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래곤빌리지2의 드래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px -1px -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colbgcolor=#fff> [[고대신룡(드래곤빌리지2)| | <colbgcolor=#fff> [[엔젤 드래곤| | <colbgcolor=#fff> [[에메랄드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 <colbgcolor=#fff> [[라이곤(드래곤빌리지2)| | <colbgcolor=#fff> [[카멜레용| | ||||
고대신룡 | 엔젤 드래곤 | 에메랄드 드래곤 | 라이곤 | 카멜레용 | |||||
[[치킨헤드 드래곤| | [[캥거레빗 드래곤| | [[큐피트용| | [[골드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 [[백룡(드래곤빌리지2)| | |||||
치킨헤드 드래곤 | 캥거레빗 드래곤 | 큐피트용 | 골드 드래곤 | 백룡 | |||||
[[레인보우(드래곤빌리지2)| | [[고대주니어| | [[크리마용| | [[샴 드래곤| | [[나이트 드래곤| | |||||
레인보우 | 고대주니어 | 크리마용 | 샴 드래곤 | 나이트드래곤 | |||||
[[스파이시(드래곤빌리지2)| | [[라파엘(드래곤빌리지2)| | [[삐에로 드래곤| | [[파라오 드래곤| | [[순둥곤| | |||||
스파이시 | 라파엘 | 삐에로 드래곤 | 파라오 드래곤 | 순둥곤 | |||||
[[네온 드래곤| | [[바리안(드래곤빌리지2)| | [[오로라 드래곤| | [[슈팅스타(드래곤빌리지2)| | [[깨비곤| | |||||
네온 드래곤 | 바리안 | 오로라 드래곤 | 슈팅스타 | 깨비곤 | |||||
[[일리오스(드래곤빌리지2)| | [[레이곤| | [[솔라(드래곤빌리지2)| | [[아프로디테(드래곤빌리지2)| | [[팔라곤| | |||||
일리오스 | 레이곤 | 솔라 | 아프로디테 | 팔라곤 | |||||
[[아톤(드래곤빌리지2)| | [[엔젤주니어| | [[로롤리| | [[쿠르파| | [[바그마| | |||||
아톤 | 엔젤주니어 | 로롤리 | 쿠르파 | 바그마 | |||||
[[울르(드래곤빌리지2)| | [[엘더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 [[데바 드래곤| | [[루돌프 드래곤| | [[스프링(드래곤빌리지2)| | |||||
울르 | 엘더 드래곤 | 데바 드래곤 | 루돌프 드래곤 | 스프링 | |||||
[[프로텍트 드래곤| | [[파티 드래곤| | [[칸(드래곤빌리지2)| | [[아이가스| | [[설리반(드래곤빌리지2)| | |||||
프로텍트 드래곤 | 파티 드래곤 | 칸 | 아이가스 | 설리반 | |||||
[[헤네스| | [[미트라(드래곤빌리지2)| | [[황금찡또| | [[룩소린| | [[카루라(드래곤빌리지2)| | |||||
헤네스 | 미트라 | 황금찡또 | 룩소린 | 카루라 | |||||
[[리베티| | [[화이트 다이아몬드(드래곤빌리지2)| | [[모노케로스(드래곤빌리지2)| | [[고대신룡Ⅱ| | ||||||
리베티 | 화이트다이아몬드 | 모노케로스 | 고대신룡Ⅱ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흑룡(드래곤빌리지2)| | [[블레이드 드래곤| | [[메탈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 [[미이라곤| | [[뱃도치 드래곤| |
흑룡 | 블레이드 드래곤 | 메탈 드래곤 | 미이라곤 | 뱃도치 드래곤 | |||||
[[스켈레곤| | [[서펀트 드래곤| | [[G네 드래곤| | [[다크닉스(드래곤빌리지2)| | [[히에나곤| | |||||
스켈레곤 | 서펀트 드래곤 | G네 드래곤 | 다크닉스 | 히에나곤 | |||||
[[유니 드래곤| | [[크레센트(드래곤빌리지2)| | [[다크프로스티| | [[데몽과 가고일| | [[베네지| | |||||
유니 드래곤 | 크레센트 | 다크프로스티 | 데몽과 가고일 | 베네지 | |||||
[[바알(드래곤빌리지2)| | [[쉐도우 드래곤| | [[프랑켄슈타곤| | [[닌자 드래곤| | [[드라고노이드| | |||||
바알 | 쉐도우 드래곤 | 프랑켄슈타곤 | 닌자 드래곤 | 드라고노이드 | |||||
[[윗치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 [[블랙퀸(드래곤빌리지2)| | [[시그마(드래곤빌리지2)| | [[코브라곤| | [[발로드| | |||||
위치 드래곤 | 블랙퀸 | 시그마 | 코브라곤 | 발로드 | |||||
[[캣츠곤| | [[타르타로스(드래곤빌리지2)| | [[다크폴 드래곤| | [[투탕카| | [[녹스(드래곤빌리지2)| | |||||
캣츠곤 | 타르타로스 | 다크폴 드래곤 | 투탕카 | 녹스 | |||||
[[하데스(드래곤빌리지2)| | [[헬가스트(드래곤빌리지2)| | [[다크나이트(드래곤빌리지2)| | [[블랙홀(드래곤빌리지2)| | [[에레보스(드래곤빌리지2)| | |||||
하데스 | 헬가스트 | 다크나이트 | 블랙홀 | 에레보스 | |||||
[[퍼플픽| | [[샤먼 드래곤| | [[크리스탈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 [[랍토르(드래곤빌리지2)| | [[가오론| | |||||
퍼플픽 | 샤먼 드래곤 | 크리스탈 드래곤 | 랍토르 | 가오론 | |||||
[[고디움| | [[벨벳 드래곤| | [[블랙아머 드래곤| | [[루포 드래곤| | [[프로스트랩터| | |||||
고디움 | 벨벳 드래곤 | 블랙아머 드래곤 | 루포 드래곤 | 프로스트랩터 | |||||
[[블랙찡또| | [[스카투스 드래곤| | [[마르바스(드래곤빌리지2)| | [[좀비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 [[말로단| | |||||
블랙찡또 | 스카투스 드래곤 | 마르바스 | 좀비 드래곤 | 말로단 | |||||
[[아자크| | [[바크스| | [[카르나(드래곤빌리지2)| | [[감4용| | [[간다르바(드래곤빌리지2)| | |||||
아자크 | 바크스 | 카르나 | 감4용 | 간다르바 | |||||
[[쿠베라(드래곤빌리지2)| | [[콜테일| | [[미르(드래곤빌리지2)| | [[다크닉스Ⅱ| | ||||||
쿠베라 | 콜테일 | 미르 | 다크닉스Ⅱ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히드라곤(드래곤빌리지2)| | [[파워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 [[바위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 [[지하땅굴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 [[에그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
히드라곤 | 파워 드래곤 | 바위 드래곤 | 지하땅굴 드래곤 | 에그 드래곤 | |||||
[[패트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 [[리프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 [[스마트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 [[타이거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 [[골든혼| | |||||
패트 드래곤 | 리프 드래곤 | 스마트 드래곤 | 타이거 드래곤 | 골든혼 | |||||
[[타투(드래곤빌리지2)| | [[스파인(드래곤빌리지2)| | [[머스타드해머| | [[스콜피온(드래곤빌리지2)| | [[파이썬(드래곤빌리지2)| | |||||
타투 | 스파인 | 머스타드해머 | 스콜피온 | 파이썬 | |||||
[[램곤| | [[헤라클레스곤| | [[팀버 드래곤| | [[플라워 드래곤| | [[에닉스(드래곤빌리지2)| | |||||
램곤 | 헤라클레스곤 | 팀버 드래곤 | 플라워 드래곤 | 에닉스 | |||||
[[헝그리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 [[오르페우스(드래곤빌리지2)| | [[머드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 [[고르곤(드래곤빌리지2)| | [[레이어스(드래곤빌리지2)| | |||||
헝그리 드래곤 | 오르페우스 | 머드 드래곤 | 고르곤 | 레이어스 | |||||
[[콜로서스(드래곤빌리지2)| | [[타이탄(드래곤빌리지2)| | [[프레데터(드래곤빌리지2)| | [[애플칙| | [[클로로(드래곤빌리지2)| | |||||
콜로서스 | 타이탄 | 프레데터 | 애플칙 | 클로로 | |||||
[[진(드래곤빌리지2)| | [[톨리| | [[태엽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 [[루톤 드래곤| | [[포폰 드래곤| | |||||
진 | 톨리 | 태엽 드래곤 | 루톤 드래곤 | 포폰 드래곤 | |||||
[[머쉬룸 드래곤| | [[섬머샤인| | [[에스티미아| | [[변종에그드래곤| | [[돌탱이 드래곤| | |||||
머쉬룸 드래곤 | 섬머샤인 | 에스티미아 | 변종에그드래곤 | 돌탱이 드래곤 | |||||
[[디아망 드래곤| | [[루페스| | [[발라(드래곤빌리지2)| | [[미스틱 아츠(드래곤빌리지2)| | [[다로스| | |||||
디아망 드래곤 | 루페스 | 발라 | 미스틱 아츠 | 다로스 | |||||
[[라키온(드래곤빌리지2)| | [[말덱| | [[아틀라스(드래곤빌리지2)| | [[슬로스(드래곤빌리지2)| | [[직소 드래곤| | |||||
라키온 | 말덱 | 아틀라스 | 슬로스 | 직소 드래곤 | |||||
[[칸타카| | [[아스타테| | [[디기(드래곤빌리지2)| | |||||||
칸타카 | 아스타테 | 디기 |
-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width=20%> [[빙하고룡(드래곤빌리지2)|]]||<width=20%> [[네시(드래곤빌리지2)|]]||<width=20%> [[테일 드래곤|]]||<width=20%> [[수룡(드래곤빌리지2)|]]||<width=20%> [[페어리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빙하고룡 네시 테일 드래곤 수룡 페어리 드래곤 [[미니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스왐프 드래곤| ]][[프로그 드래곤| ]][[슬라임 드래곤| ]][[샤크곤| ]]미니 드래곤 스왐프 드래곤 프로그 드래곤 슬라임 드래곤 샤크곤 [[현무 드래곤| ]][[블루라이트닝| ]][[퍼플립스 드래곤| ]][[바이올렛 드래곤| ]][[루피아 드래곤| ]]현무 드래곤 블루라이트닝 퍼플립스 드래곤 바이올렛 드래곤 루피아 드래곤 [[스터드 드래곤| ]][[메갈로돈(드래곤빌리지2)| ]][[루미네스(드래곤빌리지2)| ]][[타일런트(드래곤빌리지2)| ]][[7성| ]]스터드 드래곤 메갈로돈 루미네스 타일런트 7성 [[블리자드(드래곤빌리지2)| ]][[썬더볼트(드래곤빌리지2)| ]][[운디네(드래곤빌리지2)| ]][[포세이돈(드래곤빌리지2)| ]][[나가(드래곤빌리지2)| ]]블리자드 썬더볼트 운디네 포세이돈 나가 [[실러캔스(드래곤빌리지2)| ]][[루스페론| ]][[트로페우스| ]][[제노스(드래곤빌리지2)| ]][[우즈(드래곤빌리지2)| ]]실러캔스 루스페론 트로페우스 제노스 우즈 [[해마곤| ]][[파프리온| ]][[툰드라 드래곤| ]][[아쿠아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마리노 드래곤| ]]해마곤 파프리온 툰드라 드래곤 아쿠아 드래곤 마리노 드래곤 [[골든허니| ]][[어비스엣지| ]][[웨일 드래곤| ]][[베놈 드래곤| ]][[글라시아(드래곤빌리지2)| ]]골든허니 어비스엣지 웨일 드래곤 베놈 드래곤 글라시아 [[지마(드래곤빌리지2)| ]][[아루루가| ]][[라지카스| ]][[아르켈론(드래곤빌리지2)| ]][[브리트라(드래곤빌리지2)| ]]지마 아루루가 라지카스 아르켈론 브리트라 [[타크샤카(드래곤빌리지2)| ]][[다이달로스(드래곤빌리지2)| ]][[소라게 드래곤| ]]타크샤카 다이달로스 소라게 드래곤
-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width=20%> [[번개고룡(드래곤빌리지2)|]]||<width=20%> [[파이어 드래곤(드래곤빌리지2)|]]||<width=20%> [[라바 드래곤(드래곤빌리지2)|]]||<width=20%> [[피닉스(드래곤빌리지2)|]]||<width=20%> [[헬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번개고룡 파이어 드래곤 라바 드래곤 피닉스 헬 드래곤 [[스파이크 드래곤| ]][[인섹트 드래곤| ]][[샌드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금오 드래곤| ]][[본헤드 드래곤| ]]스파이크 드래곤 인섹트 드래곤 샌드 드래곤 금오 드래곤 본헤드 드래곤 [[레드와이번| ]][[볼케이노(드래곤빌리지2)| ]][[아이언 드래곤| ]][[자룡(드래곤빌리지2)| ]][[배틀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레드와이번 볼케이노 아이언 드래곤 자룡 배틀 드래곤 [[데빌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플레임 드래곤| ]][[아르고(드래곤빌리지2)| ]][[말소자 드래곤| ]][[발칸(드래곤빌리지2)| ]]데빌 드래곤 플레임 드래곤 아르고 말소자 드래곤 발칸 [[레드불 드래곤| ]][[이그니스(드래곤빌리지2)| ]][[번네스| ]][[붐버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데스리퍼(드래곤빌리지2)| ]]레드불 드래곤 이그니스 번네스 붐버 드래곤 데스리퍼 [[라 솔라| ]][[블레이즈(드래곤빌리지2)| ]][[이그나(드래곤빌리지2)| ]][[파이거| ]][[데스퍼라티오| ]]라 솔라 블레이즈 이그나 파이거 데스퍼라티오 [[우치(드래곤빌리지2)| ]][[그리파르| ]][[선셋 드래곤| ]][[수라 드래곤| ]][[플람마 드래곤| ]]우치 그리파르 선셋 드래곤 수라 드래곤 플람마 드래곤 [[블럭 드래곤| ]][[도미넌스 드래곤| ]][[아카누스| ]][[가루다(드래곤빌리지2)| ]][[와일드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블럭 드래곤 도미넌스 드래곤 아카누스 가루다 와일드 드래곤 [[루가르| ]][[루너스| ]][[자루카| ]][[타로스| ]][[엔투라스| ]]루가르 루너스 자루카 타로스 엔투라스 [[아르주나(드래곤빌리지2)| ]][[마룡(드래곤빌리지2)| ]][[완숙이| ]][[픽셀 드래곤| ]][[살라(드래곤빌리지2)| ]]아르주나 마룡 완숙이 픽셀 드래곤 살라 [[칼라빈카(드래곤빌리지2)| ]][[불나래| ]][[아프리트| ]][[탈릿사| ]][[쿠즈마라| ]]칼라빈카 불나래 아프리트 탈릿사 쿠즈마라 [[이카루스(드래곤빌리지2)| ]][[세크라포| ]]이카루스 세크라포
-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width=20%> [[윈드 드래곤|]]||<width=20%> [[식스레그혼 드래곤|]]||<width=20%> [[청룡(드래곤빌리지2)|]]||<width=20%> [[레이디 드래곤|]]||<width=20%> [[에일리언 드래곤|]]||
윈드 드래곤 식스레그혼드래곤 청룡 레이디 드래곤 에일리언 드래곤 [[윙스 드래곤| ]][[뮤직 드래곤| ]][[메탈마그넷 드래곤| ]][[가디언(드래곤빌리지2)| ]][[프로스티(드래곤빌리지2)| ]]윙스 드래곤 뮤직 드래곤 메탈마그넷드래곤 가디언 프로스티 [[해태 드래곤| ]][[오로(드래곤빌리지2)| ]][[토템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타이푼 드래곤| ]][[클라우드 드래곤| ]]해태 드래곤 오로 토템 드래곤 타이푼 드래곤 클라우드 드래곤 [[라이오스(드래곤빌리지2)| ]][[제트 드래곤| ]][[사나래(드래곤빌리지2)| ]][[가스트(드래곤빌리지2)| ]][[썬더립스| ]]라이오스 제트 드래곤 사나래 가스트 썬더립스 [[익시아| ]][[허리케인(드래곤빌리지2)| ]][[루드라(드래곤빌리지2)| ]][[핑크벨| ]][[제피로스(드래곤빌리지2)| ]]익시아 허리케인 루드라 핑크벨 제피로스 [[옵타티오| ]][[파르셀(드래곤빌리지2)| ]][[팡팡 드래곤| ]][[블루썬더(드래곤빌리지2)| ]][[리틀윙스| ]]옵타티오 파르셀 팡팡 드래곤 블루썬더 리틀윙스 [[멜로우 드래곤| ]][[리티오| ]][[라므르 드래곤| ]][[베니시 드래곤| ]][[리베라(드래곤빌리지2)| ]]멜로우 드래곤 리티오 라므르 드래곤 베니시 드래곤 리베라 [[아스티(드래곤빌리지2)| ]][[점프 드래곤| ]][[루키르| ]][[스트라(드래곤빌리지2)| ]][[아라카| ]]아스티 점프 드래곤 루키르 스트라 아라카 [[타이게타| ]][[앙그라(드래곤빌리지2)| ]][[일란(드래곤빌리지2)| ]][[센투라| ]][[지타쿨라| ]]타이게타 앙그라 일란 센투라 지타쿨라 [[시리스(드래곤빌리지2)| ]][[세로님| ]][[워든(드래곤빌리지2)| ]][[오울드라| ]]시리스 세로님 워든 오울드라
-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width=20%> [[홀리(드래곤빌리지2)|]]||<width=20%> [[프리스트(드래곤빌리지2)|]]||<width=20%> [[시온(드래곤빌리지2)|]]||<width=20%> [[마리아(드래곤빌리지2)|]]||<width=20%> [[시타엘|]]||
홀리 프리스트 시온 마리아 시타엘 [[아카이아(드래곤빌리지2)| ]][[그라노스| ]][[노웨마| ]][[골드코스트(드래곤빌리지2)| ]][[루다(드래곤빌리지2)| ]]아카이아 그라노스 노웨마 골드코스트 루다 [[서클(드래곤빌리지2)| ]][[라이프 리버| ]][[아리온(드래곤빌리지2)| ]][[베르나(드래곤빌리지2)/드래곤| ]][[틸키| ]]서클 라이프 리버 아리온 베르나 틸키 [[유리온(드래곤빌리지2)| ]][[즈믄(드래곤빌리지2)#플레이어블| ]][[하리카| ]][[카일루스(드래곤빌리지2)| ]][[샤마쉬(드래곤빌리지2)| ]]유리온 즈믄 하리카 카일루스 샤마쉬
-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width=20%> [[루시퍼(드래곤빌리지2)|]]||<width=20%> [[카오스(드래곤빌리지2)|]]||<width=20%> [[크툴루(드래곤빌리지2)|]]||<width=20%> [[발레포르(드래곤빌리지2)|]]||<width=20%> [[아가레스(드래곤빌리지2)|]]||
루시퍼 카오스 크툴루 발레포르 아가레스 [[발록(드래곤빌리지2)| ]][[다르고스| ]][[저네르| ]][[원더 드래곤| ]][[푸르푸르(드래곤빌리지2)| ]]발록 다르고스 저네르 원더 드래곤 푸르푸르 [[데스 리버| ]][[쏜 네일| ]][[오거스(드래곤빌리지2)| ]][[포메쿨| ]][[크로우 드래곤| ]]데스리버 쏜 네일 오거스 포메쿨 크로우 드래곤
-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width=20%> [[후루드|]]||<width=20%> [[무다(드래곤빌리지2)|]]||<width=20%> [[사이커 드래곤|]]||<width=20%> [[게일 드래곤|]]||<width=20%> [[마고(드래곤빌리지2)|]]||
후루드 무다 사이커 드래곤 게일 드래곤 마고 [[아이즈배트| ]][[스피릿이터(드래곤빌리지2)| ]][[비스트로어| ]][[커스 리퍼| ]][[쉴로시| ]]아이즈배트 스피릿이터 비스트로어 커스 리퍼 쉴로시 [[카라선| ]][[레지아나#s-5| ]][[팬텀 드래곤(드래곤빌리지2)| ]][[리소| ]][[페이스리스(드래곤빌리지2)| ]]카라선 레지아나 팬텀 드래곤 리소 페이스리스
}}}}}} ||
발록 Balrog | |||||
| <bgcolor=white> | <nopad> | |||
알 | 해치 (Lv.1~9) | 해츨링 (Lv.10~24) | |||
<bgcolor=white> | <nopad> | 타입 : 체력형 세대 : 3.4 | |||
성체~오라성체 (Lv.25~50) | 각성 | ||||
설명 | 무한한 힘을 지닌 혼돈 드래곤. 본래는 카데스의 부하 몬스터 카이저 발록이었으나 마영석의 힘으로 정화되어 드래곤으로 다시 태어났다. | ||||
1레벨 최대 능력치[a] | 최대 상승폭 | 50레벨 최대 능력치[a] | |||
체력 | 229 | 22 | 1258 | ||
공격력 | 27 | 3 | 174 | ||
방어력 | 27 | 2 | 125 | ||
습득방법 | 길드 토벌전 | ||||
각성 | |||||
전용장비 |
1. 개요
전신 보기드래곤빌리지2의 혼돈속성 드래곤이자 길드 컨텐츠인 토벌전의 몬스터.[3]
2. 카이저 발록
2.1. 토벌전(폭주한 발록)
토벌몹 | ||
폭주한 발록 | ||
요일마다 젬과 스킬이 바뀐다.[4][5] | ||
[보통] 카이저 발록의 투구, 카이저 발록의 보주, 카이저 발록의 팔찌 아이템을 가지고 있다 | ||
HP | 99999 | |
AT | 330[7] | |
DF | 90[8] |
죽이게 되면 109998의 토벌점수를 받고 1099개의 가넷을 받을수 있다. 이 호구같은 발록도 이기기 어려울 때가 있는데 토요일 발록이다. 토요일 발록은 체력에 비례하여 데미지를 주는 스킬인 시한폭탄을 사용해서 설리반의 전용장비[11]를 사용해야 쉽게 이길수 있다.
보통 난이도의 발록은 카이저 발록의 투구, 보주, 팔찌를 모두 가지고 있어서 난이도가 크게 상승한다. 하지만 이것도 설리반+위대한 이상의 이그니스[철갑방패]+신성만 가져가면 쉬움과 다름이 없다.
토벌전은 매일 오후 12시부터 입장 가능하며 하루마다 뽑기를 통해 보상을 주는데 보상은 다음과 같다.[12]
쉬움 난이도 | |
0~299,999 | 드래곤의 축복, 마이아의 축복, 다이아 30~100, 발록의 피 25~50 |
300,000~999,999 | 혼성 젬, 드래곤의 축복, 마이아의 축복, 다이아 30~100, 발록의 피 30~35 |
1,000,000~1,499,999 | 운디네, 솔라, 이그나, 다크나이트의 알, 혼성 젬, 드래곤의 축복, 마이아의 축복, 다이아 30~100, 발록의 피 35~60 |
1,500,000~2,499,999[13] | 발록의 핵, 운디네, 솔라, 이그나, 다크나이트의 알, 혼성 젬, 드래곤의 축복, 마이아의 축복, 다이아 30~100, 발록의 피 40~70 |
2,500,000~4,999,999 | 발록의 핵, 카이저 발록의 파편, 운디네, 솔라, 이그나, 다크나이트의 알, 혼성 젬, 드래곤의 축복, 마이아의 축복, 다이아 30~100, 발록의 피 45~80 |
5,000,000~9,999,999 | 발록의 핵, 카이저 발록의 파편,발톱, 운디네, 솔라, 이그나, 다크나이트의 알, 혼성 젬, 드래곤의 축복, 마이아의 축복, 다이아 30~100, 발록의 피 50~90 |
10,000,000 이상 | 발록의 핵, 카이저 발록의 파편, 발톱, 뿔 운디네, 솔라, 이그나, 다크나이트의 알, 혼성 젬, 드래곤의 축복, 마이아의 축복, 다이아 30~100, 발록의 피 50~90 |
보통 난이도 | |
0~49,999 | 드래곤의 축복, 마이아의 축복, 다이아 30~100, 발록의 피 25~50 |
50,000~99,999 | 발록의 핵, 드래곤의 축복, 마이아의 축복, 다이아 30~100, 발록의 피 30~60 |
100,000~499,999 | 발록의 핵, 카이저발록의 파편, 드래곤의 축복, 마이아의 축복, 다이아 30~100, 발록의 피 35~70 |
500,000~999,999[14] | 발록의 핵, 카이저발록의 파편, 발톱, 드래곤의 축복, 마이아의 축복, 다이아 30~100, 발록의 피 40~80 |
1,000,000~1,999,999 | 발록의 핵, 카이저 발록의 파편, 발톱, 뿔, 드래곤의 축복, 마이아의 축복, 다이아 30~100, 발록의 피 45~90 |
2,000,000~3,999,999 | 발록 장신구[15], 발록의 핵, 카이저 발록의 파편,발톱, 뿔, 드래곤의 축복, 마이아의 축복, 다이아 30~100, 발록의 피 50~100 |
4,000,000 이상 | 발록 장신구, 발록의 핵, 카이저 발록의 파편, 발톱, 뿔 운디네, 솔라, 이그나, 다크나이트의 알, 혼성 젬, 드래곤의 축복, 마이아의 축복, 다이아 30~100, 발록의 피 60~150 |
2.2. 콜로세움(집나간 발록)
과거 콜로세움에서 이 폭주한 발록이 튀어나오는 이벤트가 있었다. 이름은 '집나간 발록'. 생긴것만 무섭지 세팅은 사용 드래곤과 동일하나 스펙이 낮아 크게 어려움 없이 잡을 수 있었다.[16]
3. 드래곤 발록
다르고스에 이어 출시된 혼돈속성 2번째 6성 드래곤.
3.1. 입수
발록 알조각 뽑기 선택권으로 15개의 다른 조각을 모으면[17] 발록의 핵과 조합해[18] 발록의 알을 만들 수 있다. 초보자에게 있어 입수도 비교적 쉽고[19] 얻기만 해도 1vs1에서 평타 이상은 치는 녀석이기 때문에 가능하면 얻어두자.
3.2. 성능
1vs1 상위권을 장악했던 발록의 위상 |
출시 초기에는 콜로세움 1vs1에서 가장 무난한 체력형이라는 이점과 함께 6성 3.4세대라는 압도적인 깡스텟, 얻기 쉽지 않지만 그렇다고 못얻을 것도 없는 획득 난이도 등으로 인해 상당한 강함을 자랑했다. 당시 루스페론, 크툴루, 시타엘 등 널리 쓰이던 세대 높은 체력형들의 끝판 왕이었던 것. 여타 체력형들처럼 시한폭탄, 신경독소, 분노의 일격, 거신의 돌격, 치유의 빛 등 여러 가지 스킬들을 이용했으며 각성 추가 전에는 체력형 답게 시한폭탄이 가장 악명 높았다.
이후 각성의 부재로 시타엘에게 밀릴 때도 있었지만 2018년 업데이트로 각성이 추가되었다. 각성스킬은 체력이 50% 이하일 때 피해량이 50%증가. 이런 사기적인 각성 스킬로 인해 시타엘이 파워인플레에 밀린 지금까지도 상위권의 자리에 위치해 있다.
체력형들 사이에서도 자주 쓰이는 분노의 일격과 특히 시너지가 좋은데, 체력이 낮아져야 사용 가능한 분노의 일격을 50% 증가된 딜로 넣을수 있는 것. 또한 다른 체력형들이 빙결의 표식을 함께 쓰는 것과 달리 상처 파악을 중첩시켜 후반부 괴물같은 딜을 뽑아내는 조합이 대중적이다.[20] 이로 인해 커스 리퍼 같은 분노의 일격 체력형들에게 있어 통곡의 벽인 신속이동+마비의 구름 체방형들에게도 비벼볼수 있다. 마비의 구름 효과로 분노의 일격이 없어지면 딜을 넣을수 있는 수단이 없는 다른 이들과 달리 상처파악[21]과 깡딜 만으로 딜을 넣을수 있는 것.
완숙이와 달리 방어적인 기술이 없기 때문에 장갑+보주+맹수의 감각 공격형 딜러로 저격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지만 오히려 완숙이보다 상대하기 힘들다. 전용 장신구 효과가 상대가 자신의 공격을 회피할 시, 상대의 턴에 상대의 자해를 유도하는[22][23] 효과이기 때문.
결국 발록은 사기적인 스텟에 딱히 카운터도 없는 올라운더 격 포지션으로[24][25] 2020년 후반까지 콜로세움 1vs1에서 최강으로 군림했다. 완숙이 너프 전까지는 조금 밀려난 느낌이 있었지만 그마저도 디기와 함께 삼대장 급을 유지했고, 완숙이 너프 후로는 그냥 부동의 1티어였다. 심지어 그 후 발록 역시 너프를 먹었음에도.[26]
그러나 이런 발록도 피오드의 모래시계 추가와 함께 다른 체력형들처럼 몰락하기 시작했다. 압도적인 체력은 샤마쉬, 다크닉스Ⅱ, 포메쿨 등 공방, 체공형들과 투구&모래시계의 시너지로 순식간에 깎이게 됐고 상처파악은 중첩될 시간을 주지 않으며 스킬은 망각의 망치로 막히고 아무튼 장기전이 중요한 체력형들에게 심각하게 안좋게 돌아가버렸다. 물론 얻기 비교적 쉽다는 이점과[27] 여전히 괜찮은 스펙으로 중위 티어 쯤에서 초보용으로 쓰이고 있다. 3vs3의 설리반, 루키르와 비슷한 포지션. 가끔 상위 티어에서도 모래시계를 저격하기 위해 불나래나 고대신룡2를 방어덱에 두기도 하는데, 이들을 저격하기 위해 쓸 수도 있다.[28] 상위 티어에서는 3턴의 기회를 만들어 역습의 기회를 노릴수 있으며 스킬의 선택폭도 더 다양한 완숙이가 발록보다 그나마 더 쓰인다.
4. 기타
- 이름의 유래는 J. R. R. 톨킨이 고안한 불의 악마 발로그.
발록 카이저 발록
카이저 발록은 거대한 주먹으로 내리치는 공격을 하지만 드래곤 발록은 뿔로 찔러 공격한다.
발록 카이저 발록
크리티컬 모션은 비슷하게 땅을 파서 용암을 분출시켜 상대를 공격하는 것이다.
- 설정상의 접점은 없지만 초창기 시절 함께 콜로세움에서 강했던 시타엘이나 모래시계 업데이트 전까지 1vs1 최강의 드래곤들이었던 완숙이, 디기와 함께 유저들 사이에서 엮이기도 한다.
각성한 사대신룡이 발록을 둘러싼 모습이 배경화면이 된 적이 있다.[29] 큰 의미를 두고 배경화면으로 쓴건 아니겠지만 각성도 안한 상태로 각성 상태의 사대신룡과 대치하는 모습을 보면 인게임에서의 위엄을 느낄 수 있다.
[a] 7.0 기준[a] [3] 이 때는 설정상 몬스터 카이저 발록이며 마영석의 힘으로 정화시킨게 드래곤 발록이다.[4] 스킬은 4레벨, 젬은 원형젬이다.[5] 월요일-공격원젬, 복수의 거울, 철갑방패
화요일-방어 원젬, 심판의 날개, 암흑의 사슬
수요일-공방원젬, 상처파악, 환각효과
목요일-공방원젬 신경독소 바위방어술
금요일-공격 원젬, 뼈부수기, 신의결계
토요일-공격 원젬, 시한폭탄, 망각의 망치
일요일-공격 원젬, 야수의 본능, 자연의 수호[보통] [7] 젬에 따라 올라갈수 있다.[8] 젬에 따라 올라갈수 있다.[9] 이 발록을 쉬움 난이도로 잡는게(일명 쉬발킬) 보통 길드의 가입 조건이다.[10] 유튜브 링크
신속이동+마비의 구름을 채용한 체방형 드래곤 베르나가 발록을 잡는 영상. 베르나는 각성도 없고 성능용으로 쓰는 드래곤이 아닌데도 잡아낸 것이다.[11] 자신의 최대 체력의 30%까지만 데미지를 입는다.[12] 발록의 피는 좋아보일지 몰라도 기본적으로 200개씩 주기 때문에 그닥 좋지 않다.[13] 여기부터 발록의 알조각 뽑기권을 같이 준다.[14] 여기부터 발록의 알조각 뽑기권을 같이 준다.[15] 카이저 발록의 투구, 보주, 팔찌 유니크/에픽으로만 나온다.[16] 과거 콜로세움에서 가끔 나왔던 자신의 드래곤과 같지만 스펙이 조금 낮은 도플갱어와 같다.[17] 중복이 나오기도 한다.[18] 봉인된 발록의 핵은 사용불가[19] 얘도 쉬운 난이도는 아니지만 다른 드래곤들이 입수가 매우 어렵거나 입수 불가인걸 생각하면...[20] 스킬의 선택폭이 넓은 완숙이와 달리 현재는 거의 분노의 일격만 쓰인다.[21] 기본적으로는 최대 4스택, 테라나 스킬 횟수 증가 권능으로 늘릴수 있다.[22] 환각효과, 푸르푸르, 포메쿨, 크로우 드래곤 처럼 딜러의 바피드의 각인을 무시한다. 즉 딜러를 상대로도 강한 모습을 보일수 있는 것.[23] 다만 푸르푸르의 각성스킬처럼 자해가 중첩된다. 발록이 2연속 공격하고 상대가 2연속 회피했다면 상대는 자해를 한번밖에 하지 않지만 2회로 취급된 것.[24] 카운터가 아예 없었다고는 못해도 완벽한 카운터가 있는 다른 드래곤들에 비해 카운터를 상대로도 비벼볼수 있었고, 다른 세팅의 발록으로 역 카운터 칠수도 있었다.[25] 그 아래 헤네스나 커스 리퍼 같은 막강한 드래곤들 역시 있었지만 이들은 올라운더 보다는 특정 조합을 저격하는 드래곤들이었다.[26] 전용장비 제한이 3회에서 2회로 줄었다. 보통 한번 공격할 때 2회만 때리는 것과 자해가 중첩되는걸 감안하면 꽤 큰 너프.[27] 1vs1에서 쓸만한 드래곤들 중 샤마쉬, 다크닉스Ⅱ, 고대신룡Ⅱ, 완숙이, 디기, 콜테일, 불나래 등은 이벤트에서 얻지 못했다면 얻을수 없고, 아자크는 오라드래곤 250마리 모으기가 쉬운게 아니고, 헤네스, 포메쿨, 슬로스는 전략전이나 순위쟁탈전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하거나 돈을 들이부어야 하며 있더라도 3vs3에서 더 많이 쓰이고, 커스 리퍼는 얻기는 어렵지 않으나 육성 난이도가 높다. 이 외에는 대부분 쓸만한 즐겜용 정도인지라 설자리가 많지 않다. 그에 반해 발록은 유저들의 실력이 크게 올라간 현재는 어지간한 길드에 가입해 토벌전만 열심히 해도 금방 얻을수 있다.[28] 그러나 이들을 저격하는데는 분노의 일격보다 시한폭탄을 든 형태가 더 낫고 이들 역시 모래시계를 들수 있어 역으로 패할 가능성 역시 높다.[29] 발 모양을 보면 카이저 발록이 아닌 드래곤 발록이다.
화요일-방어 원젬, 심판의 날개, 암흑의 사슬
수요일-공방원젬, 상처파악, 환각효과
목요일-공방원젬 신경독소 바위방어술
금요일-공격 원젬, 뼈부수기, 신의결계
토요일-공격 원젬, 시한폭탄, 망각의 망치
일요일-공격 원젬, 야수의 본능, 자연의 수호[보통] [7] 젬에 따라 올라갈수 있다.[8] 젬에 따라 올라갈수 있다.[9] 이 발록을 쉬움 난이도로 잡는게(일명 쉬발킬) 보통 길드의 가입 조건이다.[10] 유튜브 링크
신속이동+마비의 구름을 채용한 체방형 드래곤 베르나가 발록을 잡는 영상. 베르나는 각성도 없고 성능용으로 쓰는 드래곤이 아닌데도 잡아낸 것이다.[11] 자신의 최대 체력의 30%까지만 데미지를 입는다.[12] 발록의 피는 좋아보일지 몰라도 기본적으로 200개씩 주기 때문에 그닥 좋지 않다.[13] 여기부터 발록의 알조각 뽑기권을 같이 준다.[14] 여기부터 발록의 알조각 뽑기권을 같이 준다.[15] 카이저 발록의 투구, 보주, 팔찌 유니크/에픽으로만 나온다.[16] 과거 콜로세움에서 가끔 나왔던 자신의 드래곤과 같지만 스펙이 조금 낮은 도플갱어와 같다.[17] 중복이 나오기도 한다.[18] 봉인된 발록의 핵은 사용불가[19] 얘도 쉬운 난이도는 아니지만 다른 드래곤들이 입수가 매우 어렵거나 입수 불가인걸 생각하면...[20] 스킬의 선택폭이 넓은 완숙이와 달리 현재는 거의 분노의 일격만 쓰인다.[21] 기본적으로는 최대 4스택, 테라나 스킬 횟수 증가 권능으로 늘릴수 있다.[22] 환각효과, 푸르푸르, 포메쿨, 크로우 드래곤 처럼 딜러의 바피드의 각인을 무시한다. 즉 딜러를 상대로도 강한 모습을 보일수 있는 것.[23] 다만 푸르푸르의 각성스킬처럼 자해가 중첩된다. 발록이 2연속 공격하고 상대가 2연속 회피했다면 상대는 자해를 한번밖에 하지 않지만 2회로 취급된 것.[24] 카운터가 아예 없었다고는 못해도 완벽한 카운터가 있는 다른 드래곤들에 비해 카운터를 상대로도 비벼볼수 있었고, 다른 세팅의 발록으로 역 카운터 칠수도 있었다.[25] 그 아래 헤네스나 커스 리퍼 같은 막강한 드래곤들 역시 있었지만 이들은 올라운더 보다는 특정 조합을 저격하는 드래곤들이었다.[26] 전용장비 제한이 3회에서 2회로 줄었다. 보통 한번 공격할 때 2회만 때리는 것과 자해가 중첩되는걸 감안하면 꽤 큰 너프.[27] 1vs1에서 쓸만한 드래곤들 중 샤마쉬, 다크닉스Ⅱ, 고대신룡Ⅱ, 완숙이, 디기, 콜테일, 불나래 등은 이벤트에서 얻지 못했다면 얻을수 없고, 아자크는 오라드래곤 250마리 모으기가 쉬운게 아니고, 헤네스, 포메쿨, 슬로스는 전략전이나 순위쟁탈전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하거나 돈을 들이부어야 하며 있더라도 3vs3에서 더 많이 쓰이고, 커스 리퍼는 얻기는 어렵지 않으나 육성 난이도가 높다. 이 외에는 대부분 쓸만한 즐겜용 정도인지라 설자리가 많지 않다. 그에 반해 발록은 유저들의 실력이 크게 올라간 현재는 어지간한 길드에 가입해 토벌전만 열심히 해도 금방 얻을수 있다.[28] 그러나 이들을 저격하는데는 분노의 일격보다 시한폭탄을 든 형태가 더 낫고 이들 역시 모래시계를 들수 있어 역으로 패할 가능성 역시 높다.[29] 발 모양을 보면 카이저 발록이 아닌 드래곤 발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