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19 05:11:59

폭풍(최폭풍)

<colbgcolor=#003380><colcolor=#fff> 폭풍
파일:폭풍.png
본명 최영 (Choi Young)
출생 1996년 10월 29일 ([age(1996-10-29)]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9.5cm[1]
병역 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
국가대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 2015)
관련 링크
플랫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SOOP 아이콘.svg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
2.1. 테일즈런너를 시작하게 된 계기2.2. 스트리밍을 시작하게 된 계기2.3. 닉네임
3. 스트리밍 컨텐츠4. 약력5. 사건사고
5.1. 2022 카리타스 이벤트 유출 사건
6. 대회 경력

1. 개요

테일즈런너 역사상 최고의 선수에 가장 근접한 플레이어

대한민국테일즈런너 3세대 선수이자 現 SOOP 베스트 스트리머.

테일즈런너 주행 메타의 근간이 되는 유저이자 종랜의 틀이 만들어 질 때부터 지금까지 쭉 정상급 기량을 유지한 테일즈런너 선수이자 인플루언서. 공격적인 플레이 스타일과 특유의 완성도가 높은 루트로 찍어누르는 주행을 하는 게 특징이다. 테일즈런너에 대한 이해도가 매우 높고 편집에 능해 개인이 운영하는 유튜브에 테일즈런너 공략, 정보 전달, 플레이 영상을 주로 올리고 있다. 실력적으로도 많은 유저들의 인정을 받아 우스갯소리로 폭풍을 스쿠나[2]에 비견하고, 현재 기량이 절정인 선수들을 고죠 사토루[3]에 비견하기도 한다.

2. 역사

2.1. 테일즈런너를 시작하게 된 계기

유학 생활 중에 넥슨 게임을 못하게 돼서 할 만한 레이싱 게임을 찾다가 테일즈런너를 접했고, 이후에 테일즈런너 오프라인 행사에 참여해 처음 접한 테일즈런너 리그를 보고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되었다고 한다.

2.2. 스트리밍을 시작하게 된 계기

본인 팜[4]에 찾아와 주는 사람들이 늘어서 '그래도 내가 관심은 받고 있구나'라는 생각에 시작했다고 한다.

2.3. 닉네임

오글거리는 닉네임을 좋아해 폭풍으로 결정하게 되었다고 한다.

3. 스트리밍 컨텐츠

폭풍의 스트리밍 분위기는 유튜브 분위기와 대비될 정도로 다르다. 테일즈런너 이벤트 채널을 플레이하면서 시청자와 같이 게임을 하는 게 주된 콘텐츠. 본인만의 뚜렷한 콘텐츠는 없다. 다른 스트리머와의 합방도 매우 드물게 진행되는 편이고 주로 홀로 스트리밍을 이어나가는 편. 본인 언급으로 유튜브는 폭풍을 그리고 스트리밍은 본인을 표현하는 느낌이라고 밝힌 바가 있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인지 유튜브에는 스트리밍 편집본이 올라오지 않고 있다.

4. 약력

활동 초기엔 그저 그런 평범한 유저였으나 당시 장우영이 운영하는 길드의 핵심 간부 '군대'라는 유저의 간택을 받아 낙하산격으로 장우영의 길드에 들어갔다. 1년도 안 돼서 당시 런너탑이라는 평가까지 내려졌다. 군대라는 유저가 폭풍의 스승이라고 소문이 나있을 정도로 군대라는 사람의 영향이 컸을 것으로 예상[5]. 이후에 공식 리그를 전전하면서 커리어를 쌓아 올렸지만 줄곧 오프라인 리그에서는 약하다는 평가가 있었다. 하지만 계속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10주년 오프라인 행사에서 끝내 극복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본인 실력에 걸맞은 기량과 함께 월드 챔피언십 우승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이후에도 오프라인 무대에서 흔들리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꾸준히 우승 커리어를 쌓아갔고 최근까지도 정상급 기량을 유지하였고 20주년 K-챔피언십에서 강력한 우승 후보로 거론이 되었으나 충격의 16강 탈락을 했다. 한번도 결승에 못 가본 적이 없다고[6] 했는데 상향 평준화된 선수 풀, 이전과는 달리 본인에게 집중된 이목, 그리고 약 10년 만에 진행된 큰 무대라는 점이 발목을 잡은 걸로 보인다. 당시 경기력에 대한 해명은 핑계가 될 수 있다는 이유로 따로 하지 않고 있으나, 선수 캠에 잡힐 때마다 안색이 매우 안 좋은 모습을 보여줘 컨디션 난조로 인한 부진으로 추정. 다음에는 반드시 극복해 다시 최고가 되겠다는 게시글을 남기며 20주년 챔피언십 리그를 마무리하였다.

5. 사건사고

2013년 테런 3차 챔피언십 규정 위반 적발로 인해 트윙 회수와 60일 정지라는 처벌을 당했다. 당시 챔피언십은 개인전과 길드전이 동시 진행된 리그이며, 한 선수는 두 리그 중복 참여가 불가능했지만 1인 2계정으로 양대 리그 참가를 시도하고 적발되어 대리 경기라는 명목으로 제재를 당한 걸로 알려진 바가 있다.

5.1. 2022 카리타스 이벤트 유출 사건

6. 대회 경력

연도 대회명 순위
2011 테일즈런너 나는 런너다(길드전) 우승
2011 테일즈런너 we are the heroes(길드전) 우승
2012 테일즈런너 1차 챔피언십(개인전) 우승
2012 테일즈런너 2차 챔피언십(길드전) 우승(MVP)
2013 테일즈런너 대통령배 아마추어리그 (개인전) 준우승
2013 테일즈런너 대통령배 국가대항전 준우승
2015 2015 테일즈런너 썸머리그 (개인전) 준우승
2015 2015 테일즈런너 썸머리그 월드챔피언십 우승(MVP)
2015 2015 테일즈런너 길드리그 우승(MVP)
2016 2016 테일즈런너 썸머리그 (개인전) 준우승
2016 2016 테일즈런너 커플리그 우승
2017 2017 테일즈런너 취업리그 우승
2017 2017 테일즈런너 레인보우 리그 3위
2018 2018 테일즈런너 레인보우 리그 우승
2017 2018 테일즈런너 길드 친선전 우승(MVP)
2018 Top of Top 시즌 1 (개인전) 3위
2018 Top of Top 시즌 2 (개인전) 우승
2018 Top of Top 시즌 6 (개인전) 우승
2023 Top of Top Spin-off The duo 우승
2024 테일즈런너 테일즈컵 1위

처음 두 리그[7]를 제외하면 공식 리그 우승 9회, 그리고 테일즈런너의 리그 부재 시기에 진행되었던 가장 위상이 높았던 사설 리그[8] 우승 3회이다.
[1] 본인 언급[2] 주술회전 등장 캐릭터[3] 주술회전 등장 캐릭터[4] 테일즈런너 하우징 시스템[5] 탑스타장우영 유튜브에서 언급된 내용[6] 본인 언급[7] 온라인 길드전[8] 축동, 분노아린, 증식, 지방, 김살슈, 대박제상을 제외한 20주년 K-챔피언십 선수들은 해당 사설 리그에서 데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