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3:49:22

청자로(부안)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강진군의 도로에 대한 내용은 청자로(강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강진군의 도로:
청자로(강진)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e3343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e33438>
파일:부안군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e33438> <colbgcolor=#ffffff,#191919> 갈촌로 · 개암로 · 격포로 · 계화로 · 간재로 · 고마제로 · 고인돌로 · 구담로 · 궁항로 · 금판로 · 깊은금로
남포로 · 내변산로 · 내소사로
당산로 · 덕림로 · 덕신로 · 도유로 · 돈지로 · 돌모산로 · 동정로 · 동진남로 · 동진로
마포로 · 만석로 · 매창로 · 문정로 · 문포로 · 미영골로
반계로 · 반월로 · 백산동로 · 백산로 · 백산서로 · 번영로 · 벌금잔등로 · 베틀재로 · 변산로 · 변산바다로 · 별천지로 · 보안남로 · 보안로 · 봉야로 · 부령로 · 부안댐로 · 부안로 · 부평로 · 부풍로 · 분탕골로
상림로 · 상서북로 · 새만금로 · 새포로 · 생태공원로 · 서당로 · 서문로 · 석불로 · 석정로 · 선돌로 · 선은로 · 소동로 · 순환남로 · 순환북로 · 신광로 · 신리로 · 신재생에너지로 · 신죽로
안정로 · 연곡로 · 염소로 · 영성로 · 오곡로 · 오리정로 · 옹정로 · 용암로 · 우포로 · 운산로 · 위도로 · 유천호암로 · 의복로 · 의상봉로 · 임현로
장산로 · 장신로 · 종산로 · 종유로 · 주산남로 · 주산동로 · 주산로 · 주을로 · 줄포동로 · 줄포중앙로 · 지운로 · 진리잔등로
참뽕로 · 청자로
하원로 · 하청로 · 행안중앙로
전라북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


청자로
靑磁路 | Cheongja-ro
기 점
30번
국도
대구 방면
변산로
노선 번호
30번 국도
기점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운호리 마동삼거리
종점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영전리 영전회전교차로
연장
16.503km
관리
파일:익산지방국토관리청1.png
왕복 차로 수
2차로 마동삼거리 - 영전회전교차로[1]
주요 경유지
마동삼거리 ↔ 곰소영전

1. 개요2. 상세
2.1. 특징2.2. 주요 구간2.3. 대중교통2.4. 주요 시설2.5. 기타

1. 개요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의 마동삼거리에서 시작하여 부안군 보안면의 영전회전교차로까지 이어지는 총 16.503km, 2차선의 도로. 전 구간이 30번 국도로 지정되어 있다. 부안은 강진군과 함께 고려 시대 유명한 고려청자의 생산지였고, 이 때문에 청자로라는 도로명은 전국에서 부안과 강진 두 지자체에만 존재한다.

2. 상세

2.1. 특징

30번 국도의 시작을 함께하는 도로. 도로의 종점인 영전회전교차로가 30번 국도의 시점이다. 또한 젓갈, 천일염으로 유명한 곰소에 접근하는 사실상 유일한 도로이다.

2.2. 주요 구간

[[736번 지방도|
736
]]
참뽕로와 직결 (변산 방면)
[[30번 국도|
30
]]
<colbgcolor=#c8c8c8,#373737> [[30번 국도|
30
]]
격포
변산로
(마동삼거리)
운호천교 (운호천)
운호길 운호마을
석포교 (석포천)
내소사로
(석포삼거리)
내소사
석포교 (백천)
석포용동길 용동마을
곰소항
곰소항길
(곰소)
곰소항
곰소8길 <colbgcolor=#c8c8c8,#373737> 곰소윗길 곰소
구진마을
구진길
베틀재로
(연동삼거리)
변산
내소사
반계로 반계 유형원 유지
만화교 (만화천)
유천리
유천호암로 남포로 남포리
외류교 (신창천)
부안로
(영전회전교차로)[2]
[[23번 국도|
23
]]
[[23번 국도|
23
]]
고창
김제
영전길과 직결 (주산 방면)

2.3. 대중교통

2.3.1. 부안군 농어촌버스

내소사진서에 들리는 노선이 이용한다.
*부안 농어촌버스 300 (부안 - 내소사)
도로를 경유하지만 도로 상의 정류장에 정차하지는 않는다.
*부안 농어촌버스 310
*부안 농어촌버스 320
*부안 농어촌버스 330
*부안 농어촌버스 340
*부안 농어촌버스 350

2.4. 주요 시설

2.5. 기타

진서면 소재지인 곰소리 시가지를 통과한다. 곰소는 젓갈과 천일염으로 유명한 동네인데, 이를 드러내듯 곰소를 통과할 때 넓은 염전과 젓갈 직판장을 볼 수 있다. 또한 도로 주변에 이 도로의 명칭의 유래인 청자 가마터, 박물관이 있다. 가묘, 서당 등 반계 유형원 선생 관련 유적지도 많은 편.


[1] 곰소항을 전후해서 4차선이 되나, 실질적으로는 4차선 중 마동삼거리 방면의 2차선만 편도 2차선의 도로처럼 사용한다.[2] 구 영전사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