 4개), 2군 동륜 8개(축 4개), 후륜 4개(축 2개)를 갖추고 있다. 전륜과 후륜은 조향 기능이 있다.
  • 빅 보이는 관절형 기관차로, 전륜과 1군 동륜이 별도의 대차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전륜 4개와 1군 동륜 8개를 괄호로 묶어줘야 한다.
  • 증기기관차라는 특성상, 동륜들은 공통의 동력원(피스톤)에 의해 구동된다.
(2'D)D2\'
파일:e131-0.jpg
E131계 전동차 0번대
  • 2량 편성의 전동차 편성이다. 1량의 동력차와 1량의 무동력차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차량은 분리 불가능하다.
  • 동력차, 무동력차 모두 차축이 2개 장착된 조향 가능한 대차를 2개 장착하고 있다. 동력차는 모든 차축이 동력축이며, 무동력차는 모든 차축이 구동되지 않는 축이다.
  • 동력차의 모든 차축은 독립적인 전동기를 통해 구동된다.
Bo'Bo'+2'2\'
파일:TGV.jpg
KTX-1
Bo'Bo'+Bo'2'2'2'2'2'2'2'2'2'2'2'2'2'2'2'2'2'Bo'+Bo'Bo\'

링크된 차량 문서의 설명을 참고해서, 어떤 방식으로 차륜이 배치되어 있는지, 동력축은 몇 개인지 맞춰 보자.

3. AAR식

미국철도협회(Association of American Railroads)에서 개발한 위 UIC식을 단순화한 표기법인데 디젤과 전기기관차에만 쓰여서 그런지 별로 중요하지는 않은 듯하다. 양덕후들이 만든 웹사이트를 다니다 보면 간간이 볼 수 있다. 예전 철도청 자료에서 디젤기관차의 차륜배치 표기에 간혹 AAR식과 UIC식을 섞어서 표기한 것이 간혹 보인다(...). 특히 UIC식 조향대차 표기인 아포스트로피를 생략하고 대신 AAR식의 대시로 변경한 표기(예를 들어 Co-Co)가 자주 목격되는데, 당장 본 문서 UIC 표기법 문단에도 한때 그런 표기가 기재된 이미지가 업로드되어 있었다.

이를테면 7100호대는 AAR식으로 C-C가 된다.

4. 화이트 식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ocotypes.gif
한국에서는 미국 등에서 도입한 증기 기관차의 분류에 한해서만 사용한다. 매우 간단한데 전륜(앞바퀴), 동륜(증기 기관에 의해 구동되는 바퀴), 후륜(뒷바퀴) 수를 세기만 하면 된다. UIC와 비교하여 주의할 점은, 양쪽의 차륜을 모두 세어야 한다는 것.

전륜, 후륜이 없고 동륜만 네개 있으면 0-4-0[2], 즉 4륜형 증기 기관차[3]가 된다. 위 UIC 표기법 문단에서 예시로 등장한 증기 기관차 빅 보이의 경우 전후륜 각 4개, 동륜이 8개씩 2조 있었는데, 이런 경우에는 동륜을 더 적어서 4-8-8-4로 쓰면 된다.

또한, 동력 전달에 따라 괄호로 구분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2-(2-2)-0과 2-(2-2)-2, 그리고 2-2-(4-0) 같은 경우이다. 2-(2-2)-0과 2-(2-2)-2의 경우, 중간에 동륜이 4개 있으나, 각각 따로 동력을 공급받음을 의미하며, 2-2-(4-0)의 경우 2개의 동륜은 내부 실린더에서, 4개의 동륜은 외부실린더에서 동력을 공급받는다는 의미.

영국 등지에서는 디젤 기관차도 화이트 식으로 표기한 적이 있다.

5. 프랑스, 러시아 식

화이트 식을 절반으로 나눈다. 즉 화이트 식으로 0-6-0인 모 인면 기관차의 경우 프랑스식으로는 030, 러시아식으로는 0-3-0이 된다. 다만, 화이트식의 2-10-10-2, UIC의 1EE1이 프랑스식으로는 150+051이 되는 등 예외가 존재한다. 표기법의 본국인 프랑스는 디젤과 전기 기관차 시대가 되면서 UIC 표기법으로 전환했지만, 러시아는 지금도 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현대 기관차에는 전륜과 후륜이 따로 없기 때문에 동륜만 표기하고 있으며, UIC 표기법의 소문자 o(알파벳)는 아래 첨자 0(숫자)이 대신한다.[4] 그래서 Co'Co' 기관차는 러시아 식으로 30303_{0}-3_{0}으로 표기한다.

6. 관련 문서



[1] International Railway Solution, 국제 철도 솔루션[2] UIC B[3] 전후륜이 없어 굉장히 크기가 작다.[4] 아래첨자 0으로 쓰는 쪽이 오리지널이다. 다만 타자기에서 아래첨자 0을 기입하기 어려워서 대신 알파벳 소문자 o를 쓰던 것이 정착하여, 시간이 지나 정리된 UIC 표기법에서는 그걸 반영해서 표준으로 삼은 것.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