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ffffff> {{{+1 스라소니속 (Lynx)}}} | ||||
스라소니 | 캐나다스라소니 | 붉은스라소니 | 이베리아스라소니 |
캐나다스라소니 加拿大獌 | Canadian Lynx | |
학명 | Lynx canadensis (Linnaeus, 1758) |
<colbgcolor=#fc6>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 포유강(Mammalia) |
목 | 식육목(Carnivora) |
과 | 고양이과(Felidae) |
속 | 스라소니속(Lynx) |
종 | 캐나다스라소니(L. canadensis) |
아종 | |
현재 학계에서 대체적으로 단일아종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아종으로 분류하려면 3가지 아종이 현존한다고 여겨진다. 아종에 대한 이야기는 아직 논쟁이 많다.
| |
멸종위기등급 | |
[clearfix]
1. 개요
스라소니의 일종.2. 특징
몸길이 73~107cm, 어깨 높이 48~56cm, 수컷 체중 6~17kg, 암컷 체중 5~12kg이다.[1] 가까운 친척인 스라소니에 비하면 작은 편이다.이런 작은 몸집에 비해 발이 매우 큰데, 이는 눈이 많은 지역에서 주로 서식하기 때문에 체중을 분산시켜 가볍게 움직일 수 있도록 진화한 것이다.
울음소리가 사람 비명소리에 가깝게 들리기도 한다.
3. 생태
아한대 기후에 의존하기 때문에 비교적 북방 지역에서만 발견되며, 캐나다의 대부분 지역에서 서식하나 중부의 초원과 온타리오 남부에서는 분포하지 않는다. 미국에서는 주로 알래스카에 서식하며, 그 외에는 서부의 로키산맥을 따라서 콜로라도까지[2], 동쪽에서는 미네소타 북부와 뉴잉글랜드에서 서식한다. 과거에는 유타 주 일부, 아이다호 주, 옐로스톤 국립공원 지역에서도 서식했으나 인간에 의해 절멸되었다.숲에 의존하나 숲이 군데군데 개방되어 관목이 무성한 장소에서 대부분 살아간다.
야행성이라서 주로 밤에 활동한다.
3.1. 극도로 특화된 포식자
토끼의 수가 줄어드는 시기에는 오리, 뇌조, 두더지, 뇌조, 아메리카붉은다람쥐, 붉은여우, 들쥐, 새끼 우제류[4]를 사냥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가끔 다육식물, 사초 등을 뜯어먹는 것이 관찰되었다.
3.2. 천적 및 경쟁 관계
천적으로는 퓨마와 회색곰, 늑대가 있다. 그 외에도 코요테, 붉은스라소니와도 경쟁 관계이다. 울버린은 경쟁자이자 동시에 천적이다.피셔와는 서로를 죽일 수 있는 경쟁자이나 캐나다스라소니가 시기상 조금 더 밀리며,[5] 사냥당하는 경우도 의외로 흔하다.[6]
4. 기타
- 고등학교 생명과학1의 포식과 피식 단원에서 예시로 자주 나오는 동물이다. 눈덧신토끼, 캐나다스라소니와 울버린의 주기적 변동성 그래프(Periodic fluctuations of rabbit, lynx, and wolverine in Canada)인데,[7], 눈덧신토끼의 개체수가 변함에 따라 포식자의 수가 어떻게 변하고, 그에 따라 눈덧신토끼의 수는 또 어떻게 변하는지 잘 보여준다. 예시로 나올 때는 원본 그래프를 간략화하여 울버린이 빠지고 포식자 캐나다스라소니의 그래프와 피식자 눈덧신토끼의 그래프를 겹쳐 놓는다. 그러나 불행히도 교과서에는 이 그래프가 아예 다른 종인 스라소니에 관한 정보라고 잘못 나오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캐나다스라소니와 스라소니가 같은 종이거나, 스라소니가 눈덧신토끼를 주식으로 하고 개체수가 주기적으로 변동한다고 잘못 알게 되어버렸다.[8]
- 씽2게더의 누시가 캐나다스라소니이다.
스라소니속 동물들이 사납기로 유명하고 캐나다스라소니 역시 마찬가지다. 그러나 이 개체의 경우는 다르다. 이 영상에서 등장하는 Max라는 캐나다스라소니는 처음부터 동물원에서 태어나 사람 손에서 길러져[9] 사실상 덩치만 큰 집고양이처럼 행동한다. 하지만 야생성은 아직 남아있다고 한다.
[1] 가장 큰 개체는 펜실베이니아에서 기록된 20kg짜리 수컷이다.[2] 고지대에서는 저온이 유지되므로 비교적 남쪽에서도 아한대 기후가 성립된다.[3] 이베리아스라소니 역시 굴토끼를 주식으로 하지만 캐나다스라소니는 그보다도 더 심하게 눈덧신토끼에 의존한다.[4] 큰뿔양, 노새사슴, 순록 등.[5] 캐나다 스라소니가 피셔에게 당하는 경우는 눈보라가 몰아치는 겨울인데, 이 시기에는 눈토끼의 개체수가 줄어들어 캐나다 스라소니 및 피셔의 먹이가 줄어드는 시기다. 이 타이밍을 노려 비교적 약해진 나무밑에서 쉬고있는 캐나다 스라소니를 급습해 사냥하는 케이스이며, 눈보라가 없는 시기에는 오히려 역으로 피셔가 사냥당한다. 그러나 사례가 더 적은 이유는 피셔가 캐나다스라소니보다 나무를 잘 타는 등 훨씬 날쌤과 더불어 먹이가 풍족해지는 시기기 때문에 굳이 위험을 감수하면서 노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6] 반면 붉은스라소니는 피셔에게 사냥당하기보다는 역으로 사냥할 때가 더 많다.[7] 캐나다의 생물학자 찰스 고든 휴이트가 캐나다의 야생 생태계를 연구하면서 기록한 그래프로, 1917년에 출판된 "The conservation of the wild life of Canada" 217 페이지에 기록되어 있다.[8] 스라소니는 캐나다스라소니의 두 배 이상으로 크며, 따라서 노루와 같은 상대적으로 큰 먹이를 주식으로 한다. 게다가 스라소니는 북아메리카에서는 살지 않기 때문에 눈덧신토끼를 만날 기회도 없다.[9] 어릴 때 질병에 걸려 어미와 자매들부터 격리사육되었다고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