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6-09 19:56:19

페드로 데펠리페

스페인의 前 축구 선수
파일:Pedro_de_Felipe_1966.jpg
<colbgcolor=#eee><colcolor=#000,#e5e5e5> 이름 페드로 데펠리페
Pedro de Felipe
본명 페드로 에우헤니오 데펠리페 코르테스
Pedro Eugenio de Felipe Cortés
출생 1944년 7월 18일
스페인국 마드리드
사망 2016년 4월 12일 (향년 71세)
스페인 마드리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페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페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미상|체중 미상
직업 축구 선수 (수비수 / 은퇴)
축구 에이전트
소속 <colbgcolor=#eee> 선수 레알 마드리드 CF (?~1964 / 유스)
레알 마드리드 CF (1962~1972)
라요 바예카노 (1962~1964 / 임대)
RCD 에스파뇰 (1972~1978)
국가대표 1경기 (스페인 / 1973)
1. 개요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2.2. 국가대표 경력
3. 사망4. 플레이 스타일 및 특징5. 여담6. 개인사

1. 개요

스페인의 前 축구 선수. 수비수로 활약했으며, 1960년대 레알 마드리드 CF의 황금기를 함께한 예예(Yé-Yé) 세대의 핵심 멤버였다. 8년간 레알 마드리드에 소속되어 5차례의 라리가 우승과 1차례의 유러피언컵 우승을 경험했다. 은퇴 후에는 축구 에이전트로 활동했으며, 2016년 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페드로 데펠리페는 어린 시절부터 레알 마드리드 CF유스팀에서 성장했다. 16세 때부터 이미 과감한 성격으로 주목받았으며, 레알 마드리드의 기술진은 그를 노쇠화한 호세 산타마리아의 완벽한 후계자로 보았다.

데펠리페는 먼저 라요 바예카노로 임대를 떠났다가 1964년 레알 마드리드로 복귀했다. 1964년 10월 11일 오비에도와의 경기에서 1군 데뷔를 했으며, 레알 마드리드에서 1972년까지 8년간 뛰었다.

동양인처럼 생긴 눈매 때문에 '엘 치노(El Chino, 중국인)'라는 별명으로 불렸던 데펠리페는 뛰어난 체력과 용기로 중앙 수비수 자리를 확고히 했다. 미겔 무뇨스 감독은 그에게 "넌 너가 아는 것을 하러 왔다. 인생을 복잡하게 만들지 마라"라고 말했고, 데펠리페는 이를 충실히 따랐다. 레알 마드리드 시절 받은 유일한 벌금은 중앙선을 넘어 공격에 가담하며 감독의 지시를 어겼을 때였다.

데펠리페의 최고의 경기는 인터 밀란과의 유러피언컵 준결승이었다. 페이로를 완벽하게 막아내며 무적의 모습을 보여주어 이탈리아 팀을 지치게 만들었다. 결승전에서는 FK 파르티잔을 만나 벨리보르 바소비치에게 선제골을 허용하긴 했지만, 아만시오 아마로의 동점골과 페르난도 세레나의 역전골로 마침내 데펠리페도 유럽을 정복하게 되었다.

1969-70 시즌 첫 경기에서 그의 이름이 크게 주목받았다. 추첨으로 시즌 개막전이 엘 클라시코로 정해졌는데, 5분 만에 바르셀로나의 신예 공격수 부스티요가 2골을 넣었다. 하지만 후반전에 데펠리페와의 충돌로 부스티요가 중상을 입었다. 바르셀로나에서 큰 반발이 일어났고,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국가체육위원장이 데펠리페와 레알 마드리드 단장 안토니오 칼데론과 함께 해당 장면을 20번이나 반복해서 봤다. 결국 데펠리페는 이 사건으로 징계받지 않았다.

데펠리페 역시 반월상연골 부상을 당했고, 이는 결국 그의 레알 마드리드 떠남에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 베니토가 점차 그의 자리를 빼앗아가기 시작했고, 1971년 컵위너스컵 결승 며칠 전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와의 마찰도 있었다.

1972년 레알 마드리드를 떠나 RCD 에스파뇰로 이적했다. 에스파뇰에서 1977-78 시즌까지 6년간 뛰며 여전히 뛰어난 실력을 보여주었다. 현역 은퇴 후에는 에스파뇰의 기술위원, 알메리아의 사무총장, 스포츠 브랜드 대리인, 축구 에이전트 등으로 활동했다.

2.2. 국가대표 경력

데펠리페는 1973년 10월 17일 터키에서 열린 터키와의 경기에 출전하여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1경기 출전 기록을 남겼다.

3. 사망

2016년 4월 12일 오전 6시 30분경 마드리드에서 암으로 인해 7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과달라하라의 오르체에 안장되었다.

레알 마드리드는 공식 성명을 통해 "1964년부터 1972년까지 레알 마드리드 선수였던 페드로 데펠리페가 마드리드에서 7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클럽 유스팀에서 성장한 그는 1군에서 성공을 거두며 예예 세대 레알 마드리드의 수비 핵심이 되었다. 뛰어난 수비 실력으로 8시즌 동안 유러피언컵 1회, 라리가 5회, 코파 델 레이 1회 우승을 경험했다. 레알 마드리드는 그의 가족들의 슬픔에 함께하며 애도의 뜻을 표한다"고 발표했다.

플로렌티노 페레스 회장은 "오늘 모든 마드리디스타들은 상징적이고 잊을 수 없는 선수인 페드로 데펠리페의 작별에 큰 슬픔을 느끼고 있다. 페드로 데펠리페는 영원히 우리 기억 속에 남을 것이다"라고 애도했다.

4. 플레이 스타일 및 특징

데펠리페는 과감한 성격과 뛰어난 체력, 용기를 바탕으로 한 중앙 수비수였다. 레알 마드리드의 화려한 공격진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목받지는 못했지만, 1960년대 예예 세대의 핵심 구성원으로서 팀의 황금기를 뒷받침하는 안정적인 수비를 제공했다. 특히 큰 경기에서 강한 모습을 보여주며 팀의 승리에 기여했다.

5. 여담

6. 개인사

데펠리페는 두 번 결혼했다. 첫 번째 결혼에서 페드로, 알레한드로, 다비드, 호르헤[1] 등 4명의 아들을 두었다. 이후 쿠바 출신의 라리차와 재혼하여 막내아들 다니엘을 낳았고, 인생 말년의 대부분을 다니엘과 그의 어머니와 함께 보냈다.

축구 선수 은퇴 후에는 부분적으로 축구 관련 일을 하며 막내아들 다니엘의 축구 경력을 지원하는 데 힘썼다.
[1] FIFA 공인 에이전트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