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3 08:14:27

페런티왕도마뱀


왕도마뱀속 현존 생물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왕도마뱀속엠파구시아아속<colbgcolor=#fff,#1c1d1f> 벵골왕도마뱀 · 듀메릴왕도마뱀 · 황금왕도마뱀 · 구름왕도마뱀 · 검은거친목왕도마뱀
에우프레피오사우루스아속베네트긴꼬리왕도마뱀 · 터키옥왕도마뱀 · 세람맹그로브왕도마뱀 · 케이섬왕도마뱀 · 푸른꼬리왕도마뱀 · 뉴아일랜드왕도마뱀 · 핀슈왕도마뱀 · 맹그로브왕도마뱀 · 칼슈미트왕도마뱀 · 렌넬섬왕도마뱀 · 리룽왕도마뱀 · 퀸스왕도마뱀 · 사고왕도마뱀 · 귄터맹그로브왕도마뱀 · 머싸우섬푸른꼬리왕도마뱀 · 타님바르왕도마뱀 · 마리아나왕도마뱀 · 검은등맹그로브왕도마뱀 · 은색왕도마뱀
왕도마뱀아속코모도왕도마뱀 · 페런티왕도마뱀 · 굴드왕도마뱀 · 머튼스왕도마뱀 · 알거스왕도마뱀 · 로젠버그왕도마뱀 · 스펜서왕도마뱀 · 레이스왕도마뱀
작은왕도마뱀아속가시꼬리왕도마뱀 · 공작왕도마뱀· 짧은꼬리난쟁이왕도마뱀 · 필바라줄무늬꼬리왕도마뱀 · 줄무늬꼬리왕도마뱀 · 걸프산등성이꼬리왕도마뱀 · 붉은사막왕도마뱀 · 꼬마뮬가왕도마뱀 · 킴벌리바위왕도마뱀 · 검은손바닥바위왕도마뱀 · 해머슬리산맥바위왕도마뱀 · 그루트에이랜트왕도마뱀 · 킹스바위왕도마뱀 · 미셸물왕도마뱀 · 필바라바위왕도마뱀 · 북방넓은가시왕도마뱀 · 띠나무왕도마뱀 · 붉은왕도마뱀 · 시밀리스왕도마뱀 · 댐피어반도왕도마뱀 · 스토르왕도마뱀 · 티모르왕도마뱀 · 검은머리왕도마뱀
나무왕도마뱀아속검은나무왕도마뱀 · 금색점무늬나무왕도마뱀 · 보거트왕도마뱀 · 푸른코나무왕도마뱀 · 비악나무왕도마뱀 · 푸른나무왕도마뱀 · 에메랄드나무왕도마뱀 · 노랑나무왕도마뱀 · 미스터리나무왕도마뱀
소테로사우루스아속반곤왕도마뱀 · 노란머리물왕도마뱀 · 엔텡왕도마뱀 · 대리석물왕도마뱀 · 큰비늘물왕도마뱀 · 팔라완물왕도마뱀 · 라스무센물왕도마뱀 · 물왕도마뱀 · 사마르물왕도마뱀 · 토기안물왕도마뱀
폴리다이달루스아속바위왕도마뱀 · 사바나왕도마뱀 · 나일왕도마뱀 · 서아프리카나일왕도마뱀 · 오네이트왕도마뱀 · 예멘왕도마뱀
필리핀왕도마뱀아속북부시에라마드르숲왕도마뱀 · 파나이왕도마뱀 · 그레이왕도마뱀
사막왕도마뱀아속사막왕도마뱀 · 네스테로브사막왕도마뱀
솔로몬제도가시왕도마뱀아속솔로몬제도가시왕도마뱀
악어왕도마뱀아속악어왕도마뱀}}}
}}}
페런티왕도마뱀(페런티에, 패런티모니터)
Perentie, Perenti monitor
파일:Monitor-Lizard.jpg
학명 Varanus giganteus
Gray, 1845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파충강 Reptilia
뱀목 Squamata
왕도마뱀과 Varanidae
왕도마뱀속 Varanus
아속 왕도마뱀아속 Varanus
페런티왕도마뱀 V. giganteus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파일:페런티에.jpg
페런티왕도마뱀의 전신

1. 개요2. 특징
2.1. 서식지2.2. 사냥
3. 인간과의 관계

1. 개요

왕도마뱀의 일종.

2. 특징

호주에서 가장 큰 도마뱀이자, 현존하는 세상에서 네번째로 큰 도마뱀이다.[1][2] 보통 몸길이는 2.5m, 무게는 20kg이며, 흔치는 않지만 최대 3m에, 40kg까지도 나갈 수 있다.

주로 버려진 흰개미집이나 흙 속에 알을 낳는다.

2.1. 서식지

파일:800px-Perentie.png
페런티에의 서식지
호주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노던 준주, 퀸즐랜드의 건조한 사막 지역에서 서식한다. 지반이 탄탄하고, 바위가 많은 노두(露頭)와 협곡을 선호한다.

2.2. 사냥

날카로운 이빨과 출혈독을 가졌으나, 사냥할 때는 독보단 물리적 타격에 의존한다.[3]

질주할 때의 순발력, 지구력 또한 페런티에의 최대 무기 중 하나이다. 이들이 낼 수 있는 최대 속력은 무려 40.23km/h로, 이는 파충류 최고이자, 최대 속력이 44.72km/h인 우사인 볼트보다 아주 조금 못한 수준이다. 또한 이들은 달리면서 숨을 쉴 수 있기에 지구력도 무척이나 뛰어나다.

파일:0389ez5zmi471.jpg
로드킬 당한 캥거루의 사체를 먹는 페런티왕도마뱀

새끼는 주로 메뚜기지네 등을 잡아먹고 살지만, 성체는 제압할 수 있는 동물이라면 다 먹는다 보면 된다. 주로 먹는 것은 주로 자신보다 소형 파충류[4]와 소형 포유류, 새이지만, 가끔 바다거북의 알과 새끼, 박쥐, 어린 캥거루도 잡아먹는다.

사냥방식은 고양잇과 동물들과 비슷한데, 갈대밭 속에 숨어서 긴 목을 높게 펴서 사냥감을 찾고, 다시 목을 낮게 내려 갈대밭 사이에 숨은 다음 살금살금 접근했다가 상술한 빠른 속도로 기습해서 물어뜯으며 제압한다.

헤엄도 곧잘 치며, 얕은 바다에서 먹이를 찾아다니는 모습이 관찰된 적 있다.

3. 인간과의 관계

예로부터 페런티에는 많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문화에서 숭배됨과 동시에, 별미로 사랑받는 음식이었으며, 지방은 약용 및 의식용으로 사용되었다.

국외로 보내는 페런티왕도마뱀
전세계 각국에서 반려동물로 키워지지만, 대한민국에서는 국내 수입이 불법이다.[5] 페런티에는 왕도마뱀과 내에서도 큰 편에 속하는 데다 독성 파충류로 법적 분류되었기 때문이다.

현재는 유일하게 사육하던 오너마저 일본으로 파양을 함으로 국내 사육 개체도 전무하게 됐다.
[1] 1위는 코모도왕도마뱀, 2위는 물왕도마뱀, 3위는 악어왕도마뱀이다.[2] 다만 왕도마뱀치곤 체형이 매우 마른편이라서 바위왕도마뱀보다는 작아보인다.[3] 그렇다고 독이 약한 건 아니라서, 페런티에에게 물린 상처는 몇 분 안에 붓고, 출혈이 발생한다. 독 효과는 종종 시간 단위로 지속될 수 있다.[4] 여기엔 약하거나, 어린 동족도 포함이다.[5] 독을 지닌 모든 파충류들은 독이 강하든 약하든 전부 수입이 금지된다. 대신 사육에는 제한이 없어서 국내에서 키워지는 독성 파충류들은 국내에서 번식되었거나 밀수된 개체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