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2 00:09:11

클라우디아 골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rowcolor=#cd9f51> 1969 1970 1971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랑나르 프리슈 얀 틴베르헌 폴 새뮤얼슨 사이먼 쿠즈네츠
<rowcolor=#cd9f51> 1972 1973 1974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존 힉스 케네스 애로우 바실리 레온티예프 군나르 뮈르달
<rowcolor=#cd9f51> 1974 1975 1976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미국 국기.svg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찰링 코프만스 레오니트 칸토로비치 밀턴 프리드먼
<rowcolor=#cd9f51> 1977 1978 1979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베르틸 올린 제임스 미드 허버트 사이먼 시어도어 슐츠
<rowcolor=#cd9f51> 1979 1980 1981 1982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1979–2002).svg.pn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아서 루이스 로런스 클라인 제임스 토빈 조지 스티글러
<rowcolor=#cd9f51> 1983 1984 1985 1986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제라르 드브뢰 리처드 스톤 프랑코 모딜리아니 제임스 뷰캐넌
<rowcolor=#cd9f51> 1987 1988 1989 199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로버트 솔로우 모리스 알레 트뤼그베 호벨모 해리 마코위츠
<rowcolor=#cd9f51> 1990 1991 1992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머턴 밀러 윌리엄 샤프 로널드 코즈 게리 베커
<rowcolor=#cd9f51> 1993 1994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로버트 포겔 더글러스 노스 존 하사니 존 내시
<rowcolor=#cd9f51> 1994 1995 1996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라인하르트 젤텐 로버트 루카스 주니어 제임스 멀리스 윌리엄 비크리
<rowcolor=#cd9f51> 1997 1998 199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로버트 머튼 마이런 숄즈 아마르티야 센 로버트 먼델
<rowcolor=#cd9f51> 200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제임스 헤크먼 대니얼 맥패든
}}}
}}}}}}}}}
[ 21세기 ]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3> 2001 || 2002 ||

}}}}}} ||
<colbgcolor=#000><colcolor=#fff> Claudia D. Goldin
파일:Claudia_Goldin_(cropped).jpg
본명 클로디아 데일 골딘
Claudia Dale Goldin
출생 1946년 5월 14일 ([age(1946-05-14)]세)
미국 뉴욕주 뉴욕시 브롱스
학력 브롱스 과학고등학교 (졸업)
코넬 대학교 (경제학 B.A.)
시카고 대학교 (산업 구조 조직 M.A.)
시카고 대학교 (산업 구조 조직 - 노동경제학 / Ph.D.)
현직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경력 위스콘신 대학교 강사
프린스턴 대학교 강사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강사

1. 개요2. 상세

1. 개요

미국의 노동경제학자이다.

2. 상세

여성의 노동이 갖는 경제 가치, 사회적 인정에 관한 주제를 중점적으로 연구했다. 쉽게 말해서 '똑같은 종류, 시간을 일해도 왜 여성은 남성보다 급여를 적게 받는가?'를 비롯한 문제를 다뤄온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연구주제로 <여성의 경력과 가정의 역사>, <경구피임약이 여성의 커리어와 결혼에 미친 영향> 등이 있다.#

이러한 연구 업적을 인정받아 2023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했다. 노벨경제학상 역사를 통틀어 3번째 여성 수상자이며, 특히 여성이 단독으로 수상한 첫 기록을 세웠다. 브롱스 과학고등학교 출신으로는 9번째 노벨상 수상자이다. 위원회는 골딘 교수가 수백년간의 데이터를 통해 소득과 고용률의 성별 차이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했으며 여성이 어떻게 과소 대표되는지 설명하는 데 기여했다고 밝혔다. 특히 임금차이를 탐욕스러운 일(Greedy job)로 설명했다. 탐욕스러운 일은 더 많은 시간을 일하며 그에 따라 더 많은 돈을 보상받는 일로 정의할 수 있다. 조사에 따르면 많은 직업에서 여성보다 남성이 탐욕스러운 일에서 근무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여성은 시간을 덜 요구하는 회사나 기관에서 일하며 노동유연성을 얻지만 적은 수입을 얻는 것을 지적했다.

한국의 저출산 문제에 대해서 “변화가 빠를수록 전통과 부딪칠 수밖에 없으며, 출산 휴가 및 육아휴직과 관련해 포용적인 정책을 시행하더라도 직장 문화가 여전히 정책을 따라가지 못하는 일본의 사례를 반면교사 삼아야 한다”고 조언하며 기성세대와 기업의 전통적인 가부장적 사회 인식의 변화가 필요함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