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1 17:17:33

쿠키런: 오븐브레이크/트로피 경기/마스터 랜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쿠키런: 오븐브레이크
파일:CookieRun_OvenBreak Logo 2019 Korean.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min-height: calc(4em / 3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bgcolor=#fff,#222><colbgcolor=#ed9,#540><colcolor=#000000,#fff> 게임 요소 보너스타임 · 쿠키(목록 · 미출시 쿠키 전망 · 이달 조건 · 개선방안) · 마법사탕 · 호감도
스킨 · · 보물 · 퀘스트 · 마법공방
젤리 스킨 · 길드 · 칭호 · 배틀 패스 · 태그 · 수호카드
콘텐츠 스토리모드 · 쿠키의 도전(도전 목록) · 트로피 경기(마스터 랜드(마스터랜드 역대 맵))
챔피언스 리그(그랜드 챔피언스 리그 · 그랑프리 파이널)
떼탈출 · 길드전 · 레이드런 · 기억의 섬 · 테크닉 라이센스
종료 / 한정 쿠키 퀘스트 · 1:1 대전 · 쿠키응원단 · 보물의 도전 · 기간한정 콘텐츠
사건사고 버그 및 오류 · 무한런 · 논란 · 커뮤니티 관련
시즌6 업데이트 논란(전개 · 라일락맛 쿠키 디자인 변경 논란) · UI 개편의 불편성 · 6주년 업데이트 논란 · 시즌9 업데이트 논란
기타 평가 · 공략 · 역사 · 기록
단편 애니메이션 · 공식 카페 ·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올해의 쿠키 (2019년 · 2020년 · 2022년 · 2023년) · 도서
}}}}}}}}} ||


1. 개요2. 챔피언스 리그 통합전3. 쿠키런: 오븐브레이크/챔피언스 리그 통합 시기 (10,000+)
3.1. 마스터 랜드와의 통합 이후
3.1.1. 흑마늘맛 시즌부터 적용된 사항
3.2. 챔피언스 대결투3.3. 챔피언스리그와의 통합 이후 문제점
4. 마스터랜드 역대맵

1. 개요

2020년 8월 28일 오싹오싹 거미저택 업데이트와 함께 새롭게 출시된 랜드이다. 이전까지와는 다르게 맵이 여러개로 구성되어 경기 매칭이 완료 되면 랜덤으로 3개의 맵 중 하나가 선택된다.

서부개척지대를 연상케 하는 황무지가 배경으로, 랜드 9에서 기차를 타고 이곳으로 도착했다는 연결성이 보이며 여기에 나오는 기차는 은하철도 999를 연상케 하는 고풍스럽고 묵직한 증기 기관차이다.[1]

그리고 길드전처럼 시즌제가 있으며 티어가 있어 등급에 따라 매칭이 달라지고 시즌제 보상이 있다.

옥춘맛 쿠키 업데이트 이후 포기하기 기능이 추가되었다.크리스탈 100개를 지불하고 그 경기에서 꼴지를 하는대신 그판을 바로 종료하고 다음게임을 할수있는 시스템이다. 포기하기를 할때마다 크리스탈양이 비례로 증가하는데 이는 패작을 막기위해서 실행하는 기능인걸로 추정된다.

2. 챔피언스 리그 통합전

처음에는 매칭된 유저 각각이 원하는 맵을 선택하는 방식이었다. 이후 2021년 10월 경 챔피언스 리그와 통합되었으나, 2023년 5월 30일자로 마스터 랜드와 챔피언스 리그가 다시 분리되면서 마스터 랜드로 돌아왔다. 통합된 시절의 마스터 랜드는 아래에 서술한다.

3. 쿠키런: 오븐브레이크/챔피언스 리그 통합 시기 (10,000+)

파일:kmc_20211021_171920-removebg-preview.png

2021년 9월 29일자로 마스터랜드가 챔피언스 리그와 통합되면서 사라졌다. 그러나 마스터랜드와 합쳐지면서 있었던 티어제가 챔피언스리그로 넘어갔다.

2021년 9월 29일 마스터 랜드와 챔피언스 리그 통합 후의 챔피언스 리그에 대한 내용을 서술한다.

2021년 9월 29일 공식적으로 마스터 랜드와 챔피언스 리그의 통합이 결정되었다. 이전 챔피언스 리그가 사라지고 마스터 랜드가 이름만 바뀐 것으로 생각해도 무방하다.

새로운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기존 마스터 랜드의 전통을 이어받아 마스터 랜드와의 공통점이나 비슷한 점이 많다.

그러나 몇 가지 큰 차이점이 존재하는데, 그 중 하나는 바로 마스터 랜드처럼 맵 선택을 자유롭게 할 수 없어졌다는 것이다. 그래서 예전에는 실수로 play 버튼을 눌러도 맵 선택창에 들어가져서 편리했지만 지금은 바로 시작이 되어버린다.[2]

티어의 종류도 굉장히 많이 늘어났다.[3]마스터, 챌린저, 레전드 트로피를 신규로 넣어두어 신규 유저들이 전보다 트로피 올리기가 어려워졌다.

그리고 이제는 티어에 따라 맵 난이도가 생겼다. 기존처럼 같은 맵 반복의 지루함 때문인지 티어가 올라갈수록 별 개수(난이도)가 올라간다. 난이도에 따라 변하는 요소는 맵 패턴 변화, 게임 자체 속도 증가[4], 암전[5]이 있다.

승급전 또한 새로 추가된 시스템인데 기존 티어에서 다음 티어까지 가는데 거치는 구간이다. 이 구간해서는 미션을 달성하지 못하면 트로피 수가 상승하거나 하락하지 않는다. [6] 승급 이후에도 계속 패배해서 티어가 강등되어도, 한번 도달한 티어는 다시 트로피를 채워서 승급전 없이 티어 복구가 가능하다.

3.1. 마스터 랜드와의 통합 이후

파일:(신)챔피언스 리그.png
위 사진은 마스터랜드와 통합된 후의 챔피언스리그이다. 2021년 9월 29일 패치로 마랜과의 통합이 결정되었다. 기존의 마스터랜드 모드를 투입하고 이름만 바꾼 것만으로 해도 무방하다.

이제는 기존의 시스템에서 각 경기마다 3개의 맵 중 1개의 맵이 랜덤으로 선택되어서 달리는 형식으로 변경되었다.

등급이 오를수록 플레이하는 맵들의 맵 난이도 증가, 게임 속도 증가[7], 방해요소 추가 등 플레이 난이도가 점점 올라간다.
최고 난이도에 도달하면 게임 도중 방해요소가 발생하게 된다. 방해요소가 등장하는 타이밍은 랜덤이지만, 같은 경기에서는 모두 똑같은 타이밍에 등장한다. 다음은 방해요소 목록이다.

안 그래도 기본 배속에다가 만만치 않은 맵 난이도에 위 방해요소들이 더해지면 어지간한 고수가 아니면 속수무책으로 당하기 일쑤이며, 이 방해요소들이 발동하는 타이밍은 매칭때마다 달라지기 때문에 어쩌다가 매우 어려운 난이도의 구간이나 일부 운빨요소가 있는 패턴에서 걸리면 레전드 등급까지 올라간 상위 티어 유저들도 뒷목을 잡을 정도로 헬게이트가 열린다.
다만, 이 방해요소가 발동하는 타이밍은 구멍 구출이어달리기 대기 시간에도 영향을 받는다. 도저히 못하겠는 구간에 방해요소가 걸쳤다 싶으면 구멍 구출을 하거나 이어달리기를 시작하기 전에 약간 기다려서 시간을 미루는 식으로 타이밍을 조금이나마 바꿀 수 있다. [8]

브론즈 ~ 무지개 등급까지는 각 등급의 1등급에서 다음 등급으로 올라갈수 있는 트로피에 도달하면 (커트라인 - 1)까지 트로피가 차감되고 승급전에 돌입한다. 승급전에서 특정 등수 이상을 달성하는 승급 미션을 성공해야 다음 등급으로 올라갈 수 있으며, 도전 기회는 3번이다. 도전에 성공하면 획득할 트로피를 획득하고 다음 등급으로 승급하고, 도전에 실패하면 트로피 수가 변화하지 않는다. 3번의 기회 안에 도전에 성공하지 못하면 정해진 개수만큼의 트로피를 잃게 된다. 이번 시즌에서 이미 성공한 승급전은 등급이 강등된다면 다시 진행하지 않고 즉시 승급할 수 있게 된다.

마스터2 ~ 레전드 등급까지는 트로피 11500개 이상의 유저들 중의 트로피 순위에 따라 순위가 결정된다. 매일 자정 기준의 순위에 따라 등급이 상승/하락하며, 현재의 등급컷 기준은 정산 보상에서 등급 별 엠블렘을 눌러 확인할 수 있다.
단, 트로피가 11500개 이하로 감소하는 즉시 무지개1 등급으로 강등되며, 이후 트로피 11500개를 넘기면 다시 마스터3 등급에 진입하고, 다음 날 자정에 등급이 다시 변동된다. 자정 이전에 경기 플레이를 완료해도 자정 이후에 경기가 종료된 경우, 해당 사항은 그 다음 날 자정에 적용된다.

마스터 랜드와 동일하게 최고 조합 랭킹표가 있으며 이전 마스터랜드와 동일하게 최고 조합 랭킹표에 등록되면 '마스터랜드 마스터'와 같은 칭호인 '챔피언스 마스터'라는 칭호를 얻을 수 있다.

판마다 간헐적으로 룰렛이 돌아가 다음 추가 효과 중 하나가 랜덤하게 선택되어 적용된다.
2022년 8월 18일, CM로즈의 생방송에 대신 등장한 배형욱 PD가 현재의 마스터 랜드와 챔피언스 리그를 통합한 이유를 밝혔는데, 구챔스 때는 보상을 위해 기록 달성 이후 접속하지 않는 유저들로 인해 유저들 수가 감소했기 때문에 해당 개편을 강행했다고 한다.

3.1.1. 흑마늘맛 시즌부터 적용된 사항

흑마늘맛 시즌이 시작됨과 함께 챔피언스 리그에 큰 변화가 생겼다. 변경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챔피언스 리그: 레전드 #===
챌린저 1 등급에서 승급전에 성공하여 레전드 등급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챔피언스 리그: 레전드 경기에 매칭된다. 일반적인 경기와는 달리 대규모의 레전드 유저들이 2일의 기간, 그리고 10번의 도전 기회[11]에서 얻은 최고 점수로 겨루는 방식이다. 도전 기회를 사용하여 획득한 점수에 따라 골드 티켓을 획득하며[12], 기간이 끝나면 기록을 정산하여 트로피 및 포인트를 얻게 된 후 다음 챔피언스 리그: 레전드 경기를 매칭한다. 1000등 이내에 들지 못하면 트로피를 잃게 되며[13], 커트라인인 9000만점을 넘기지 못하면 포인트도 얻지 못한다. 상위권급 정도, 탈출렙이 70후반대 이상의 높은 점수를 내지 못하면 이틀마다 챌린저와 레전드를 오가는(...) 신세가 될 것이다. 특히 리치 드래곤 쿠키 출시 이후로는 초기 시즌보다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점수컷이 상당히 빡세졌다. 마침 도전할 기회를 여러 번 주기 때문에 실수하기 쉽고 한 번 실수하면 점수가 폭락하는 고난이도 빌드를 쓰기 더 쉽다. 물론 객관적으로 쉽다는 말은 절대 아니다.

챔피언스 리그: 레전드에서는 기존의 챔피언스 리그 포인트와 별도로 레전드 포인트도 얻을 수 있으며, 레전드 포인트로 구매할 수 있는 특별한 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레전드 포인트는 기존의 리그 포인트와는 달리 전량이 다음 시즌으로 이월된다.

흑마늘맛 쿠키 시즌과 함께 챔피언스 리그: 레전드 시스템이 삭제되고 레전드 등급도 실시간 경기를 진행하며 실시간 경기에서 레전드 포인트도 얻을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3.2. 챔피언스 대결투

2주에 한 번[14] 챔피언스 리그 마스터 등급 이상인 유저들이 8명씩 조를 짜서 정해진 기간 동안 최고 점수를 경쟁하는 모드다. 대결투가 열릴 때마다 쿠키, 보물 5종이 무작위로 정해진다. 맵은 챔피언스 리그에서 새로운 맵으로 교체될 맵이 선정된다.

3.3. 챔피언스리그와의 통합 이후 문제점

통합된 챔피언스 리그는 사실상 마스터랜드를 이름만 바꾸고 기존의 챔스를 삭제한 것이나 다름없다. 다채로운 쿠키가 사용될 수 있었던 통합이전의 챔스와 달리 이쪽은 경기와 다름없기 때문에 최신 레전더리와 신규 에픽만 쓰이고 나머지 쿠키들은 거의 사용되지 않아 쿠키를 분산해서 키울 수 밖에 없는 무과금~소과금 유저들이 대부분 손해를 봤다.

챔피언스 리그 경기는 1판당 6~7분이나 걸리는 쿠키런 모드 중에서는 오래 걸리는 축에 속하는 모드인 데다가 골드상자작 때문에 통합 플레이 시간도 매우 길 수밖에 없다. 그 만큼 시간이 없는 유저들이 잘 달리지 않는 모드이기도 하다.

2021년 10월 5일 데브시스터즈에서 챔피언스리그 승급전에 관련해서 살짝 조정을 하였다. 트로피가 낮은 유저들이 승급전에서 헤매다보니 승급전만 못 오르는 승급전 난민 문제가 매우 심각해지면서 높은 사람들과 매칭이 되는 문제가 생긴것이다. 전에는 모든 등급이 다 똑같이 경기에서 1등하기가 승급 미션이였지만 이제는 티어에 따라서 살짝 조정이 되었다. (예: 경기에서 3등 이내) 그리고 또 한가지의 변경점은 전에는 현재 등급 (예: 에메랄드3)에서 전 등급(골드1)로 떨어지면 또 다시 승급전을 돌려야 하는 문제점이 생겼는데 이제는 챌린저에서 레전드로 올라가는 승급전을 제외하곤 승급전 없이 바로 올라갈 수 있게 되었다.

이후 2023년 6월 업데이트에서 챔피언스 리그와 마스터 랜드가 다시 분리되었다.

2023년 5월 말, 다시 마스터 랜드 경기와 챔스가 분리되었다. 물론 그사이에 적용된 내용 (편의성 포함) 대부분이 마스터 랜드에도 적용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58
, 4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5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4. 마스터랜드 역대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쿠키런: 오븐브레이크/트로피 경기/마스터 랜드/역대 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여기서 나오는 증기기관차의 모델은 미카형 증기기관차에서 따온 듯 하다.[2] 그러나 마랜 시절과는 다르게 '경기가 시작되었습니다'라는 문구가 나올때 인원이 차는 것으로 나온다.[3] 브론즈, 실버, 골드, 에메랄드, 루비, 다이아, 무지개, 마스터, 챌린저, 레전드 순[4] 이동속도만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 빌드에 변화가 없다.[5] 매판마다 암전 주기가 달라서 운빨 요소가 존재한다.[6] 승급전에 도달하게 되면 가지고 있는 트로피에 불이 붙는다.[7] 핫핫 스파이시 터보엔진 등으로 쿠키의 기본 속도를 높이는 것과는 다르며, 게임 속도 자체가 배속이 되는 것과 같다.[8] 방해 효과 난이도의 경우 공간 왜곡 가위가 그나마 헤쳐나가기 쉬운 편으로, 어쨌든 앞쪽은 문제없이 보이는데다 쿠키와 잘려나간 공간 사이의 간격이 넓기 때문에 젤리길만 잘 따라가면 뚫을 수 있다. 하지만 인게임 화면을 통째로 잘라낸다는 파격적인 효과 때문에 폰 기종과 성능에 따라 렉이 심하게 발생하기 쉬운 방해 효과라서 장애물에 부딪히고 구멍에 빠져 추락하는 사고도 일어나 원성도 만만치 않게 듣고있다.[9] 1등을 제외한 유저는 리그 포인트를 획득할 수 없다.[10] 말 그대로 만렙이 아니거나 미보유인 쿠키, 펫, 보물도 만렙 상태로 임시 이용할 수 있다. 응원단 효과는 플레이어의 응원단을 사용. 시즌 개막 초기에 룰렛에서 이 항목이 유난히 많이 걸리는 오류가 생긴 탓에, 최고 조합 랭킹이 공개된 첫날에는 온갖 괴상한 조합들과 4억대의 저득점 조합들이 랭킹에 대거 진입되는 웃지못할 해프닝도 있었다.[11] 연습하기는 무한정 할 수 있지만, 연습으로 얻은 점수는 반영되지 않는다.[12] 받은 등급에 따라 보너스 골드 티켓을 얻으며, 챔피언스 리그에서 골드 티켓을 얻을 수 있는 커트라인인 9000만점 이하를 달성하면 얻지 못한다. 골드 티켓 2배 부스트가 적용된다.[13] 커트라인 1000등 기준은 여러 가지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14] 한 달에 한 번이였지만 지초맛 쿠키 시즌부터 2주마다 챔피언스 맵이 바뀌어서 기간이 2주로 줄어들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186
, 6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18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