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1 21:17:28

치엔웨이 대공미사일

파일:103579181.jpg

1. 개요2. 계열화 시리즈
2.1. QW-1 시리즈2.2. QW-22.3. QW-32.4. QW-42.5. 기타 시리즈
3. 둘러보기

1. 개요

중국 인민해방군이 운용하는 FN-6외 맨패즈(Man-Portable Air Defense System (MANPADS)) 즉 휴대용 지대공미사일이다.FN-6보다는 조금 빠른 92년부터 개발을 시작하여 94년에 전력화에 들어가게된 휴대용 지대공 미사일이다. 사실 개발이라기 보다는 러시아의 SA-18 이글라를 수입하여 역설계한 형태의 물건이다. 직설적으로 보자면 사실상의 짝퉁이자 복제품인 셈이다. 90년대 소련의 붕괴시기이니 중국으로서는 여러가지 러시아제 신형 무기들과 기술도입이 좋았던 시기였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다. 또한 성능적으로 만족하지 못했던 중국의 최초의 휴대용 FN-5(SA-7)의 기술력 한계 극복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중국명으로는 치엔웨이(前卫 / 前衛) 편휴식 방공 유도탄(便携式防空导弹)이라고 언급되며 영문으로는 QW(Qian Wei)이라는 명칭으로 불리운다. 코드명외에도 명칭은 Vanguard라는 명칭이 붙는다. 역설계를 하여 생산하였음에도 FN-6와 마찬가지로 상당한 계열화를 이루는데 가장 성공한 물건이다. FN-6는 한정되어있는 반면에 QW 시리즈는 상당히 다양한 계량형과 시리즈들을 운용하고 있으나 개량사항들을 보면 그만큼 중국이 90년대 러시아의 휴대용 지대공미사일을 소화하는 것에 기술력적 소화능력이 부족했음을 의미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2. 계열화 시리즈

前卫系列便携式防空导弹

큰 범주안에서 QW-1/2/3/4로 나뉘어져 있다.

2.1. QW-1 시리즈

가장 다양한 시리즈 형태를 보유하고 있는 QW-1 시리즈는 상당히 많은 개량사항들을 적용하고 있다. 그만큼 많은 운용을 하고 있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파일:external/4.bp.blogspot.com/QW-1_MANPAD_91506C.jpg 파일:external/c8.alamy.com/a-chinese-made-qw-1a-all-weather-air-defense-missle-system-is-displayed-H1KYWF.jpg
QW-1 QW-1A
파일:external/militaryedge.org/QW-1M.jpg
QW-1M

가장 초기형들에 해당하지만 동시에 현역에서도 주력으로 운영되는 물건들중 하나이며 중국이 무기 강매시장인 파키스탄군이란군이 이를 채용하여 운영하고 있다. A/M형은 각각 2002년에 나온 QW-1의 개량형들로 개량사항은 다음과 같다.
파일:external/photo.sohu.com/Img204276017.jpg
QW-1A 관측수의 방공레이더 정보기능 강화
파일:external/pbs.twimg.com/C4UObLyWMAQiw4W.jpg
QW-1M 암시조준경이 광학조준경으로 변경
미사일의 적외선 시커 대역 향상
중량 18kg로 증대
엔진 고체 연료 모터
발사중량 16.9kg
전장 1.53m
직경 7.1cm
속도 600m/s
사거리 5km
요격고도 4km
탄두 파편 방사형 고폭탄 1.5kg
유도방식 1시커 적외선
파일:external/nevskii-bastion.ru/MISAGH_01.jpg
QW-11[1] 기존의 관측수에게 순항미사일 요격능력 부여 정보시스템 소프트웨어 강화 및 레이더 성능 강화
QW-18[2] 미사일 시커를 2채널 적외선 시커로 변경 추적능력 강화 및 초음속 물체 대응
형식 QW-11 QW-18
엔진 고체 연료 모터 고체 연료 모터
발사중량 16.9kg 18kg
전장 1.47m 1.57m
직경 7.1cm 7.1cm
속도 600m/s 600m/s
사거리 5km 5km
요격고도 4km 4km
탄두 파편 방사형 고폭탄 1.5kg 파편 방사형 고폭탄 1.5kg
유도방식 적외선 2시커 적외선
파일:external/bastion-opk.ru/QW-19_01.jpg
QW-19 2010년에 최초 등장 / 미사일 비행 제어 날개 개량 / 근접신관으로 변경

출처, 출처2, 출처3, 출처3

2.2. QW-2

파일:external/image02w.seesaawiki.jp/9b07d717f3327967.jpg파일:external/image01w.seesaawiki.jp/4c4e20f42ee7d173.jpg

QW-2는 98년에 모습을 공개한 추가적인 계열화 무기이다. 98년 영국의 방산시장에서 등장하면서 중국이 내보인게 QW-1을 바탕으로 개량화하여 내놓은 무기라고 했으나 대부분의 평가는 SA-16의 복제품으로보는 시각이 강하다. SA-16 즉 9K310 Igla-1과 외형적 규격이 완전 동일하다. 즉 따라서 기존의 QW-1을 개발하면서 얻은 노하우에 SA-16의 기술지원과 역설계를 하면서 중국이 나름의 기술축적을 위해서 추가적으로 선보인 물건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물건이다. 사실 그 때문에 중국 인민해방군도 소수 채용하다가 말았지만 나름 상대적으로 대량으로 운영되는 편인데 왜냐하면 95/04식 자주대공포의 대공미사일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기본적으로 수출형으로 내놓은 셈이지만 러시아제 SA-16과 경쟁이 될리가 없었기에 파키스탄에 Anza Mk. III라는 명칭으로 기본적 수출실적 말고는 없다. 그리고 차량형으로 CQW-2가 있다.
엔진 고체 연료 모터
발사중량 18.4kg
전장 1.59m
직경 7.2cm
속도 600m/s
사거리 6km
요격고도 3.5~4km
탄두 파편 방사형 고폭탄 1.4kg
유도방식 2시커 적외선

출처, 출처2

파일:external/img-fotki.yandex.ru/0_1183ad_a121f934_XL.jpg

최근에는 QW-12이라는 형태로 기존의 QW-1시리즈에서의 개량사항을 적용하여 무기시장에 내놓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3. QW-3

파일:external/image02w.seesaawiki.jp/267d56d38e096d2c.jpg

QW-3은 소형함등의 함대공미사일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2000년대 초반에 배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RAM을 목표로 하기 했다기보다는 미군이 공격헬기등으로 근해에서 헬파이어 대전차미사일로 연안함정들을 격침 혹은 공격의 유효성이 과시되면서 본격적으로 대양해군을 준비하는 입장이었으나 연안해군의 기본적 형태를 벗어나지 못했던 당시 중국 해군으로서는 이를 요격할 형태의 물건이 필요했고 거기서 착안되어서 제공된 것이 QW-3이다.
파일:external/www.tehnomil.net/post-4-18817-QW_3_1.jpg 파일:external/www.deagel.com/m02014052000003.jpg
엔진 2단 고체 연료 모터
발사중량 23kg
전장 2.1m
속도 750m/s
사거리 8km
요격고도 5km
탄두 파편 방사형 고폭탄
유도방식 반능동 레이저 유도(SALH)[3]

출처, 출처2

요격에 특화형태를 띄다보니 사정거리가 더욱 증대되고 요격고도 역시 증대되었다. 가장 돋보이는 점이라면 유도기능이 기존의 2시커 형태의 적외선 추적기능의 유도능력이 아니라 반능동 레이저 유도방식으로 유도방식이 완전히 바뀌었다. 덕분에 이론적으로는 레이저파를 통한 유도기능으로 단거리 방공망에서 우수한 능력을 보인다고하지만 레이더(Radar)가 아니라 레이저(Lazer) 다중방공에는 효율적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2.4. QW-4

QW-4는 QW 시리즈의 최신형으로 QW-2의 발전형으로 추정된다. 02년에 나와서 07년까지 공개적인 실험모습이 나오고는 있었으나 지금은 이렇다할 소식이 없는 상황이다. 개발중인 사항이며 알려진 형태로는 적외선 시커의 추가적인 대역증대와 정밀도 향상 및 전자식 비행제어기능 강화가 알려져 있다. 추정상 기존의 QW시리즈들의 성능개량에서 그렇게 특이점이 없는걸 감안하면 그간 시리즈에서 집착하다시피했던 순항미사일 관련이나 무인기와 같은 소형표적에 대한 정밀요격능력 강화를 주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엔진 고체 연료 모터
속도 마하 2
사거리 6km
요격고도 4km
탄두 파편 방사형 고폭탄
유도방식 2시커 적외선

출처, 출처2

2.5. 기타 시리즈

파일:external/www.ausairpower.net/FLV-1-SAM-System-1S.jpg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FLV-2%20%C2%F7%C0%E7%20%B1%D9%B0%C5%B8%AE%20%B0%E6%B7%AE%20%B9%E6%B0%F8%20%BD%C3%BD%BA%C5%DB.jpg
FLV-1 FLV-2
엔진 고체 연료 모터
속도 마하 2
레이더 탐지사거리 18km
사거리 6km
요격고도 4km
최대주행거리 600km
차량 최대 속도 85km/h
차량 90/92식 장갑차[4]
무장 6~8연장 QW시리즈 미사일 체계
탄두 파편 방사형 고폭탄
유도방식 2시커 적외선
파일:external/www.ausairpower.net/FLG-1S-Turret-1S.jpg
FLG-1

출처, 출처2

가장 대표적인 파생형 시리즈 형태라고 할 수 있다. FLV시리즈는 운영플랫폼과 함께 저고도 방공시스템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차량탑재용 시스템을 의미한다. 실물형태가 나온건 FLV-1으로 상술된 CQW-2가 연동된 형태이다. FLV-2는 현재 모형형태로 8연장 방식의 탑재형을 운영한다. FLG-1는 발사대 형태 자체의 발사대 시스템으로 6~8연장을 운영하도록 되어있다.

수출형으로 개발된 것으로 보이나 현재까지 채용된 국가는 없는 상황이다.

3. 둘러보기

파일:중국 국기.svg 현대 중국 인민해방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현대의 중국 인민해방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colbgcolor=white,#191919>81식 자동소총, CQ 5.56, CQ-A5군경, QBZ-95, QBZ-03, QBZ-191, QTS-11
저격소총 AMR-2, CS/LR3, CS/LR4, QBU-88, QBU-10, JS 7.62, T-5000
기관단총 CS/LS06, QCW/QCQ-05, CS/LS5, 79식 기관단총
산탄총 97식 산탄총, QBS-09
권총 77식 권총, QSZ-92/QSW-06
지원화기 기관총 QJY-88, QJZ-89, QBB-95, QJG-02
유탄발사기 QLZ-87, QLL/QLG-91, QLZ-04, QLB-06, QLG-10, QLU-11
대전차화기 PF 대전차화전통, DJZ-08, 69식 화전통, 히든 블레이드, HJ-12
박격포 86식 120mm 박격포, PP-87, PP-89, PP-93, QLT-89
맨패즈 FN-6, 치엔웨이 대공미사일
유탄 인민해방군/수류탄
지뢰 59식 대인지뢰
특수전 화기 APS, QBS-06
냉병기 도검 65식 기병도, QSB-91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현대 말레이시아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000066><colcolor=#FFCC00><colbgcolor=#000066><colcolor=#FFCC00>NLAW | ERYX | 9K115-2 메티스-M | 모스키토R
탑재형
기갑차량
카라오크 | ZT3 잉웨 | 박타르 시칸
공대지
고정익기
AGM-65(F/G) 매버릭 | Kh-29(TE/L)
공대지 (ALCM)
Kh-59ME
{{{#!wiki style="margin: -0px -7px"
함대함
{NSM} | MM40 블록 2 엑조세 | 오토마트 Mk.2 | MM38 엑조세R
잠대함
SM39 엑조세
공대함
AGM-84A 하푼 블록 1A | Kh-31A | 시스쿠아
어뢰
경어뢰
A244-S
중어뢰
A184 블랙샤크
보병
FN-6 | 안자 Mk.(I/II) | 재블린 S15
차량
스타스트릭 (래피드 레인저 체계) | 9K38 이글라 (GK-M1 등)
단거리
레이피어 Mk.2 FSC
'''
CIWS
'''
사드랄
'''
개함방공
'''
{VL-MICA EM} | GWS.26 시울프 | 아스피데 | GWS.20 시캣
'''
단거리
'''
AIM-9(X/S) 사이드와인더 | R-73E | R-60M | AIM-9(B/P-4)R
'''
중장거리
'''
AIM-120C-5 AMRAAM | R-77 | R-27(R1/ER1) | AIM-7M 스패로우
Kh-31P
유도폭탄 GBU-38 JDAM | GBU-12 페이브웨이 II | KAB-500L | KAB-1500L)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현대 방글라데시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방글라데시군 (1971~현재)
বাংলাদেশ সশস্ত্র বাহিনী | Bangladesh Armed Forces
<colbgcolor=#006A4E><colcolor=#F42A41><colbgcolor=#006A4E><colcolor=#F42A41>
휴대형
9K115-2 메티스-M | 박타르 시칸
탑재형
기갑차량
박타르 시칸
'''
유도로켓
'''
지대지
TRG-230 | TRG-300
공대지
지리트 (70mm, 바이락타르 TB2)
함대함
오토마트 Mk.2 블록 IV | C-802 | C-704 | SY-1R | HY-1JR
공대함
Kh-31A
어뢰
경어뢰
A244-S
중어뢰
Yu-4 | ET-40 | 45-36NR
QW-2 | QW-18A | FN-16
단거리
FM-90
'''
CIWS
'''
FL-3000N | FM-90N
단거리
R-73E | PL-7 | R-3S
'''
중장거리
'''
R-27R
유도폭탄 LS-6 | MAM-(C/L)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페루 국기.svg 현대 페루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페루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colbgcolor=#D91023> 돌격소총 FAL, G3, AKM, 갈릴 ACE, M16A2, M21, StG-942
저격소총 SR-99
기관단총 PM12S, UZI, BXP, MP5A4, MP5A5
권총 브라우닝 하이파워, 베레타 92F, SP-1
<colbgcolor=#D91023> 지원화기 <colbgcolor=#D91023> 기관총 M1919A4, M1919A6, FALO, FN MAG, FN 미니미, 울티맥스 100, HK21E, PK, PKM, 미니-SS, M2HB, DShK
유탄발사기 M203, MGL, XRGL-40, QLZ-87
대전차화기 M40, RPG-7V, PSRL-1, RPG-22, 칼 구스타프 M2, SPG-9, 스파이크 MR, 9K11, 9K135
맨패즈 9K38, QW-1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F2000, FAD, SCAR-L, SCAR-H, 갈릴 SAR, HK53, SOAR, SAR-21, K2
저격소총 M82, AW50, SSG 69
기관단총 MP5SD, MP5K, P90
산탄총 M1300
대전차화기 C-100 Alcotán, 판처파우스트 3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685050><colcolor=white>북미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남미
서유럽
'''
중부유럽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북유럽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동유럽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남아시아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
중앙아시아
'''
서아시아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
오세아니아
'''
아프리카}}}}}}}}}}}}


[1] QW-1G라는 명칭으로도 사용된다.[2] 이 무기때부터 중국이 완전하게 SA-18을 소화해냈다.[3] Semi-Active Lazer Homing[4] 4X4의 WZ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