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서관
청주시의 도서관은 공공도서관과 소규모로 운영되는 작은도서관으로 나누어진다.1.1. 조직
공공도서관은 도서관평생학습본부(국) 소속으로 3개의 본관도서관(과)과 12개의 분관도서관이 있다. '본관'도서관은 5급 과장급 관장이 배치되는 도서관으로 청주시립도서관, 청주오송도서관, 청주오창호수도서관이 있고 '분관'도서관은 6급 팀장이 배치되며 각 본관도서관에 소속된다. 당연하게도 상위 조직인 본관도서관들이 조직규모, 시설, 운영에 있어서 분관 도서관들보다 좋을 수밖에 없으며 분관도서관들도 본관의 운영정책을 따른다. 다만 청주시립도서관은 개관 후 18년이 되어 수장공간이나 시설에 한계가 있어 임시 휴관 후 리모델링을 거쳐 2024년 6월 28일 재개관하였다. 오창호수도서관은 청주시 구도심과 멀리 떨어진 신도시 지역에 5층 규모로 건설되어 대강당, 미술관, 카페, 매점까지 갖추고 있다.또 다른 지역에서 온 사람들 중에는 공부를 하기 좋도록 만들어진 열람실을 원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이들은 청주흥덕도서관, 청주상당도서관, 청주오창호수도서관, 청주옥산도서관을 제외한 다른 모든 청주시내에 위치한 도서관에 열람실이 없는 것에 불만을 느낀다. 이것의 해결을 위해 대전광역시 관할도서관처럼 열람실을 으리으리하게 만들어주지 않더라도 세종특별자치시 관할도서관과 같이 규모가 작지만 깔끔한 형태라도 만들어주는 것을 건의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
- 평생학습본부
1.2. 이용안내
- 이용시간: 도서관 별로 이용시간은 같으나 도서관 규모에 따라 디지털실, 정기간행물실이 따로 없는 경우도 있다. 열람실은 흥덕도서관, 상당도서관, 오창호수도서관, 청주옥산도서관에만 있다. 열람실이 있는 도서관은 코로나19로 인해 오후 1시부터 오후 2시까지 소독을 진행하니 부득이하게 자리를 잠시 비워줘야 한다.
자료실 | 평일 | 주말 |
종합자료실 디지털자료실 | 09:00 - 18:00[6] 09:00 - 22:00[7] | 09:00 - 18:00 |
어린이자료실 모자열람실 정기간행물실 | 09:00 - 18:00 |
- 휴관일: 원래 전체 도서관이 똑같이 월요일에 휴관했으나 2019년 7월부터 도서관 별 월/금요일 휴관으로 바뀌었다.
구분 | 월요일 | 금요일 |
도서관 | 시립도서관, 오송도서관, 오창호수도서관, 상당도서관, 흥덕도서관, 옥산도서관, 기적의도서관, 내수도서관 | 청원도서관, 오창도서관, 금빛도서관, 서원도서관, 신율봉도서관, 강내도서관, 가로수도서관 |
- 도서대출
구분 | 일반 | 장애인 |
권수/기간 | 5권 15일 | 6권 30일 |
- 책밴드: 청주시도서관의 상호대차서비스(Inter Library Loan)로 '책밴드 서비스'를 2018년 8월부터 시행 중이다. 가까운 도서관에 소장하지 않은 도서를 다른 도서관에 신청해서 받아 볼 수 있다. 주말이나 휴관일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1~2일이면 원하는 도서관에서 무료로 책을 받아 볼 수 있다. 책밴드로 대출한 도서나 해당 도서관에서 대출한 도서가 아니더라도 방문이 편한 청주시내 어느 도서관에서도 타관반납이 가능하다. (일부 작은도서관과 충청북도교육청 소속인 충청북도교육도서관<구 충청북도중앙도서관>은 제외)
- 책밴드 참여 도서관 #
- 시 산하 16개 공공도서관(시립,오창호수, 상당, 청원, 오창, 금빛, 내수, 오송, 서원, 흥덕, 신율봉어린이, 강내, 옥산, 가로수, 기적의도서관, 폴리텍/자료보존관(도서 제공만 가능, 대출 및 타관반납 불가))
- 거점 5개 작은도서관(봉명, 봄눈, 두꺼비생태, 글마루, 참도깨비)
- 스마트도서관 5개소(흥덕보건소 앞, 농협물류센터 내, 성화개신죽림행정복지센터 앞, 율봉근린공원 주차장(청주우체국 옆), 강서2동 스마트도서관(강서2동 행정복지센터 내))
- 책밴드 루트 (2024년 12월 기준)
- 1코스
- 월 : 금빛 → 율봉공원[스마트] → 청원 → 강서2동[스마트] → 참도깨비[작은] → 오창 → 강내 → 가로수 → 흥덕보건소[스마트] → 폴리텍(서고) → 봉명 → 신율봉 → 글마루[작은] → 성화개신동[스마트] → 두꺼비[작은] → 서원 → 농협물류[스마트] → 봄눈[작은] → 시립
- 화 ~ 목 : 기적 → 두꺼비[작은] → 성화개신동[스마트] → 글마루[작은] → 신율봉 → 봉명 → 폴리텍(서고) → 흥덕보건소[스마트] → 흥덕 → 가로수 → 강내 → 오송 → 시립 → 기적 → 두꺼비[작은] → 성화개신동[스마트] → 글마루[작은] → 신율봉 → 봉명 → 폴리텍(서고) → 흥덕보건소[스마트] → 흥덕 → 가로수 → 강내 → 오송 → 시립
- 토 ~ 일 : 서원 → 기적 → 성화개신동[스마트] → 글마루[작은] → 신율봉 → 흥덕보건소[스마트] → 흥덕 → 가로수 → 강내 → 오송 → 시립 → 서원 → 기적 → 성화개신동[스마트] → 글마루[작은] → 신율봉 → 흥덕보건소[스마트] → 흥덕 → 가로수 → 강내 → 오송 → 시립
- 2코스
- 화 ~ 목 : 금빛 → 상당 → 참도깨비[작은] → 강서2동[스마트] → 청원 → 율봉공원[스마트] → 내수 → 오창 → 호수 → 옥산 → 봄눈[작은] → 농협물류[스마트] → 시립 → 금빛 → 상당 → 참도깨비[작은] → 청원 → 강서2동[스마트] → 율봉공원[스마트] → 내수 → 오창 → 호수 → 옥산 → 봄눈[작은] → 농협물류[스마트] → 시립
- 금 : 상당 → 참도깨비 → 강서2동 스마트 → 율봉 스마트 → 내수 → 호수 → 옥산 → 오송 → 흥덕 → 흥덕보건소[스마트] → 폴리텍(서고) → 봉명 → 글마루[작은] → 성화개신동[스마트] → 두꺼비 → 기적 → 봄눈[작은] → 농협물류[스마트] → 시립
- 토 ~ 일 : 금빛 → 상당 → 강서2동[스마트] → 청원 → 율봉공원[47] → 내수 → 오창 → 호수 → 옥산 → 농협물류[스마트] → 시립 → 금빛 → 상당 → 강서2동[스마트] → 청원 → 율봉공원[스마트] → 내수 → 오창 → 호수 → 옥산 → 농협물류[스마트] → 시립
2. 청주열린도서관
청주열린도서관 淸州열린圖書館 Cheongju Open Library | ||
| ||
구분 | 사립 공공도서관 (원더플레이스 운영) | |
관장 | (비공개) | |
개관일 | 2019년 12월 2일 | |
자료 | 일반서 | 21,374권 [기준] |
아동서 | 11,525권 [기준] | |
외국서 | 1,079권 [기준] | |
합계 | 33,978권 [기준] | |
소재지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상당로 314 문화제조창 5층 | |
홈페이지 | | | | |
청주시 내덕동 문화제조창 5층에 위치한 사립 공공도서관
기업에서 운영하는 사립도서관이지만, 시 조례를 통해 보조금을 지급받고 있다. 이유는 아래 참고
모티브가 된 별마당도서관처럼 책 대여는 안 되고 5층 내 지정된 구역에서만 열람할 수 있다.
운영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까지로, 공휴일에는 휴관하며 공휴일이 아닌 날은 정상운영한다. 설날이나 추석 등 휴일이 이어진 경우 설/추석 당일에는 휴관하고 나머지 연휴 기간에는 개관시간을 단축해 개관하기도 한다.
설립 과정에서 우여곡절을 겪은 도서관이다 문화제조창 프로젝트가 구체화되기 전에는 청주시 시내 한복판에 위치한 입지에도 KT&G 연초제조창으로서의 용도가 폐기된 2004년부터 청주시의 오랜 골치거리였는데, 2014년에 국립현대미술관 분관을 유치한 것을 시작으로 #, 청주공예비엔날레 개최지 선정, 시립 공예박물관인 "한국공예관" 이전 등 통합 이후 청주시장들의 역점사업으로 문화제조창 부지 일대를 복합문화시설로 전환하는 계획이 발표되었고, 그 중에는 스타필드 별마당도서관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서점과 도서관이 결합된 시설을 문화제조창에 구성하는 사업도 있었다. 문제는 사업자 선정인데, 당시 우선협상대상자로 북스리브로가 언급되면서 야권을 중심으로 "전두환 일가의 회사에 공공도서관 운영권을 넘겨주는 것이 옳은 일인가"라는 여론이 생기자 청주시에서 계약을 재검토 하여#, 차순위로 지역서점조합에게 운영권을 넘겨주려고 했었다. # 하지만 문화제조창 리츠에서 제시한 임대료를 감당하기 어려워 서점조합도 운영을 고사했고, # 결국 열린도서관 운영은 문화제조창에 입주한 원더플레이스가 맡게 되었다. #, # 열린도서관 입구 옆의 서점구역은 2019년 개관 직후 한동안 비어있다가, 서점 입점이 지지부진해지면서 지금은 열린도서관 공간으로 활용 중이다.
3. 관련 문서
[1] 청주시 읍면지역에 위치한 도서관 중에 가장 규모가 크고 활성화되어 있다.[2] 구 청원군 지역에 위치한 게 아닌 사천동에 위치해 있다.[3] 2014년 청주·청원 통합 이전 명칭은 청주시립북부도서관이었다.[4] 2014년 청주·청원 통합 이전 명칭은 청주시립서부도서관이었다.[5] 2014년 청주·청원 통합 이전 명칭은 청주시립남부도서관이었다.[6] 오창호수, 오송도서관을 제외하고 읍면 지역에 위치한 도서관 한정.[7] 청주시내(동 지역)에 위치한 도서관 한정. 다만, 신율봉도서관과 기적의도서관은 평일과 주말 모두 09:00 - 18:00까지 운영한다.[스마트] 스마트도서관(무인대출) : 흥덕보건소, 농협물류센터, 성화개신죽림동, 율봉근린공원, 강서2동 #[스마트] [작은] 작은도서관 5개소 : 봄눈, 봉명, 글마루, 두꺼비생태, 참도깨비 #[스마트] [작은] [스마트] [작은] [스마트] [작은] [작은] [스마트] [작은] [스마트] [작은] [스마트] [작은] [스마트] [스마트] [작은] [스마트] [스마트] [작은] [스마트] [작은] [스마트] [스마트] [작은] [스마트] [작은] [스마트] [스마트] [작은] [스마트] [스마트] [작은] [스마트] [작은] [스마트] [스마트] [47] 스마트[스마트] [스마트] [스마트] [스마트] [기준] 2024년 12월 1일 #[기준] [기준]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