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7-28 00:27:13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2024-25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클럽 경력/리버풀 FC
파일:리버풀 FC 라이버 버드 로고(골드).svg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클럽 경력|{{{#ffffff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의 클럽 경력}}}]]
2024-25 시즌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
2024-25 시즌
파일:p169187(24-25).png
소속팀 <colbgcolor=#ffffff,#191919>리버풀 FC (프리미어 리그)
등번호 66
VC
기록
파일:프리미어 리그 로고(화이트).svg
선발 28경기 교체 5경기
3득점 6도움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선발 7경기 교체 1경기
0득점 1도움
파일:FA컵(잉글랜드)로고(화이트).svg
선발 1경기
1득점 0도움
파일:카라바오 컵 로고 가로형.svg
선발 1경기 교체 1경기
0득점 0도움
합산 성적
선발 37경기 교체 7경기
4득점 7도움

1. 개요2. 프리 시즌3. 프리미어 리그
3.1. 전반기3.2. 후반기
4. UEFA 챔피언스 리그
4.1. 리그 페이즈4.2. 토너먼트
5. EFL컵6. FA컵7. 시즌 총평
7.1. 전반기7.2. 후반기7.3. 종합

1. 개요

리버풀 FC 소속 축구선수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의 2024-25 시즌 활약상을 기록한 문서.

2. 프리 시즌

UEFA 유로 2024에 참가한 관계로 늦게 복귀해 프리 시즌 마지막 경기만 소화했고, 여전한 폼을 보이며 디오구 조타의 득점을 어시스트했다.

3. 프리미어 리그

3.1. 전반기


















3.2. 후반기















4. UEFA 챔피언스 리그

4.1. 리그 페이즈






4.2. 토너먼트


5. EFL컵


6. FA컵

7. 시즌 총평

7.1. 전반기

클롭 시절보다 공격 가담 요구가 적고 동선이 비교적 간소화된 데에 이어 수비도 보다 컴팩트한 형태를 강조하는 환경 속에서 하파엘 레앙, 미토마 카오루 같은 쟁쟁한 윙어들을 틀어막는 등 수비에서 확연히 개선된 모습을 보인 전반기였다.

하지만 전반기 내내 경기 마다 한번씩은 집중력 저하로 공을 어이없이 내주는 모습이 나타났고 공격 전개 및 빌드업에서도 이전 같은 영향력을 보여주지는 못하는 등 아쉬운 모습도 공존했다. 12월에 킥의 날카로움과 공격 가담 시 효율이 눈에 띄게 향상되며 다시 폼을 끌어올리나 했으나, 전반기 마지막 경기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전 태업이냐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공-수에서 형편없는 모습을 보이며 큰 비판에 직면했다. 여러모로 후반기에는 공-수에서 보다 꾸준한 활약을 보일 필요가 있어보인다.

7.2. 후반기

그러나 한번 고장난 수비력은 돌아오지 않았고, 선수 본인의 경기 안에서 보여주는 마인드 셋도 부주장이 보여야 할 그것과는 거리가 먼 경우가 많았다.

거의 대부분의 경기에서 오른쪽에서 지속적으로 안좋은 수비력을 보이며 흐라벤베르흐와 코나테의 도움 수비를 받아야 했고, 이는 이 둘의 경기력 하락으로 이어졌다. 그렇다고 공격에서의 활약이 수비에서의 부진을 상쇄할 정도로 좋았던 것도 아니었다. 기본적인 패스에서의 에러는 여전했고, 킥력은 롤러코스터를 탔다.

7.3. 종합

알렉산더아놀드의 리버풀 커리어에서 가장 영향력이 부족했고 마인드 셋도 매우 실망스러웠던 최악의 커리어 로우 시즌이다.

특히나 집중력의 저하로 수비적인 측면에서 잔실수가 상당히 자주 나오는 게 가장 큰 문제였으며, 기본적인 워크 에식의 측면에 있어서도 이전의 그와는 확연히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후 레알 마드리드 입단식 기자회견에서 스페인어를 매우 유창하게 쓰는 모습을 보여주며 스페인어 배우느라 축구를 소홀히 했냐는 비아냥이 따라왔다.


[1] 본인은 이른 교체에 아쉬웠는지 벤치에서 표정이 굳어있는 것이 포착되었고, 슬롯이 벤치에서 교체에 대해 설명해주는 모습도 보였다.[2] 이번엔 교체될때 박수치고 웃으며 나갔다.[3] 경기 중에도 반 다이크, 소보슬라이에게 야단 맞는 모습이 잡혔다.[4] 연기된 라운드[5] 물론 궤적 자체가 괴상했던 크로스라 강하게 방해했더라도 별 차이는 없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