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30 22:36:36

포항거리예술축제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축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47a0><colcolor=#fff> 수도권 <colbgcolor=#fff,#1c1d1f>서울세계불꽃축제 · 롯데월드타워 불꽃축제 · 영등포 여의도 봄꽃축제 · 서울거리예술축제 · 이태원 지구촌 축제 · 서울 빛초롱 축제 · 안산국제거리극축제 · 가평 자라섬 국제 재즈 페스티벌 · 서리풀 페스티벌 · 강남 페스티벌
강원권 춘천마임축제 · 강릉단오제 · 화천산천어축제 · 평창송어축제
충청권 대전빵축제 · 천안빵축제 · 대전국제와인EXPO · 대전0시축제 · 보령머드축제 · 지상군 페스티벌 · 천안흥타령춤축제
경상권 진해 군항제 · 부산불꽃축제 · 영덕 대게 축제 · 대구 치맥 페스티벌 · 청도 소싸움 축제 · 포항거리예술축제 · 포항국제불빛축제 · 진주남강유등축제 · 부산국제영화제 · 구미라면 축제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김천김밥축제
전라권 남원춘향제 · 전주국제영화제 · 전주세계소리축제
제주권 제주들불축제 · 성산일출축제
전체 목록은 이곳 참조. }}}}}}}}}


1. 소개글2. 공간3. 행사개요
3.1. 2022 포항거리예술축제
4. 연혁별 주요 변화
4.1. 20184.2. 20194.3. 20204.4. 20214.5. 2022
5. 참여작
5.1. 20185.2. 20195.3. 20205.4. 2022
6. 크레딧
6.1. 2018년 크레딧6.2. 2019년 크레딧6.3. 2021년 크레딧6.4. 2022년 크레딧
7. 여담
7.1. 2023년 축제 진행 여부 관련
8. 소셜미디어9. 관련 기사

1. 소개글

2. 공간


축제는 대부분 포항시 북구 송도동 일대에서 개최되었으며 송림숲을 주요 무대로 삼아 해변과 도로, 동네까지 공간을 확장하기도 했다. 2021년에는 포항시의 무리한 개발로 애물단지 취급을 받았던 캐릭터해상공원을 공연 장소로 추가 활용하기도 했으나, 이후 다시 송림숲에 집중했다. 송림테마거리는 포항 송림숲 일대에 조성된 공원으로, 송도해수욕장(현재는 실제로 해수욕을 하고 있지는 않으므로 송도해변이라고 하는 것이 더 적합한 표현이다.)을 따라 이어지는 큰 규모의 소나무 숲이다.

"송도 솔밭을 살리기 위한 문화적인 접근과 생태적인 접근은 눈여겨볼 만하다. 일찍이 화가 이창연은 송도를 그렸고 작가 안성용은 송도를 사진으로 남겼다. 2018년부터 포항문화재단에서 기획한 ‘포항거리예술축제’는 해안을 낀 송도 솔밭에서 이루어지는 축제이다. 사실 마을숲이 전통 유희의 공간이었던 것처럼 송도 솔밭 또한 포항시민들에겐 축제의 장인 경우가 많았다. 포항개항제 때 미스포항 카퍼레이드에서부터 해변 노래자랑도 어김없이 송도에서 이뤄졌고 사생대회, 백일장 등의 단골 장소였다. 학창시절 송도 솔밭으로 소풍 안 가본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였다. 당시 공연 예술의 공간이 시공관(훗날 시민회관으로 바뀌었다가 지금은 중앙아트홀이 됐다)밖에 없었던 탓도 있겠지만, 포항 송도는 시민들에게 축제와 문화의 장이었다. ‘포항거리예술축제’는 송도 솔밭에 그런 놀이 공간의 기능을 다시 불러낸 셈이다." [2]

3. 행사개요

3.1. 2022 포항거리예술축제

4. 연혁별 주요 변화

4.1. 2018


2018년 첫 해의 축제에는 한국을 대표하는 다양한 예술단체가 초대되어 거리예술을 본격적으로 포항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개막공연은 '예술무대 산'의 '선녀와 나무꾼'으로 공연 중 한 파트에는 포항시의 당시 시장이 직접 공연 장면에 참여하기도 했다. 숲 속에 마련된 운동 공간, 나무 사이의 길, 쉼터와 주차장 등이 무대가 되는 거리예술의 장이었다. 5월 첫주에 개최되어 많은 가족 단위 관객들이 방문하는 계기를 만들기도 했다. 축제의 마지막날에는 비가 왔는데, 날씨에도 아랑곳 없이 관객들이 우산을 쓰고 축제의 공연을 관람했다. 숲 속에 색색의 우산들이 모여 있는 제법 귀여운 모습이 축제 기록 사진으로 남기도 했다.
2018년 1회 포항거리예술축제

4.2. 2019


2019년 제 2회 포항거리예술축제

4.3. 2020

2020년 제 3회 포항거리예술축제

4.4. 2021


2021년 제 4회 포항거리예술축제
2021년 제 4회 포항거리예술축제

4.5. 2022

5. 참여작

5.1. 2018

[해외프로그램] S'ilvousplait <A Silent Couple in Humorous White>, Yifan <Shouting without Noise>, Okuda Masashi <Bubble Bubble>, Circus Katoen <Ex Aequo>
[국내프로그램] 온앤오프 무용단 <런웨이>, 예술무대 산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국‘s 그라운드 <열심이의 행복을 찾아서>, 극단 나무 <벨로시랩터의 탄생>, 극단 몸꼴 <충동>, 극단 즐겨찾기 <바가 앤 본드>, 노니논다 <노니논다 놀이마당>, 배낭속 사람들 <변신>, 배낭속 사람들 <어느날 오후>, 보령예술단 <로프 판타지>, 아이모멘트 <고백: 돌아가다>, 악단광칠 <북을 파는 유랑악단>, 극단 서울괴담 <성북동 81번지>, 유상통프로젝트 <청소반장 유상통2>, 음악당 달다 <랄랄라쇼>, 작은극장 H <참여놀이극 ㄴㅜㄴ/눈>, 창작그룹 노니 <신호유희>, 체험예술공간 꽃밭 <거인의 책상>, 친구네 옥상 ART <황금영혼>, 마임3형제 <거리의 악사들>, 솔샌드아트아카데미 <솔~솔~모래에 실려온 이야기>, 포항예고 <포항예술고 버스킹>, 폴인크레타 <폴인크레타>

5.2. 2019

[해외프로그램] 갈매 <여기는 아니지만 여기를 통하여>, 보제스트 <특별한 동행>, 아크로주 <바퀴로 만든 집>, 이케다 요스케 <헬로, 굿바이>
[국내프로그램] 리브레호벤 <연결링크>, 마린보이 <나홀로 서커스>, 보이스씨어터 몸MOM소리 <숨, 자장가>, 봉앤줄 <외봉인생>, 비주얼씨어터 꽃 <마사지사>, 우주마인드프로젝트 <잡온론>, 유지영 <인체도>, 음악그룹 the튠 <복 실러가요 ‘놀량‘>, 일장일딴 컴퍼니 <줄로 하는 공연 '점'> 창작중심 단디 <단디우화>, 친구네 옥상 ART <포춘돌 : 함께 먹는 밥>, 크로키키 브라더스 <크로키키 브라더스>, 코끼리들이 웃는다 <물질2 물질하다가>, 팀클라운 <경상도 비눗방울>, 팜시어터 <달콤한 나의 집>, 플라스틱 노이즈 <소풍>

5.3. 2020

[프로그램] 콤마앤드 <당나귀 그림자 재판>, 극단 문 <제랄다와 거인>, 씨드댄스프로젝트 <인터렉션>, 김예은 <자살광대>, 연희극제작소 와락 <오쇼 상담소>, 연희집단 the 광대 <당골포차>, 김수정 <어느 장단>, 코알콜라주 <워커>, 팀 퍼니스트 <체어, 테이블, 체어>, 김유인 <침침체리>, 신나는섬 <시네마 콘서트>, 하소정 <1/4평의 시간>, 문화로 도도다 <도시꿀집>, 작은극장H <무니의 문>, 녹녹 <에브리바디퍼커션>, 마임공작소 판 <고재경 마임쇼>, 모던테이블 <다크니스 품바>, 포항거리예술축제 제작 <길 위의 만찬>, 팀 티셔츠전 <티셔츠전>, 거리에술 역량강화 <춤, 거리, 사람>

5.4. 2022

[프로그램] 공간 서커스살롱 <해피해프닝_일상 속 서커스>, 극단 즐겨찾기 <빅 웨이브>, 마린보이 <항해>, 준디아 <날갯짓>, 창작집단 움스x한동대 피지컬씨어터 <춤.거리.사람 Ⅱ>, 김현기 <남겨진, 남은>, 놀플러스 <연희괴담>, 박은주 <나, 無의 꿈>, 비주얼시어터 꽃 <숲을 거니는 싯구들>, 살거스 <미래의 편의점 ‘블루하우스’>, 아이모멘트 <요람>, 안해본소리 프로덕션 <팔도보부상 이야기보따리>, 음악당달다 <랄랄락으로 클리닉>, 작은극장H <돌멩이찌개>, <청년협동조합 뒷북 조금 다른 운동회>, 포스 <수직>, 음악그룹 더 튠 <월담 쓱 넘어오세요>, 말랑청년 <조금씩 천천히 움직일게>, 서유, 젤리장 <움직이는 거울,
공유하는 시선>, 생활문화축제 <시민판>

6. 크레딧

6.1. 2018년 크레딧

축제사무국
- 예술감독: 신혜원
- 프로그래머: 임현진
- 기술감독: 변향우

포항문화재단 생활문화팀
- 팀장: 문선욱
- 총괄: 허진광

6.2. 2019년 크레딧

포항거리예술축제 사무국
- 예술감독: 신혜원
- 프로그래머: 임현진
- 기술감독: 권석린, 임석현
- 시스템총괄감독: 변향우
- 사이트매니저: 심지현, 김대희, 심병록, 변수영
- 포항거리예술축제 자원활동가 송메이트: 강옥례, 김현수, 박도연, 박윤하, 이담비, 이춘희, 이현욱, 장우근
포항문화재단 생활문화팀
- 팀장: 김종필
- 총괄: 허진광
- 홍보, 운영: 김자영, 이효은

6.3. 2021년 크레딧

축제사무국
- 예술감독 신혜원
- 프로그래머 임현진
- 제작감독 권석린
- 기술감독 변향우
- 운영감독 이근섭
- 공연PD 백교희
- 사진 이동훈
- 영상 이다영

포항문화재단 생활문화교육팀
- 팀장 이주행
- 총괄 김수민
- 홍보 이솔
- 운영지원 심효정 유지혜 홍채연 김소정 이해지

6.4. 2022년 크레딧

축제사무국
- 예술감독 신혜원
- 프로그래머 임현진
- 제작기술감독 권석린
- 공간연출PD 정대원
- 공연PD 강유진

포항문화재단 생활문화교육팀
- 팀장 심세진
- 총괄 김수민
- 생활문화축제 시민판 김준수
- 홍보, 운영 장지수, 이현영

7. 여담

7.1. 2023년 축제 진행 여부 관련

8. 소셜미디어

9. 관련 기사

http://www.kbsecuritynews.com/166161 ‘2022 포항거리예술축제’ 개막‘..우리, 조금 더 가까이’ 오는 21일부터
https://www.h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96940 포항 송도솔밭 도시숲, 예술축제로 물든다
http://www.nw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4948 2021 포항거리예술축제 ‘조금 다른 만남’ , 성황리 폐막
https://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34969'포항거리예술축제' 한국문화예술위 2020대한민국공연예술제 공모 선정
http://www.senior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4928 포항문화재단 ‘제2회 포항거리예술축제’
https://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52702 포항시, 지역 거리예술가 육성 ‘안녕, 거리예술’ 참여자 모집
http://kor.theasian.asia/archives/219078 개막 앞둔 포항문화재단의 ‘제2회 포항거리예술축제’ 속속들이 들여다 보기
https://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01471 제2회 포항거리예술축제 시민·관광객 8만명 몰려 '대성황'
https://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17650 포항문화재단, 제1회 거리예술축제 참가작품 공모
http://www.contentskorea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87 포항문화재단, 제1회 포항거리예술축제에 참여 27개作 선정


[1] 출처: 포항문화재단 홈페이지 https://festival.phcf.or.kr/streetArt/intro.do)[2] 출처 : 경북일보 - 굿데이 굿뉴스(http://www.kyongbuk.co.kr[3] 2020년의 축제는 취소되었지만 대체 프로그램을 운영하였기에 축제 측에서는 5회라고 셈했다.[4] 취소 시 공연단체들은 행정 계약이 되어 있지 않으나, 공모 선정작으로 발표가 되어 있던 상황이었다. 포항문화재단은 취소로 인한 위약금을 지급하기 위한 근거가 불충분하다고 판단하였고, 당시 법적 효력은 없으나 차기년도 축제 개최 시 초청하겠다는 약정서를 작성하여 취소에 대한 대응을 갈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