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3:56:38

태군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유튜버}}}에 대한 내용은 [[태군(유튜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태군(유튜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태군(유튜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유튜버: }}}[[태군(유튜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태군(유튜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태군(유튜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태군|TAEGOON]]
[ 음반 목록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fff><width=33.3%>
파일:태군 Call Me.jpg
||<width=33.3%>
파일:태군 Rising Star.jpg
||<width=33.3%>
파일:태군 미니 3집.jpg
||
The 1st Mini Albu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399ea; font-size: 0.9em; color: #fff"
Rising Star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399ea; font-size: 0.9em; color: #fff"
The 3rd Mini Albu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399ea; font-size: 0.9em; color: #fff"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0> 음반 ||

<colbgcolor=#9399ea><colcolor=#fff> 태군
Taegoon
파일:/pds/200903/19/40/b0065940_49c1f8944d01c.jpg
본명 김태군
출생 1986년 1월 17일 ([age(1986-01-17)]세)
충청남도 공주시
신체 184cm, 75kg
데뷔 2009년 미니앨범 'The 1st Mini Album'
가족 부모님[1]
학력 충남예술고등학교 (졸업)
한국예술종합학교 (현대무용과 / 중퇴)
링크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활동 내역3. 디스코그래피

1. 개요

로지엔터테인먼트의 남자 가수. 원래 WM엔터테인먼트에 소속되어 있었다. 본명은 김태군이며, 1986년 1월 17일 생이다. 출생지는 충청남도 공주시. 충남예술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한국예술종합학교 현대무용과를 중퇴했다.

2. 활동 내역

2009년 초에 첫번째 미니앨범인 call me로 데뷔했는데, 해당 곡 뮤직 비디오에 당시 동방신기였던 김재중이 나와서 화제였다.

한창 활동할 시기에 유행했던 MR제거로 타격이 컸던 가수 중 한 명이다. 태군은 '선택형 라이브'란 단어를 창조 및 파생시키며 많은 질타를 받았다.[2] 그나마 휘성에게 훈련받고 내놓은 곡인 슈퍼스타를 부를땐 좀 낫다.

슈퍼스타란 곡으로도 활동했었으며 휘성이 작사한 병맛넘치는 유치한 가사[3]와 질질끄는 특유의 멜로디로 일부층에서 컬트적인 인기를 조금 얻었다.

2009년 9월엔 '속았다'란 곡으로 컴백. "얜 맨날 컴백하냐?"며 까였다. 비슷한 시기에 각각 제2의 비(혹은 어셔) 컨셉으로 나온 청림과 송원근[4], 이기광[5], 등과 생김새나 퍼포먼스가 매우 비슷해서 동일 인물이 여러 개의 가명을 쓰는 걸로 착각을 불러일으켰다. 이러다보니 1년에 몇 번씩 컴백하는 착각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 이 노래의 경우 작곡가가 슈퍼창따이로 같은 2PM의 '니가 밉다'랑 멜로디가 완전 똑같아 자가복제라서 비웃음의 대상이 되고 있다. 뮤직비디오에는 이주연이 출연했고 노래 피쳐링은 이요원이 했다.

근황올림픽 유튜브 채널 커뮤니티에 "태군과 한잔 (투다리)"이라는 내용과 함께 근황으로 보이는 사진이 한 장 올라왔다.#

블로그와 유튜브를 오픈해 자신의 근황을 알렸다.#

2021년 12월 27일 근황올림픽에서 섭외에 실패한 인물들을 소개하며 태군의 근황도 함께 언급되었는데, 투다리에서 진득하게 대화를 나눠봤으나 아직 인터뷰는 부담스럽고 어렵다고 거절하였다. 고향인 공주에서 어머니의 일을 돕고 있으며, 여가 시간에 춤과 보컬 연습을 계속 하고 있다고 한다.

3. 디스코그래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태군/음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태군/음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태군/음반#|]][[태군/음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외동아들이다.[2] 아닌게 아니라 대부분 후렴구인 CALL ME CALL ME부분만 거의 부르고 나머지는 립싱크 혹은 부르다 마는 수준이었다.[3] 휘성이 아이돌 가수에게 써준 곡들은 병맛이 넘친다. 오렌지캬라멜의 데뷔곡 마법소녀가 대표적. 이후 티아라에게도 특유의 병맛넘치는 가사를 써 줬다.[4] 이 쪽은 현재 뮤지컬 배우로 인기를 끌고 있다.[5] 솔로 활동 때 적게나마 호평이 있었으나 쪽박찼다. 그러나 1년 뒤에 비스트에 영입되고 그야말로 대박났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