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0 01:01:00

투자자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전업투자자]]{{{#!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1. 개요2. 중요성3. 관련 인물

1. 개요

投資者 / Investor

투자를 하는 자. 자산이나 사업에 자본을 투입하여 지분을 확보하고, 그 대가로 자본이득을 실현하는 사람. #

가진 돈을 투입하고 관리해 자산화할 수 있다면 그 자격에는 개인부터 기업(법인)까지 제한이 없다. 투자는 별개의 본업과 병행할 수 있고, 성공 여하에 따라 전업투자자로 발전할 수도 있다. 투자가(投資家)라고도 하며, 이 말을 쓰면 평범한 개인 수준과는 구분되는 전문가나 그 이상인 대가(大家)의 경지에 오른 이들을 일컫는 어감이 난다.

2. 중요성

현대의 많은 프로젝트는 기업성을 바탕으로 한다. 자본아이디어의 융합 없이 어떤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것은 어렵다. 그 때문에 업무 수행에서 적절한 투자자를 유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사람들은 프레젠테이션을 만들고 홍보용 자료를 만들어 각 처에 배포하게 된다. 투자자들은 자신들이 투자한 일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꾸준히 확인하기를 원하기에 사업의 객관적인 지표를 요구하게 되고 이는 회계의 발달로 이어졌다.

기업의 입장에서 보자면 투자자는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는데 채권자주주가 될 것이다. 이익이 발생할 경우에 채권자가 먼저 돈을 받게 되지만 회사의 여러 사안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권한은 주주가 더 크다. 주주 가운데서도 의결권가 부여되는 보통주를 가진 주주가 의결권 없이 배당을 더 받을 수 있는 우선주를 가진 주주보다 의사결정에서 우선한다. 달리 말하자면 이익을 가장 마지막으로 받는 사람들이 보통주를 가진 주주들이란 얘기가 된다. 포괄손익계산서를 보면 이 순서를 알 수 있다.

최근에는 투자자를 유치하기 어려운 문화산업 등의 종사자들이 텀블벅과 같은 크라우드펀딩(Crowd Funding)을 통해 자본을 조달하는 방식을 취하기도 한다.

영화처럼 투자자의 투자로 자본을 충당하는 곳은 투자자가 왕이다. 투자자의 입김 한방에 배우가 갈리는 건 허다하다고. 그래서 영화판에서 투자자의 권위를 무시하면 그 바닥에 발 붙힐 생각 하지 말아야 한다는 말도 있다.

3. 관련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나라별 투자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나라별 투자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나라별 투자자#|]][[분류:나라별 투자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