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3 21:18:08

최수현(야구선수)

파일:Yeon_Cheon_ Miracle_logo_2nd.png
연천 미라클
2025 시즌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2F3081><colcolor=#fff>투수1 진현우 ·13 최종완 · 17 안광준 · 20 선성권
· 21 김정후 · 29 이기용 · 33 손민성 · 46 최우혁
· 61 지윤 · M 장희범
포수27 권경민 · 47 신홍서
내야수3 이현 · 7 임태윤 · 8 황상준 · 16 권도휘
· 55 박수현 · M 최지민 · M 김건호
외야수0 이웅건 · 2 최수현 · 9 정찬웅 · 15 신우영
· 32 유상빈 · 51 김성민 · 53 두정민 · M 박상목 · M 박재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인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노찬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정기''' }}}}}}}}}}}}
<nopad> 파일:연천 2023 최수현.jpg
<colbgcolor=#2F3081><colcolor=#fff> 연천 미라클 No.2
최수현
Choi Soo-hyun
출생 1996년 11월 25일 ([age(1996-11-25)]세)
경기도 안양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송정동초[1] - 무등중 - 광주제일고 - 고려대
가족 부모님[2], 누나[3]
신체 175cm, 80kg
포지션 내·외야 유틸리티[4]
투타 우투좌타[5]
병역 현역 (2019.8.26~2021.3.17) [6]
소속팀 연천 미라클 (2021~)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2.2. 연천 미라클2.3. 최강야구·불꽃야구 출연
3. 여담

1. 개요

연천 미라클 소속 외야수.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송정동초등학교, 무등중학교를 거쳐서 광주일고에 입학했지만 작은 체구 때문에 1, 2학년 시기에는 뛰지를 못 했다고 한다. 3학년이 되자 주전 자리를 차지했고 27경기 85타수 타율.297 25안타 20타점을 기록했지만 프로 구단의 지명을 받지 못하고 고려대로 진학했다.

고려대에서는 1학년부터 경기를 나섰지만 13경기 22타석 무안타라는 초라한 성적을 기록했고 2학년때는 부상으로 경기를 못 나왔다. 3학년 시기에는 20경기 85타수 타율.358 29안타로 좋은 성적을 기록하고 4학년 시기에는 주장직을 맡으며 20경기 63타수 타율.317 20안타(2루타 3,3루타 2) 1홈런 21타점 장타율.476 출루율.446 OPS.922를 기록했지만 프로에 지명 받지는 못했다.

2.2. 연천 미라클

대학 졸업 후 현역으로 군대를 다녀와서 고대 선배이자 연천 미라클의 수석코치인 노찬엽 코치의 권유로 2021년에 연천 미라클에 입단했다. 이후 주전 2루수 자리를 차지하며 30타점으로 타점 부문 선두에 있다.

9월 3일 기준으로 24경기 88타수 타율.341 30안타(2루타 7,3루타 4) 2홈런 30타점 32득점 15도루 장타율.580 출루율.482 OPS 1.062를 기록 중이다.

2024 시즌에는 타율 .339(62타수 21안타) 1홈런 20타점 19득점, 출루율 .456, 장타율 .516 OPS 0.972를 기록해 독립리그 전체 MVP로 선정되었다.

2025년에도 계속 연천 미라클에서 뛰게 되면서 독립 리그 단일 팀 최장 기간 재적 타이 기록을 세웠다.

2.3. 최강야구·불꽃야구 출연

파일:최수현_최강야구_2024.jpg
최강 몬스터즈 No.2

2022년 7월 25일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에서 열린 JTBC 최강 몬스터즈경남고등학교 야구부 간의 경기라인업 사진에 삼성 라이온즈 갤러리에 올라왔는데 최강 몬스터즈 라인업에 최수현의 이름이 있었다. 그리고 당일 방영한 최강야구의 동의대 3차전부터 새로 합류한 것이 확인되었다.

출연 이후 직관, 비직관 가리지 않고 엄청난 호수비를 선보였으며, 수비랑 타격도 일취월장으로 키워나가고 있는 중.

이후 불꽃야구로 옮기면서 불꽃 파이터즈 창단 멤버로 출연함으로서 앞으로의 활약이 기대된다. 이후 강릉고 직관 방송 당시 부상으로 인해 출전을 하지 못하자, 동료들이 '타율 관리 한다' 농담삼아 말했고[7], 이에 최수현도 "선배님 (고려대) 후배라서" 라는 똘끼 넘치는 발언을 해 동료들을 당황시킨다.[8] 이를 들은 박용택은 "미친놈이네ㅋㅋㅋ"라고 웃어 넘겼으나, 또다른 고대 출신인 정근우가 '졸렬 수현'이라고 쐐기를 박아 버렸다.[9] #

3. 여담


[1] 초등학교 4학년 시기에 전학을 갔다.[2] 최강야구·불꽃야구 직관경기 및 비직관경기가 있을 때마다 최선을 다해 응원하고 있다.[3] 기혼자라고 한다. 최강야구 시절인 24시즌 첫 모임 당시 관련 일화를 공개했는데, 누나가 미국에서 결혼하다보니 훈련에 1~2일 정도 빠져야 된다고 김성근 감독에게 말했는데, 김성근 감독으로부터 '니가 누나 결혼식을 왜 가냐'는 소리를 들었다고 한다. #[4] 2루수, 유격수, 3루수, 좌익수, 중견수 모두 소화가 가능하나 유격수나 3루수에서는 수비에서의 불안함이 간혹 노출되는 반면, 주 포지션인 2루수로서는 안정적인 수비를, 또 다른 포지션인 좌익수와 중견수로서는 엄청난 호수비를 보여주는 편이다.[5] 주력이 좋아 원래부터 좌타자로 시작했다고 한다.[6] 발칸운용병[7] 12경기 이내 3할 이상 유지시 연봉인상이라는 옵션이 걸려 있다.[8] 특히 또다른 고대출신인 이택근은 마시던 커피를 뿜었고, 박용택과 같은 LG 출신으로 친분이 있는 정의윤도 '쉽지 않은데 이거'라며 혀를 내둘렀다.[9] 이후 그 다음주인 동아대 직관 전반부 방송 실시간 공개 당시 채팅창에 제작진으로 추정되는 '스포왕뚜벅이'라는 사용자가 남긴 내용에 따르면, 최수현 본인도 즐기고 있는지 '졸렬 수현'이라 부르면 씩 웃는다고 한다.[10] 즉, 섭외 과정을 보면 정근우가 장시원 PD에게 추천했고, 이후 제작진이 김인식 감독을 통해 최수현을 섭외한 것으로 보인다.[11] 최강야구 제주도 전지 훈련편에서 발야구를 하는 영상을 보면, 3루로 굴러오는 공을 다이렉트로 발로 차서 1루쪽으로 보내는데, 높이가 다소 높이 떠오르기는 했으나 이때 폼이나 공의 궤적을 보면 공을 좀 차본 티가 난다.[12] 이홍구의 유튜브 채널 '파워E홍구'에 출연해 언급했다. #[13] 공교롭게도 두 사람은 생일 또한 이틀 밖에 차이나지 않는다.(최수현: 11월 25일, 이상이: 11월 27일) 다만 나이는 이상이가 최수현보다 5살 더 많다.[14] 일단 박찬희는 2022시즌 최종전까지 나왔기에 시즌 한정으로 유일한 영건은 아니었다. 이후 2023시즌을 앞두고 트라이아웃으로 황영묵, 원성준, 정현수, 선성권, 2024시즌을 앞두고 트라이아웃을 통해 이용헌, 고대한, 윤상혁, 임상우, 유태웅, 문교원 등 영건들이 대거 영입되며 2022 시즌 후 유일하게 남은 영건이라는 타이틀도 내려놓게 되었다.[15] 물론 그 경기의 MVP는 유희관이었다. 때문에 최수현을 아쉬워하는 동료들도 있었다.[16] 라인업 발표 이후 박용택이 말하기를, 시트지 뒤로 비쳐 보이는 라인업을 봤는데, "박"이라는 단어가 8번에 있어서 내가 8번인가? 싶었다가 지명타자가 공개되자 그 박이 '박찬희'인 걸 알았다고...[17] 발이 빨라 주루 플레이가 좋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이택근 부상으로 인해 중견수로 자주 나가고 있다.[18] 여담으로 JTBC 드라마 팀이 수현이를 찾는다고 장 단장이 언급한다.[19] 다만 헛바람 이야기는 농담으로 한 것이고 관련 링크를 들어가면 알겠지만 진짜 이유는 최강야구 경기일정과 겹쳤기 때문이라고 한다.[20] 설령 2차전을 이겼다 하더라도 앞 타석에서 정의윤이 만루홈런을 터트렸기에 정의윤에게 단독으로 MVP가 가거나, 장시원 PD 권한에 의해 정의윤과 공동 MVP를 탈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21] 이 동점 투런홈런이 아니었으면 12회 연장도 없었고 이대로라면 허무하게 끝날 뻔한 아찔한 상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