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05:21:29

최용혁/선수 경력/2025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최용혁/선수 경력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000> 파일:최용혁 흑백_2025.png최용혁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소속 구단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Dplus KIA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평가 <colbgcolor=#FFF,#1c1d1f>플레이 스타일
기록 대회 경력 · 주요 경력
기타 여담
}}}}}}}}} ||
파일:딮기로고(검정)_4*6.png
최용혁의 연도별 시즌 일람
2024 시즌 2025 시즌 2026 시즌

1. 2024 LoL KeSPA Cup

조별리그 동안 세주아니, 스카너 등 아픈 손가락이었던 챔피언의 숙련도가 나아진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지만 전반적으로 5인 중 가장 아쉬운 폼을 보이고 있는 중이다. 단순 팀합 문제일 수도 있어 지켜봐야하지만 과거 기대받던 유망주들이 월즈에서의 부진 이후 침체기에 빠지는 경향이 있던 터라 우려하는 여론도 적지 않은 편.

퀄리피케이션 스테이지, 대만 올스타와의 경기에선 세주아니를 픽해 별 탈 없는 무난한 모습으로 승리했다. 이어 시작된 브리온과의 경기에선 바이를 픽해 초반에 베릴과 같이 교전에서 이니시를 여는 역할을 맡고 이후에 용 한타의 구도를 주도적으로 설계하는 등 좋은 모습을 보였으나, 중후반 이후론 상대 진영에 너무 깊게 파고들어 하무하게 킬을 내주고, 상대에게 물린 나르, 코르키, 렐을 외면하고 르블랑과 같이 칼리, 레나타를 노렸으나[1] 칼리스타에게 Q를 빗맞추는 대형 사고를 저지르고 칼리스타가 폭탄 목걸이 해제에 기적적으로 성공하며 팀의 역전패를 받아들여야 했다. 다시 한번 더 성사된 대만 올스타 2차전에선 비에고를 픽하고, 초반에는 팀과 함께 그리 좋지는 않은 모습[2]을 보이면서 팀의 패색이 짙어질 때 쯤, 용 둥지에서 이어진 한타에서 나르의 옷을 입은 것을 시작으로 바드, 녹턴, 오로라를 척살내며 바론을 처치하여 승기를 잡았고, 장로 용 한타에서 시우의 어그로 핑퐁 이후 뒷라인에 진입하여 상대 정글, 바텀을 단신으로 잡아내며 팀의 승리에 큰 공헌을 하였다.

월즈 이후로 지속적으로 팀 내에서 불안한 모습을 노출하던 루시드였으나, 퀄리피케이션 3라운드에서 비에고로 매우 간만에 좋은 폼으로 캐리롤을 하고 기분 좋은 마무리를 하며 녹아웃 스테이지에 진출 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젠지, 브리온전에서는 본인의 부진이 팀의 패배에 크게 영향을 끼친 것은 부정할 수 없으며, 밝혀진 녹아웃 스테이지 4강 상대가 자신이 가장 최악의 폼을 보여줬던 젠지로 결정된 만큼 복수전의 승리를 위해 이를 갈아야 할 것이다.

4강에서 2:1로 젠지를 상대로 승리를 거뒀고 결승에선 1:3으로 아쉽게 패배하여 준우승을 거뒀지만, 이번 대회동안 폼이 우상향 하면서 리 신의 경기력은 초반 젠지전을 제외하면 흠잡을 데 없었고, 비에고로도 팀 내 지대한 공헌을 하는 우수한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그 동안 아픈 손가락으로 꼽힌 세주아니와 스카너, 녹턴의 숙련도가 매우 상승한 모습[3]을 보여주며 피어리스에서의 불안감을 매우 덜어낸 것도 있는, 실 뿐만 아니라 득도 본 대회 경험이 되었다.

2. 2025 LoL Champions Korea Cup

첫 경기 T1전에서 승리를 따냈다.

두 번째 경기 DN전에서 릴리아-판테온이라는 조커픽을 꺼내 활약하며 POM을 따냈다.

이어진 BFX-HLE전에서도 스카너-세주아니-비에고-니달리-오공-킨드레드를 선택하며 엄청나게 넓은 챔피언 폭을 보여준 것은 물론 어떤 것을 잡아도 준수한 숙련도를 보여주며 팀의 상승세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한화전에서는 강타싸움에서 연전연승하는 등 작년 인간 상성급으로 전적이 밀리던 피넛을 압도하는 모습으로 팀을 캐리하며 두 번째 POM을 수상했다.

3. 2025 LoL Champions Korea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다만 객관적으로 이는 나쁘지 않은 판단이였다. 상대에게 물린 나르, 코르키, 렐의 컨디션이 좋지 않았기에 바이가 합류해도 교전 승리를 장담할 수 없었던 상황이기도 했고, 칼리스타의 컨디션이 거의 빈사 상태였기 때문에 스킬을 빗맞추지 않았더라면 게임이 끝나는 참사는 막을 수 있었다.[2] 특히 미드 쪽 교전에서 w를 쓰고 이속이 증가된 상태의 오로라를 따라 점멸을 써서 플낭비를 한 것이 아쉬운 점. 해설 위원들 또한 "Bad flash"라며 한탄하는 모습을 보였다. 정황상 오로라 리워크 이후 오로라 w스킬에 새로 달린 이속 증가에 대해 미숙했을 가능성이 크다. 다만 이 점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무난한 모습을 보였다.[3] 특히 악명 높았던 자신의 세주아니는 주력픽 급으로 다루는 모습을 보여주어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스카너, 녹턴 또한 이전과 비교해 픽의 가치, 이유를 보여주기에는 무리가 없는 출중한 모습을 보여줬다. 다만 자신을 대표하던 주력픽인 바이의 활약상은 다소 별로였다는 것이 흠.-바이를 희생하고 세주아니를 깨달았다 카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