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13 14:11:16

폴 코언

폴 코헨에서 넘어옴
<rowcolor=#fede58>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수상자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5px"
<colbgcolor=#820E1F><colcolor=#fede58> 1936 파일:핀란드 국기.svg 라르스 알포르스 | 파일:미국 국기.svg 제시 더글러스
1950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로랑 슈바르츠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아틀레 셀베르그
1954 파일:일본 국기.svg 고다이라 구니히코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장피에르 세르
1958 파일:영국 국기.svg 클라우스 로스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르네 톰
1962 파일:스웨덴 국기.svg 라르스 회르만데르 | 파일:미국 국기.svg 존 밀너
1966 파일:영국 국기.svg 마이클 아티야 | 파일:미국 국기.svg 폴 코언 | 알렉산더 그로텐디크(무국적) | 파일:미국 국기.svg 스티븐 스메일
1970 파일:영국 국기.svg 앨런 베이커 | 파일:일본 국기.svg 히로나카 헤이스케 | 파일:소련 국기.svg 세르게이 페트로비치 노비코프 | 파일:미국 국기.svg 존 톰슨
197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엔리코 봄비에리 |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멈퍼드
1978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피에르 들리뉴 | 파일:미국 국기.svg 찰스 페퍼먼 | 파일:소련 국기.svg 그리고리 마르굴리스 | 파일:미국 국기.svg 대니얼 퀼런
1982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랭 콘 |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 서스턴 |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 야우싱퉁
1986 파일:영국 국기.svg 사이먼 도널드슨 | 파일:독일 국기.svg 게르트 팔팅스 |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클 프리드먼
1990 파일:소련 국기.svg 블라디미르 드린펠트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본 존스 | 파일:미국 국기.svg 에드워드 위튼 | 파일:일본 국기.svg 모리 시게후미
1994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핌 젤마노프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피에르루이 리옹 |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장 부르갱 |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크리스토프 요코즈
1998 파일:영국 국기.svg 리처드 보처즈 | 파일:영국 국기.svg 윌리엄 티머시 가워스 | 파일:러시아 국기.svg 막심 콘체비치 | 파일:미국 국기.svg 커티스 맥멀런 | 파일:영국 국기.svg 앤드루 와일스(특별상)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21세기 수상자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820E1F><colcolor=#fede58> 2002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랑 라포르그 | 파일:러시아 국기.svg 블라디미르 보예보츠키
2006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드레이 오쿤코프 | 파일:러시아 국기.svg 그리고리 페렐만 | 파일:호주 국기.svg 테렌스 타오 | 파일:프랑스 국기.svg 벤델린 베르너
2010 파일:러시아 국기.svg 스타니슬라프 스미르노프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엘론 린덴스트라우스 | 파일:베트남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svg 응오바오쩌우 | 파일:프랑스 국기.svg 세드리크 빌라니
2014 파일:브라질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르투르 아빌라 | 파일:캐나다 국기.svg / 파일:미국 국기.svg 만줄 바르가바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마르틴 하이러 | 파일:이란 국기.svg 마리암 미르자하니
2018 파일:이란 국기.svg 코체르 비르카르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알레시오 피갈리 | 파일:독일 국기.svg 페터 숄체 | 파일:호주 국기.svg 악샤이 벤카테슈
2022 파일:프랑스 국기.svg 위고 뒤미닐코팽 | 파일:영국 국기.svg 제임스 메이나드 | 파일:미국 국기.svg 준 허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마리나 비아조우스카 }}}}}}}}}
}}}
<colbgcolor=#555><colcolor=#fff> 폴 조지프 코언
Paul Joseph Cohen
파일:mania-done-20190701153114_rzvpnuic.jpg
출생 1934년 4월 2일
미국 뉴저지주 롱 브랜치
사망 2007년 3월 23일 (향년 72세)
미국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
직업 수학자
학력 스타이브슨 고등학교 (졸업)
브루클린 칼리지 (중퇴)
시카고 대학교 (수학 / M.S.) (1954년)
시카고 대학교 (수학 / Ph.D.) (1958년)
지도교수 안토니 지그문트 (Antoni Zygmund)
소속 스탠퍼드 대학교 (수학과 / 명예교수)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1934년 미국 뉴저지주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난 수학자. 연속체 가설선택공리가 여타 ZF 공리계로부터 독립적임을 증명하였다.

2. 생애

본래 논리학과는 별 연관이 없는 조화해석을 연구하던 수학자였으며, 프린스턴 고등연구소에 펠로우로 들어간 것도 해석학 분야에서 쓴 논문 덕이었다. 그러나 프린스턴에서 다른 학자들과 교류하면서 연속체 가설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결국 연구 분야를 기초론 쪽으로 돌리기에 이른다.

이후 1963년 강제법(forcing)을 도입하여 '연속체 가설이 거짓이라고 가정하여도 ZFC 공리계와 모순이 없음'을 증명하였다. 참고로, 이보다 앞서 쿠르트 괴델은 '연속체 가설이 참이라고 가정하여도 모순이 없음'을 증명하였다. 이 두 증명을 합치면 '연속체 가설'을 참으로 가정하여도, 거짓으로 가정해도 모순이 없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 증명으로 인해서 괴델이 증명한 불완전성 정리에 해당하는 실제적인 명제가 확인되었다. 불완전성 정리가 발표되자 수학적으로 의미있는 명제 중에서도 증명도 반증도 불가능한 명제가 존재할 것인지에 대한 의견들이 나뉘었는데, 폴 코언에 의해서 확인사살이 된 것이다.

코언의 증명은 전문가들조차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코언이 연속체 가설의 증명불가함을 증명했을 때 다행스럽게도 이 분야의 최고 전문가인 쿠르트 괴델이 생존해 있었는데, 자신의 증명을 검증받기 위해 직접 괴델을 찾아가 괴델에게 자신의 논문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편집증을 겪고 있었던 괴델은 코언을 만나주지는 않고 논문만 받았다. 문을 열고 논문을 낚아챈 뒤 문을 바로 닫았다고 한다. 그리고 괴델은 논문을 검토한 뒤 논문의 결론을 인정하는 의미의 도장을 찍어 보내주었다고 한다. 후문에 의하면 괴델은 이 증명을 보고 매우 기뻐하면서 편지를 보냈다고 한다.

이 업적으로 코언은 1966년에 필즈상을 수상하였다. 아직까지도 역대 수상자 중 유일하게 수리논리학 분야에서 수상한 인물로 남아있다.

이후 스탠퍼드 대학 교수로 있다가 2007년 사망했다. 필즈상 수상 이후 리만 가설 연구에 매진했다고 하는데, 크게 언급되는 내용이 없는 거로 봐서 이 분야에서는 큰 업적을 남기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