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990033> | 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소속 여자 국가대표팀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 #555" | | | | |
| 가이아나 | 과들루프 | 과테말라 | 그레나다 | |
| | | | | |
| 니카라과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마르티니크 | |
| | | | | |
| 멕시코 | 몬트세랫 | 미국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
| | | | | |
| 바베이도스 | 바하마 | 버뮤다 | 벨리즈 | |
| | | | | |
| 보네르 | 생마르탱 | 세인트루시아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
| | | | | |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수리남 | 신트마르턴 | 아루바 | |
| | | | | |
| 아이티 | 앤티가 바부다 | 앵귈라 | 엘살바도르 | |
| | | | | |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온두라스 | 자메이카 | 캐나다 | |
| | | | | |
| 케이맨 제도 | 코스타리카 | 쿠바 | 퀴라소 | |
| | | | | |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푸에르토리코 | |
| | ||||
| 프랑스령 기아나 | ||||
| |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 |||
| | |
| 캐나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
| Canada women's national soccer team | |
| <colbgcolor=#e61e19><colcolor=white> 정식 명칭 | Canada women's national soccer team[1] Équipe du Canada féminine de soccer[2] |
| FIFA 코드 | CAN |
| 협회 | 캐나다 축구 협회 (Canada Soccer) |
| 연맹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CONCACAF) |
| 지역 연맹 | 북아메리카 축구 연맹 (NAFU) |
| 감독 | |
| 주장 | [[주장#s-1| C ]] 제시 플레밍 (Jessie Fleming) |
| 최다 출전자 | 크리스틴 싱클레어 (Christine Sinclair) 331경기 출전 |
| 최다 득점자 | 크리스틴 싱클레어 (Christine Sinclair) 190골 |
| 첫 국제 경기 출전 | VS 미국 (0:2 패), 미국 블레인 (1986년 7월 7일) |
| 최다 점수 차 승리 | VS 푸에르토리코 (21:0 승), 캐나다 이토비코 (1998년 8월 28일) |
| 최다 점수 차 패배 | VS 미국 (1:9 패), 미국 댈러스 (1995년 5월 19일) VS 미국 (1:9 패), 호주 시드니 (2000년 6월 2일) VS 노르웨이 (1:9 패), 노르웨이 회네포스 (2001년 6월 19일) |
| 월드컵 | 출전 8회, 4위 1회 (2003) |
| W 챔피언십 | 출전 10회, |
| 올림픽 | 출전 5회, |
| FIFA 랭킹 | 9위 (2025년 8월 7일 기준 / #) |
| 유니폼 색상 | 홈 | 원정 |
| 상의 | ||
| 하의 | 10 | 10 |
| 양말 |
1. 개요
캐나다를 대표하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북중미 여자 대표팀 중 미국 다음으로 기량이 좋은 팀으로 꼽힌다.2. 역대 성적
2.1. FIFA 여자 월드컵
- 역대 월드컵 전적 순위: 9위
- 출전 횟수: 8회(1995년 첫 출전)
- 최고 성적: 4위(2003년)
|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지역 예선 탈락 | ||||||||
| | 조별리그 | 10위 | 1 | 3 | 0 | 1 | 2 | 5 | 13 |
| | 조별리그 | 12위 | 1 | 3 | 0 | 1 | 2 | 3 | 12 |
| | 4강 | 4위 | 9 | 6 | 3 | 0 | 3 | 10 | 10 |
| | 조별리그 | 9위 | 4 | 3 | 1 | 1 | 1 | 7 | 4 |
| | 조별리그 | 16위 | 0 | 3 | 0 | 0 | 3 | 1 | 7 |
| | 8강 | 6위 | 8 | 5 | 2 | 2 | 1 | 4 | 3 |
| | 16강 | 11위 | 6 | 4 | 2 | 0 | 2 | 4 | 3 |
| | 조별리그 | 21위 | 4 | 3 | 1 | 1 | 1 | 2 | 5 |
| | 미정 | ||||||||
| 합계 | 본선진출 8회 / 4위 1회 | 33 | 30 | 9 | 6 | 15 | 36 | 57 | |
2.2. 올림픽
|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지역 예선 탈락 | ||||||||
| | |||||||||
| | |||||||||
| | 8강 | 8위 | 4 | 4 | 1 | 1 | 2 | 5 | 6 |
| | <rowcolor=#fff> 동메달 | 3위 | 10 | 6 | 3 | 1 | 2 | 12 | 8 |
| | <rowcolor=#fff> 동메달 | 3위 | 15 | 6 | 5 | 0 | 1 | 10 | 5 |
| | 금메달 | 1위 | 10 | 6 | 2 | 4 | 0 | 6 | 4 |
| | 8강 | 7위 | 4[4] | 6 | 3 | 1 | 0 | 5 | 2 |
| 합계 | 본선진출 5회 / 금메달 1회 | 43 | 28 | 14 | 7 | 5 | 38 | 25 | |
2.3. CONCACAF W 챔피언십
|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준우승 | 2위 | 8 | 5 | 4 | 0 | 1 | 23 | 5 |
| | <rowcolor=#fff> 3위 | 3 | 3 | 1 | 1 | 1 | 4 | 1 | |
| | 준우승 | 2위 | 9 | 4 | 3 | 0 | 1 | 18 | 6 |
| | 우승 | 1위 | 15 | 5 | 5 | 0 | 0 | 42 | 0 |
| | 4위 | 6 | 5 | 2 | 0 | 3 | 20 | 12 | |
| | 준우승 | 2위 | 12 | 5 | 4 | 0 | 1 | 26 | 3 |
| | 준우승 | 2위 | 3 | 2 | 1 | 0 | 1 | 5 | 2 |
| | 우승 | 1위 | 15 | 5 | 5 | 0 | 0 | 17 | 0 |
| | 불참[5] | ||||||||
| | 준우승 | 2위 | 12 | 5 | 4 | 0 | 1 | 24 | 3 |
| | 준우승 | 2위 | 12 | 5 | 4 | 0 | 1 | 12 | 1 |
| 합계 | 본선진출 10회 / 우승 2회 | 95 | 44 | 33 | 1 | 10 | 191 | 33 | |
3. 통계
3.1. 최다 출전자
3.2. 최다 득점자
| 순위 | 선수명 | 득점 수 | 출장 수 | 평균 득점 | 경력 |
| 1 | 크리스틴 싱클레어 | 190 | 326 |
4. 관련 문서
[1] 영어: 캐나다 위민스 내셔널 사커 팀[2] 프랑스어[3] 2020년 11월부터 부임, 2024년 7월 26일에 2024 파리 올림픽 뉴질랜드 팀 드론 염탐 사건이 일어났고 파리 올림픽 이전에도 드론을 사용한 것이 확인되어 외부 독립 기관의 조사가 끝날 때까지 캐나다 축구협회에서 직무 정지 징계를 받았고 FIFA로부터는 1년 자격 정지 징계를 받아서 감독 활동이 불가능하다. # 2024 파리 올림픽에서는 코치 앤디 스펜스가 감독 대행을 맡고 있다.[4] 드론 염탐 사건에 따른 승점 6점이 삭감되는 징계를 받았다. 사건이 없었을 경우 8강에서 대회를 마친 3개국보다 훨씬 높은 총합 10점으로 8강 5위에 기록되었을 것이다.[5] 2015 FIFA 월드컵의 개최 자격으로 인하여 대륙컵에 불참했다.
분류
- 캐나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캐나다의 여자 축구
- 캐나다의 여자 스포츠 국가대표팀
- 북아메리카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나라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1995 FIFA 여자 월드컵 스웨덴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1999 FIFA 여자 월드컵 미국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2003 FIFA 여자 월드컵 미국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2007 FIFA 여자 월드컵 중국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2011 FIFA 여자 월드컵 독일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2015 FIFA 여자 월드컵 캐나다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2019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