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코믹스의 등장인물 페로 래드 Ferro Lad | |||
<colbgcolor=#87CEFA,#87CEFA><colcolor=#000> | |||
캐릭터 창조 정보 | |||
출판사 | DC 코믹스 | ||
최초 등장 | Adventure Comics #346 1966년 7월 ([age(1966-07-01)]주년) [dday(1966-07-01)]일째 | ||
창조자 | 짐 슈터 | ||
캐릭터 설정 정보 | |||
본명 | 앤드류 놀란 Andrew Nolan | ||
이명 | 페로 래드(Ferro Lad)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87CEFA,#87CEFA> 인간 관계 | ||
소속 | <colcolor=#373a3c,#ddd>리전 오브 슈퍼히어로즈 | ||
가족 | 루이자 놀란 (어머니) 앤드류 더글러스 놀란 (아버지) 더글러스 놀란 (형) | ||
생사 관련 | |||
현실 | 프라임 어스 지구-1, 뉴 어스 (리부트 이전) | ||
출생 | 지구 (31세기) | ||
개인 정보 | |||
신분 | 비공개 | ||
종족 | 인간 (메타 휴먼) | ||
국적 | 행성 연합 | ||
직업 | 군인 | ||
근거지 | 리전 오브 슈퍼히어로즈 본부 | ||
신체 특징 | |||
성별 | 남성 | ||
신장 | 170cm | ||
체중 | 70kg | ||
눈 | 벽안 | ||
모발 | 갈색[1] | }}}}}}}}} |
1. 개요
DC 코믹스의 캐릭터. 리전 오브 슈퍼히어로즈 시리즈의 등장 인물인 남성 히어로.2. 작중 행적
쌍둥이 형제이자 형인 더글러스처럼 돌연변이 및 메타휴먼으로 태어난 그는 자신의 흉측한 얼굴을 가리기 위해 늘 가면을 착용했었다. 그는 어찌어찌해서 리전에 합류한 뒤 다른 멤버들과 잘 지냈으나 선 이터의 등장으로 그 행복도 오래가지 못한다. 이후 리전이 직접 선 이터를 없애려 했지만 역부족이었던 탓에 어쩔 수 없이 페이탈 파이브에게 도움을 요구했고, 그 중 앤드류는 마노에게 찾아갔었다.마노는 당연히 처음엔 반발하고 공격했지만 앤드류의 설득 끝에 잠시나마 휴전한 뒤 선 이터를 파괴하기 위해 움직였다. 그는 다른 리전들과 함께 페이탈 파이브의 부 리더 타록이 고안한 내용과 계획에 따랐다. 이 계획은 반물질 우주에서 반에너지를 끌어오는 증강기를 통해 능력을 증폭시키는 것이었는데, 그 힘은 최소 3일 동안 지속될 만큼 강력했다. 하지만 그 힘은 선 이터에게 영향을 미치기에는 턱없이 부족했고, 파괴는 결국 실패하고 만다. 이에 다른 리전들과 페이탈 파이브는 어떻게든 발악하며 싸우지만 모두 실패했다.
이를 지켜본 앤드류는 결국 자신 스스로 희생해서라도 어떻게든 단 하나의 바늘을 잡기 위해, 낮은 확률이라도 가능성이 있단 것을 알아낸 뒤 따로 몰래 움직였는데, 그는 이후 그 누구도 감히 하지 못한 일을 해냈다. 바로 선 이터의 심장부에 뛰어든 것이었다. 대부분 리전과 페이탈 파이브는 그저 겉에서만 공격했기에 앤드류는 차라리 안쪽에서 파괴시키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 것.
이후 자신의 능력을 사용하여 선 이터 내부로 들어가고, 그곳에서 그는 과열된 핵에서 엄청난 에너지 덩어리를 발견했다. 그 에너지 덩어리를 바로 선 이터의 심장이자 생명력이었다. 그는 그 생명력이 파괴되면 선 이터도 소멸되어 파괴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후 앤드류는 그 에너지 유기체에 다가가려 했지만, 당연히 선 이터가 이를 알곤 내쫓으며, 그는 자신이 실패했다고 확신한 채 이를 갈았다.
그러나 앤드류 덕에 약점을 알아낸 터라 타록은 이를 이용하여 흡수형 트론 폭탄을 설계하고 제작했는데, 이 장치는 선 이터의 핵에 도달하면 모든 에너지를 흡수한 뒤 파괴하는 장치였다. 선 이터의 폭주로 시간 타이밍 장치나 원거리 추진 시스템을 만들 시간이 없었기에, 누군가가 이 장치를 선 이터 내부로 옮겨서 "은하를 구하기 위해 죽어야" 하는 일명 희생을 해야 했다. 이에 당연히 악당들인 페이탈 파이브는 전원 거절하고, 리전도 망설이는데, 이 가운데 슈퍼보이가 자신의 힘과 강한 무적 상태는 죽지 않고 생존 가능성을 가장 높여준다며 자신이 대신 가겠다고 했다. 하지만 슈퍼보이가 이렇게 말을 해도 선 이터의 위력은 매우 강한 데다가 안 그래도 힘이 약해진 터라 분명 슈퍼보이가 죽을 확률이 매우 높았고, 이에 슈퍼보이와 카라 조엘이 없으면 리전 자체가 설립될 수 없었던 만큼 이를 안 앤드류는 자신이 대신 희생될 각오를 한다. 그 후 미안하다며 약해진 슈퍼보이를 주먹으로 때려눕히고 폭탄을 에어록 밖으로 꺼내 선이터 쪽으로 가져갔다.
선 이터의 심장부 깊숙한 곳에 도착한 앤드류는 선 이터가 자신을 아까처럼 쫓아낼 것을 확인한 채 그 전에 폭탄을 터뜨렸다. 우주의 암흑이 갈라지는 순간, 흡수형 바트론 폭탄은 구름 덩어리를 뚫고 파열음을 내며 폭발했다. 하지만 이 여파로 앤드류 역시 온 몸이 산산조각나며 뿔뿔히 흩어진 채 목숨을 잃었다.
흩어진 선 이터의 에너지는 그대로 소멸했고, 페이탈 파이브는 이를 바라본 뒤 바로 도주했다. 그 후 리전은 앤드류의 죽음에 슬퍼하며 그를 위대한 영웅으로 여겨 동상을 세웠다.
3. 능력
온 몸과 내장, 근육 등을 철로 바꿀 수 있다.- 철로 변형되는 몸 - 가장 핵심 능력.
- 철이 된 상태로 잠시나마 무적이 될 수 있는 몸
- 비행술
- 리전 오브 슈퍼히어로즈 반지
- 뛰어난 무술 실력과 괴력, 유연한 움직임
4. 멀티버스
- 스쿠비두! 팀 업
카메오로 등장한다.
5. 다른 매체에서
5.1. 애니메이션
- DC 애니메이티드 유니버스
<저스티스 리그 언리미티드>에서 동상으로 카메오 출연한다.
- 리전 오브 슈퍼히어로즈
"최초의 영상화"로, 원작과 동일하게 자신을 희생하여 선 이터를 파괴하고 목숨을 잃는다. 다만 원작에선 시체 자체가 완전히 조각나서 흩어져 찾을 수 없었지만, 여기선 반대로 철로 이루어진 온 몸이 사람 형태만 유지한 상태로 녹아붙은 채 파괴된 소행성 자체에 남아있는 모습으로 나온다.
- 투모로우버스
카메오로 등장한다.
5.2. 게임
- 스크리블너츠 언마스크드: DC 코믹스 어드벤처
소환 캐릭터로 등장한다.
6. 기타
- 리전 모두가 거의 외계인인 것에 비해 이 캐릭터는 지구 출신의 인간이다. 오히려 인간 캐릭터가 매우 극소수인 마당에 제일 인상깊게 기억에 남고 사람들을 위해 희생한 인물이란 점이 장점이라고 볼 수 있다.
- 본래 흑인인지 아니면 백인인지 상당히 애매한 캐릭터였는데, 사실은 제작자 짐 슈터가 본래 흑인으로 계획했으나 흑인 영웅 자체가 남부 미국에선 아예 배제되어 인기가 없을 거라는 의견으로 백인으로 나왔다는 가설이 있었다.[2] 이후 리부트 뒤부턴 흑인으로 고정되어 나온다. 다행히 원래부터 애매한 캐릭터다보니 진저 지우기와 흑인화로 욕을 심하게 먹은 라이트닝 래드와는 달리 팬들 역시 비난하진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