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고대 | 메소아메리카 고대 문명 [[올멕| 올멕 ]] [[마야 문명|마야 ]] [[테오티우아칸|테오티우아칸 ]] [[테노치티틀란|테노치티틀란 ]] [[톨텍 문명|톨텍 ]] | |||||||||||
| 중세 | 틀락스칼텍 | 사포텍 | 미스테카 | 타라스칸 | |||||||||
| 아즈텍 제국 | |||||||||||||
| 스페인 제국 (식민지배기) [[누에바에스파냐 부왕령| 누에바에스파냐 부왕령 ]] | |||||||||||||
| 근대 | 제1차 제정시대 | 멕시코 제1제국 | |||||||||||
| 제1차 공화시대 | 최고집행권력 임시정부 | ||||||||||||
| 멕시코 제1연방공화국 | |||||||||||||
| 멕시코 중앙집권공화국 | |||||||||||||
| 멕시코 제2연방공화국 [[캘리포니아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B71234 ; font-size: .8em" | |||||||||||||
| 제2차 제정시대 | 멕시코 제2제국 | ||||||||||||
| 제2차 공화시대 | 복원된 공화국 | ||||||||||||
| 현대 | 혼란 시대 | 포르피리오 디아스 시대 (포르피리아토) | |||||||||||
| 멕시코 혁명 [[크리스테로 전쟁|{{{#!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fff ; font-size: .8em" | |||||||||||||
| 제3차 공화시대 | 막시마토 | ||||||||||||
| 멕시코 합중국 | |||||||||||||
| 멕시코의 시대 구분 | ||||
| <rowcolor=#000> 복원된 공화국 | ← | 포르피리아토 | → | 멕시코 혁명 |
| 멕시코 합중국 Estados Unidos Mexicanos | |||
| | | ||
| <rowcolor=#fff> 국기 | 국장 | ||
| La Patria es Primero 조국이 우선이다 | |||
| orden y progreso 질서와 진보 (비공식 표어) | |||
| 상징 | |||
| 국가 | Himno nacional de Mexico 멕시코 국가 | ||
| <nopad> | |||
| <colbgcolor=#2E674E><colcolor=#fff> 1876 ~ 1911년 | |||
| <rowcolor=#fff> 성립 이전 | 멸망 이후 | ||
| 복원된 공화국 | 멕시코 혁명 | ||
| 위치 |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 ||
| 수도 | 멕시코시티 | ||
| 정치 체제 | 대통령제 연방 공화국 (명목상) 권위주의적 군사독재 (실질적) | ||
| 국가 원수 | 멕시코 대통령 | ||
| 역대 대통령 | 포르피리오 디아스 (1876, 1877~1880, 1884~1911) | ||
| 입법부 | 멕시코 연방의회 | ||
| 언어 | 스페인어 (공용어) | ||
| 나우아틀어, 마야어, 믹스테칸어, 사포텍어 등 | |||
| 종교 | 로마 가톨릭 (국교) | ||
| 면적 | 1,962,550km² | ||
1. 개요
1. 개요
포르피리오 디아스 시대(Porfirio Díaz Era), 통칭 포르피리아토(Porfiriato)는 역사학자 다니엘 코시오 빌레가스가 정의한 용어로서,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포르피리오 디아스 치하의 군사독재 시기를 보낸 멕시코를 일컫는 말이다. 스페인어로는 포르피리스모(porfirismo)라고도 한다.1876년 군부와 공모한 뒤 쿠데타를 일으켜 권력을 장악한 디아스는 전형적인 개발독재자로서, 멕시코에 적극적인 외국인 투자 유치와 대외무역의 증대를 촉진함과 동시에 이른바 '질서와 진보' 정책을 추진하여 국가의 성장을 꾀하였다. 하지만 필요할 경우에는 무력으로만 사회 · 정치적 질서를 유지할 수 있다고 하면서 국가로부터의 폭력을 정당화하는 등 부정적인 측면 역시 있었다. 그럼에도 그의 집권 기간 동안 멕시코는 경제, 기술, 사회, 문화적으로 상당히 발전을 거듭했다.
디아스는 1884년 재집권한 이후로 계속해서 대통령직을 독점하여 1910년까지 권력을 유지했지만, 그의 후계자로 낙점된 인물은 없었고 권위적인 군사 독재에 반발하는 세력은 점차 늘어만 갔다. 결국 1910년 프란시스코 마데로를 중심으로 부정 선거에 불만을 품은 이들이 일으킨 소요 사태가 점차 혁명으로 발전하자, 디아스는 사임한 뒤 프랑스로 망명하였다. 이후의 멕시코는 10년 간의 내전인 멕시코 혁명을 경험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