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웹툰 나이트런에 등장하는 이동요새.과거 대전쟁 시절 만들어진 성간 항행요새. 본래 2기가 제작되어 베이스 기지와 함께 운용되었으나, 대전쟁을 거치며 1기만 살아남았다.
1.1. 코어템플
| |
웹툰 버전 | 단행본 버전 |
아린 행성에 위치해있으며, 중앙기사단의 총본부이기도 하다.
그 보안성과 방어력은 인류 최후의 거점이라 불릴 정도로, 대행성 폭탄으로 행성 하나가 소멸된다 해도 코어템플만큼은 멀쩡하다고 한다.[1]
그러나...
2. 등장
2.1. 기도전쟁
|
외부 방어는 완벽했으나, 내부 침식에는 허점이 있었던 것. E-34는 6달에 걸쳐 괴수의 생체언어 체계를 기계어로 번역해 내부 시스템을 잠식했으며,[2] 시스템을 장악한 뒤에는 둥지화까지 1주일 밖에 걸리지 않았다.
덕분에 인류 최후의 거점은 괴수 침공의 심장부로 반전해 인류를 옥죄게 된다. 그리고 결국...
|
"행성따윈 이미 필요없어"
▶ E-34
결국 중앙기사단을 침식한 E-34가 아발론을 부활시켜 버린다.▶ E-34
파손된 부분을 괴수의 생체 기술[3]로 보완해 복구에 성공한 것으로, 후일 밝혀지기를 단순한 복구를 넘어 개량을 통해 대전쟁 당시에도 미완성이였던 아발론을 완성시킨 것이라고 한다.
이 요새의 에너지와 기능 덕에 E-34는 싱글넘버 상위괴수를 수 천 단위로, 푸른꽃을 수 십 단위로 양산할 수 있게 되었다.
만약 수십기의 푸른꽃과 함께 우주로 진출했으면 인류멸망은 확정인 상황이였으나, 다행히도 앤 마이어의 활약으로 E-34가 다운됨으로서 컨트롤을 잃고 지상에 불시착한다.
2.2. 나이트폴
|
결국 마스터키를 가진 칸 일행이 시스템을 잠그기 위해 접근하자, AL에서는 결단을 내리고 '붉은 사과' 작전을 실시한다. 신형 광자탄으로 아린 행성의 전 표면을 날려버림으로서 잔존 괴수와 그들의 요새를 소각하고, 당시 아린에 있던 북부측 병사와 기사들도 전부 몰살해버린 것. 그 과정에서 칸 역시 사망한다.[4]
|
그리고 전쟁 중반, 마침내 엔진의 재가동에 성공한 북부는 에덴과 양자링크를 통해[5] 데미안 행성으로의 워프를 실시한다. 이를 막기위해 동원된 함대는 그래비티건 한방으로 소멸했고, 몰려든 소형기들도 늑대무리의 노심기들로 정리. 그러나 파올로와 황녀의 협조로 레오와 릭이 승선해버리고 만다.
| |
그러나 다행히도 레오와 릭의 분전으로 늑대무리가 전멸하면서 컨트롤을 되찾고, 아발론을 사막으로 워프시킴으로서 AL은 위기를 모면한다.
|
아발론의 이식으로 완성된 에덴 |
3. 스펙
|
수 억의 괴수와 싸우던 이동요새
별을 가르는 인류 최고의 로스트 테크놀로지
현재까지 공개된 스펙은 인류와 괴수를 가리지 않는 최강요새로서, 푸른꽃도 한 수 접어줄 정도이다.별을 가르는 인류 최고의 로스트 테크놀로지
3.1. 동력원
| |
| |
아발론에 탑재된 노바급 블랙홀 엔진 |
에덴과 더불어 인류 최대의 동력원.[6] 여기서 발생하는 막대한 에너지를 두고, E-34는 코어템플을 둥지로 삼은 시점부터 이미 전쟁은 끝났을 것이라 단언할 정도. 실제로 E-34는 이 에너지로 푸른꽃 수 십기를 양산하는데 성공했다. 푸른꽃 하나에 축퇴로가 7개씩 달린 것을 감안하면 축퇴로를 백 넘게 양산한 셈.
| |
노바 엔진의 가동 여파 |
3.2. 방어력
| |
실드뿐만 아니라 소재 자체도 로스트 테크놀로지라 굉장히 견고하다고 하며, 레오는 아발론 내부를 뚫고 지나가기 위해서 파동기를 아낌없이 쏟아부어야 했다.
3.3. 화력
| | |
| | |
그래비티 건 |
3.4. 워프
|
4. 여담
| |
제1 제어실 | 제2 제어실 |
- 로스트 테크놀로지의 산물답게 시스템이 거의 자동화 되어있다. 늑대무리는 고작 80명만으로도 문제없이 운행했으며, 레오도 컨트롤을 되찾았을 때 그냥 음성인식만으로 조종했다.
파일:나이트런 - 코어 템플 - 하단부.png | 파일:나이트런 - 코어 템플 - 입구 2.png |
코어템플의 하단부 | 코어템플의 입구 |
- 등장 초기에는 주변 건물들 때문에 그렇게 커보이지 않았으나, 입구가 나오고 얼마안가 아발론으로 부활하면서 150~300Km인 푸른꽃 못지 않게 거대하다는게 공개되었다.
| |
아발론의 워프 낙하 장면 |
- 레오가 컨트롤을 되찾고 아발론을 워프시킬 때, 왜 굳이 지상으로 낙하시켰는지 설명이 없어서 비판거리가 되기도 한다. 어차피 워프를 시킬 거라면 우주로 하는게 피해가 적기 때문. 단순히 무력화시키려 한 것일 수도 있지만 이미 컨트롤을 빼앗을 만한 북부잔당은 모두 쓰러트린 후였다. 저 무식한 거체를 지상에 내리꽂는다면 대규모 지진은 당연하며, 실제로 작중에서도 코어템플의 '낙하' 피해가 언급된다.
- 문 오프닝 135화에 따르면 애초에 아발론은 완성되지 못했던 요새였으며 E-34의 생체부품을 통해 부활한 모습이야말로 어떤 의미로 아발론이 정말로 완성된 형태였다. 그 목적은 단순히 괴수와 싸우는데 있는게 아니라 단기로 은하 전부를 평정하고 그 이후엔 아예 외부 은하까지도 이동할 수 있는걸 목적으로 하는 초 은하/은하단 플랫폼. 그리고 그 아발론을 소형/기동병기화 시킨 궁극전함이 바로 테라 브레이커다.
[1] 처음에는 이게 대단한듯이 서술되었으나, 나이트폴에서 괴수들의 요새와 플랜트도 직격되지 않으면 마찬가지라는 것이 드러나 빛이 바랬다.[2] 이는 프레이의 견습 기사인 스카가 6개월 동안 정보를 조작해 프레이의 행적을 지우고 임무에서 빼내어 주었기 때문에 가능했다.[3] 대전쟁 당시, 괴수가 인간에게서 빼앗았지만 정작 인간들은 멸망하여 로스트 테크놀로지가 돼버린 기술들이다.[4] 이와 동시에 다이크 상임위원의 독단으로 북부기사단 임시대표인 리아 자일 체류 행성또한 침공해버린다.[5] 원래 도킹을 위해 한 세트로 만들어졌기에 한쪽이 강제적으로 링크하는게 가능했다.[6] AL이 최강의 축퇴로라는 B-3를 보유한 AE를 흡수하고서도, 문공략을 위해 노바 엔진을 원한걸 보면 실질적인 최강 엔진은 노바 엔진이라고 볼 수 있다.[7] 복원했다는 언급을 보면 원래 파손되어 있던걸 중앙기사단이 복원한 모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