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9 20:58:32

테리투아르드벨포르 2구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하원 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2395><tablebgcolor=#002395>
파일:프랑스 국민의회 로고.svg
테리투아르드벨포르 2구
벨포르-2, 벨포르-3, 샤트누아레포르주, 델, 그랑빌라, 바빌리에, 발두아
Deuxième circonscription du Territoire de Belfort
}}}
<colbgcolor=#002395><colcolor=#ffffff> 선거인 수 70,308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 알리에
관할 구역 바빌리에
벨포르-1
벨포르-3
샤트누아레포르주
지로마니
발두아
연혁 1958년 신설
1986년 1차 개편
2010년 2차 개편
국회의원

기욤 비고

1. 개요

Deuxième circonscription du Territoire de Belfort.

테리투아르드벨포르에 할당된 2개의 선거구 중 바빌리에(Bavilliers) 캉통[1], 벨포르-1(Belfort-1) 캉통, 벨포르-3(Belfort-3) 캉통[2], 샤트누아레포르주(Châtenois-les-Forges) 캉통[3], 지로마니(Giromagny) 캉통, 발두아(Valdoie) 캉통[4]이 2구에 포함되며, 테리투아르드벨포르 북서부가 해당된다. 1973년부터 2002년까지 좌파 의원들이 당선된 것을 제외하면 우파 의원들이 해당 선거구에서 당선되었다. 2022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에서는 불복하는 프랑스의 플로리앙 쇼슈가 당선되었으나 2024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에서 국민연합의 기욤 비고가 당선되었다.

2. 역대 국회의원

파일:프랑스 국민의회 로고.svg 역대 테리투아르드벨포르 2구 국민의회 의원
<rowcolor=#fff> 총선 당선자 당적 임기
초대 앙리 도레이
Henri Dorey
대중공화운동 1958년 12월 9일 ~ 1962년 10월 9일
2대 장마리 바이유
Jean-Marie Bailly


1962년 12월 6일 ~ 1967년 4월 2일
3대

1967년 4월 3일 ~ 1968년 5월 30일
4대 1968년 7월 11일 ~ 1969년 7월 22일
폴 로베르[5]
Paul Robert
1969년 7월 23일 ~ 1973년 4월 1일
5대 레몽 포르니
Raymond Forni


1973년 4월 2일 ~ 1978년 4월 2일
6대 1978년 4월 2일 ~ 1981년 5월 22일
7대 1981년 7월 2일 ~ 1985년 8월 23일
공석[6] 1985년 8월 23일 ~ 1986년 4월 1일
8대 비례대표 1986년 4월 2일 ~ 1988년 5월 14일
9대 장피에르 슈벤망
Jean-Pierre Chevènement


1988년 6월 23일 ~ 1988년 7월 28일
질베르트 마랭모스코비츠[7]
Gilberte Marin-Moskovitz
1988년 7월 29일 ~ 1991년 4월 23일
장피에르 슈벤망[8]
Jean-Pierre Chevènement
1991년 6월 10일 ~ 1993년 4월 1일
10대 1993년 4월 2일 ~ 1997년 4월 21일
11대 1997년 6월 12일 ~ 1997년 7월 5일
질베르트 마랭모스코비츠[9]
Gilberte Marin-Moskovitz
1997년 7월 5일 ~ 2000년 9월 7일
장피에르 슈벤망[10]
Jean-Pierre Chevènement
2000년 10월 22일 ~ 2002년 6월 18일
12대 미셸 죙켈레
Michel Zumkeller


2002년 6월 19일 ~ 2007년 6월 19일
13대 2007년 6월 20일 ~ 2012년 6월 19일
14대 2012년 6월 20일 ~ 2017년 6월 20일
15대 2017년 6월 21일 ~ 2022년 6월 21일
16대 플로리앙 쇼슈
Florian Chauche


2022년 6월 22일 ~ 2024년 6월 9일
17대 기욤 비고
Guillaume Bigot


2024년 7월 8일 ~

3. 역대 선거

3.1. 제17대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

3.2. 제16대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



[1] 당주탱(Danjoutin) 코뮌과 페루즈(Pérouse) 코뮌 제외[2] Glacis du Château et Forges-Miotte 제외[3] 9개 코뮌 한정[4] 데네(Denney) 코뮌 제외[5] 전임자의 장관 임명에 따른 의원직 대행[6] 전임자의 임기 종료 1년 이내 사임으로 보궐선거 미실시[7] 전임자의 위원 임명에 따른 의원직 대행[8] 전임자의 사임에 따른 보궐선거 실시[9] 전임자의 위원 임명에 따른 의원직 대행[10] 전임자의 사임에 따른 보궐선거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