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wcolor=#fede58>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수상자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5px" | <colbgcolor=#820E1F><colcolor=#fede58> 1936 | 라르스 알포르스 | 제시 더글러스 | ||
1950 | 로랑 슈바르츠 | 아틀레 셀베르그 | |||
1954 | 고다이라 구니히코 | 장피에르 세르 | |||
1958 | 클라우스 로스 | 르네 톰 | |||
1962 | 라르스 회르만데르 | 존 밀너 | |||
1966 | 마이클 아티야 | 폴 코언 | 알렉산더 그로텐디크(무국적) | 스티븐 스메일 | |||
1970 | 앨런 베이커 | 히로나카 헤이스케 | 세르게이 페트로비치 노비코프 | 존 톰슨 | |||
1974 | 엔리코 봄비에리 | 데이비드 멈퍼드 | |||
1978 | 피에르 들리뉴 | 찰스 페퍼먼 | 그리고리 마르굴리스 | 대니얼 퀼런 | |||
1982 | 알랭 콘 | 윌리엄 서스턴 | 야우싱퉁 | |||
1986 | 사이먼 도널드슨 | 게르트 팔팅스 | 마이클 프리드먼 | |||
1990 | 블라디미르 드린펠트 | 본 존스 | 에드워드 위튼 | 모리 시게후미 | |||
1994 | 예핌 젤마노프 | 피에르루이 리옹 | 장 부르갱 | 장크리스토프 요코즈 | |||
1998 | 리처드 보처즈 | 윌리엄 티머시 가워스 | 막심 콘체비치 | 커티스 맥멀런 | 앤드루 와일스(특별상)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21세기 수상자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colbgcolor=#820E1F><colcolor=#fede58> 2002 | 로랑 라포르그 | 블라디미르 보예보츠키 |
2006 | 안드레이 오쿤코프 | 그리고리 페렐만 | 테렌스 타오 | 벤델린 베르너 | |||
2010 | 스타니슬라프 스미르노프 | 엘론 린덴스트라우스 | / 응오바오쩌우 | 세드리크 빌라니 | |||
2014 | / 아르투르 아빌라 | / 만줄 바르가바 | 마르틴 하이러 | 마리암 미르자하니 | |||
2018 | 코체르 비르카르 | 알레시오 피갈리 | 페터 숄체 | 악샤이 벤카테슈 | |||
2022 | 위고 뒤미닐코팽 | 제임스 메이나드 | 준 허 | 마리나 비아조우스카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FAA FRS 테렌스 타오 Terence Tao | 陶哲軒[1][2] | |||
출생 | 1975년 7월 17일 ([age(1975-07-17)]세) | ||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 | |||
국적 | [[호주| ]][[틀:국기| ]][[틀:국기| ]]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
거주지 |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 ||
직업 | 수학자, 교수 | ||
신체 | 174cm, 59kg | ||
IQ | 145+SD15[3] | ||
분야 | 해석적 정수론, 편미분방정식, 미분방정식, 조화해석학, 확률론, 조합론 | ||
링크 | [4], 블로그, 대학 홈페이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fff,#ddd> 학력 | 플린더스 대학교 (수학 / 1991년 학사) 플린더스 대학교 (수학 / 1992년 석사) 프린스턴 대학교 (수학 / 1996년 박사) | |
소속 | UCLA (교수[5]) | ||
주 업적 | 그린 타오 정리 카케야 추측 타오 부등식 압축 센싱 호른 추측 골드바흐의 약한 추측 콜라츠 추측 부분적 증명 에르되시 불일치 문제 | }}}}}}}}} |
[clearfix]
1. 개요
중국계 호주인 수학자, 대학 교수.2. 생애
2.1. 가족사
부모와 함께 촬영한 사진 |
- 아버지 빌리 타오(Billy Tao, 陶象國)는 상하이에서 태어나 영국령 홍콩으로 이주하여 홍콩대학을 졸업한 소아과 의사다. 자폐증과 조기교육에 대해 연구를 했고, 2015년에 땅콩 알레르기에 관한 연구를 발표했다.#
- 어머니 그레이스(Grace Tao, 梁蕙蘭)는 홍콩대학 수학, 물리학과에서 최우수 졸업을 했던 중학교 교사였다. 테렌스 타오의 부모는 대학교 캠퍼스에서 만나 결혼한 사이로, 결혼 이후 호주로 이민을 갔다. 그리고 1975년에 테렌스 타오를 낳았다.
남동생들과 함께 촬영한 사진. 가운데가 트레버 타오, 오른쪽이 나이젤 타오. |
- 타오는 남동생이 두 명 있는데 둘 다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 출전한 기록이 있다.
아내, 자식들과 함께 촬영한 사진 |
2.2. 본인
1975년 7월 17일 호주 애들레이드에서 태어났다. 타오의 부모는 타오가 2살일 때 일반적인 사람들과 다르단 걸 알게 됐다. 가르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2살인데 5살짜리 아이가 배울 산술과 영어를 하기 시작한 것이었다. 자신의 아버지가 숫자와 문자를 어떻게 알았냐고 타오에게 물었을 때 타오는 세서미 스트리트라는 TV 프로그램을 보고 이해했다고 답했다.[6]타오의 부모는 생후 3년 5개월차에 타오를 초등학교에 조기입학 시키려 했다. 그러나 학교들은 타오의 입학에 대해 부정적이었는데, 일차적으로 그가 너무 어리며, 그 수준의 영재에 대해 초등교사가 전문적인 지식을 맞춰주기 어렵다는 이유였다.
그래서 호주 교육 연구원에 의해 초등학교를 다니지 않았고 7살때부터 미적분학과 군론을 독학하기 시작했으며, 7살에 애들레이드 고등학교에 들어갔다. 그리고 8살 때 SAT(미국 대학 수학 능력 시험)에서 수학과목 800점 만점에서 760점을 획득했다. 9살 때는 학부 난이도의 미적분을 마스터하고 대학 수준의 수학 과목에 참석, 뛰어난 수학 능력을 보였다.[7]
타오는 호주 아동발달심리학자 미라카 그로스(Miraca Gross)가 실험한 영재표본집단에서 Adrian Seng이라는 가명으로 소개되었다.[8] 이때 Adrian은 스탠포드-비네(Stanford-Binet) 검사에서 비율지능지수가 220이었으며 환산된 표준편차지수는 175+로 측정 가능한 최고수치였다.
1986년(10세), 1987년(11세), 1988년(12세) 3년 동안, 타오는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 출전했으며 각각 순서대로 동메달, 은메달, 금메달을 수상하였다. 금메달 수상 당시 그는 겨우 12세였고, 이는 각각 IMO 역사상 최연소 메달을 수상한 기록으로 오늘날까지 남아있다.
14세의 나이로 타오는 수학 연구소에 들어가고, 15살 때 첫 번째 조수 논문을 발표. 16살의 나이에 플린더스 대학교 학사와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2년에 타오는 원 풀브라이트 장학금으로 대학원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미국으로 가서 4년 동안 대학원 생활을 했다.
이후 그는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1995년 울프 수학상 수상자인 일라이어스 M. 스타인(Elias M. Stein)[9]의 지도하에 박사 학위를 20세[10]의 나이에 취득하고 1996년 캘리포니아 대학교/로스앤젤레스 캠퍼스(UCLA)의 교수진에 합류해 24살이 되었을 때 정교수로 승진했다. 이는 UCLA 역사상 가장 어린 나이에 교수로 취임한 것이다.
3. 경력과 업적
타오는 상당한 수상 경력을 갖고 있다. 그는 2000년도에 살렘 상을, 2002년 Bocher 기념 상 수상, 2003년 클레이 연구 분석에 대한 공헌으로 2004년 호주 수학 학회 훈장, 2005년 카케야 추측에 대한 논문 발표로 2006년에 레비 L. 코넌트 상 수상, 수학자 최고권위인 필즈상, 그밖에 각종 수학상들을 수상했다.그는 왕립 학회 연구원, 호주 수학 아카데미, 국립 과학 아카데미,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그리고 미국 수학 협회의 회원이다.
2004년, 타오는 압축 센싱(Compressed Sensing)이라는 새로운 신호처리 기법을 만들기도 했다. 그의 동료였던 스탠퍼드 대학교 수학 교수 엠마누엘 캉데(Emmanuel Candès)는 자기공명영상(MRI)을 보다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해 방사선 전문의와 했던 고민을 타오에게 말했고 타오는 다음 날 솔루션을 만들었다#. 압축 센싱은 저해상도 정보 샘플에서 고해상도 데이터를 얻는 수학적 기법으로 MRI의 처리속도를 증가시켜 목숨이 경각에 달한 환자의 생명을 살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얼굴인식, 군사정보수집, 스마트폰 카메라, 다른 은하를 탐사하는 전파천문학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2005년, 그는 수학자 벤 그린과 함께 소수의 수열이 임의의 길이의 등차수열을 포함하고 있다는 그린-타오 정리를 발표해 그 공헌으로 2006년에 필즈상을 받았고 같은 해에 맥아더상을 받았다.[11]
2015년, 테렌스 타오는 에르되시 불일치 문제를 증명하였다. 에르되시 팔은 이 문제에 500달러의 상금을 걸었기 때문에 그는 그 상금을 받았다.
2019년, 80년 동안 안 풀리던 콜라츠 추측을 부분적으로 증명했다는 논문을 발표하였다.[12]
2020년, 복소 다항식의 임계점과 영점 사이의 관계에 대한 센도브 추측을 충분히 큰 차수에 대하여 증명했다. #
타오의 주요 연구 과목은 조화해석학, 편미분방정식, 조합론, 해석적 정수론, 표현론등의 고차원적 수학이며 뉴욕 타임즈, CNN, USA 투데이, POPULAR SCIENCE, 그리고 다른 각종 많은 언론에 높은 지능의 수학자로 소개되었다.
현재까지 타오는 300여 개의 수학 연구 논문을 발표하고,[13] 17개의 도서를 쓰는 등 활발한 저서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 본인의 주요연구 분야가 본래는 조화해석학이었는데, 조합론, 정수론, 미분방정식과 같은 수학의 다양한 갈래로 연구분야를 확장시켰다는 점은 그의 독특한 특징이다.[14] 프린스턴 수학과 교수진 사이에서는 최종병기 혹은 데우스 엑스 마키나 급 존재로 여겨지는 듯하다. 찰스 페퍼먼[15] 교수가 말하길 난제에 부딪쳤을 때 타오가 관심을 가지면 풀린다고.
4. 수상
- 국제수학올림피아드 금상(1988)
- 살렘 상 (2000)
- 보셰 기념상 (2002)
- 클레이 연구상 (2003)
- 호주 수학 협회 메달 (2005)
- 오스트로프스키 상 (2005)
- 레비 L. 코넌트 상 (2005)
- 필즈상 (2006)
- 맥아더상 (2006)
- SASTRA 라마누잔상 (2006)
- 슬로안 연구 펠로십 (2006)
- 왕립학회 회원 (2007)
- 앨런 T. 워터맨상 (2008)
- 온사게르 메달 (2008)
- 킹 파이잘 국제상 (2010)
- 네이머스 상 (2010)
- 포여 죄르지 상 (2010)
- 크라포르드 상 (2012)
- 시몬스 재단 표창 (2012)
- 브레이크스루상[16] 수학부문 (2014)
- 왕립학회 로열 메달 (2014)
- 미국 출판협회 PROSE 어워드 (2015)
5. 여담
- 영재 교육이 자신을 더 크게 성장시켰다고 인정했지만, 영재 교육을 받느라 공교육을 받지 못한 것을 아쉬워하는 뉘앙스의 말도 했다.[17] 그러나 아버지 빌리 타오는 먼저 가족, 지역 사회, 호주라는 환경에 아들이 먼저 완벽히 적응하길 바랐다고 하여 주변의 재촉에도 상급 학교 진학을 다소 늦추었다고 한다. # 연구와 같은 분야에 있어서 사회적 소통의 중요성을 본인도 매우 강조한다.
- 엄청난 재능을 가졌다고 평가받으나, 자신의 블로그에 재능만 믿고 자신만만하다가 박사 구술 시험에서 거의 떨어질 뻔했다는 일화를 공개하기도 했다. ## 본인은 이 사건을 계기로 더 수학에 정진했다고 밝혔다.
- 2009년의 인터뷰에 따르면 본인도 한 번에 한두 시간 이상 집중력을 유지하지 못하는데, 정말 컨디션이 안 좋으면 이메일 답장 등 가벼운 일 위주로 일을 처리한다고 한다. 강연 등으로 피곤하지 않을 때 수학을 깊이 탐구할 수 있다고 한다. 자신에게도 안 풀리는 사항이 있는데 그런 일은 다른 가벼운 일들을 하고 나서 다시 한다고 한다. #
- 국내에선 서울대학교에서 첫 번째로 강연을 했으며, 같은 시기에 서강대학교에서도 강의했었다. 이후 KAIST의 권순식 부교수의 요청으로[18] 2017년 카이스트에서도 강연한 바 있다. 서울대 강연에서는 “학창시절 작문수업을 소홀히 했는데 나중에 논문을 쓸 때 아쉬웠다. 수학과 관계없어 보이는 학문이 나중에 더 필요할 수 있다”고 언급하고, 수학 공부에서도 스승이 중요하다면서 그 근거로 “고교 시절 자주 만났던 은퇴한 수학 교수가 2차 대전에 참전해 포의 궤적을 계산했던 얘기를 해주곤 했다”며 “그때 수학이 현실에서 매우 유용한 학문이란 걸 알게 됐다”고도 했다. #
- 테렌스 타오는 수학 난제를 숙제인 줄 알고 풀었다는 일화가 있는데, 실제로는 교수가 난제라고 소개해준 문제인데 타오가 수업 시간 동안 풀어서 증명을 냈다고 한다.
그게 더 미친것 같은데어쨌든 학부생 시절에 난제를 푼 것 자체는 사실이다. 천재들에게 으레 딸려 오는 일화인 듯. 참고로 수학 난제를 숙제인 줄 알고 풀었다는 일화의 주인공은 조지 댄치그이다. 존 밀너(John Willard Milnor)도 비슷한 일화가 전해지지만, 당사자가 숙제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동생 나이젤 타오(Nigel Tao, 오른쪽)와 함께 방송에 출연하기도 했다. |
- 유소년 때부터 천재로 유명했기 때문에 방송, 기사 등에 꾸준히 출연했었다.
- 테렌스 타오의 블로그에 가보면 그가 남긴 다양한 수학 관련 글들을 읽을 수 있다. 2021년 11월 18일자 글에서는 평소에 수학 관련 글을 올리던 것과는 달리 '수학 교육자로서 학생들이 수학에 대해 관심을 더 가져 주었으면 좋겠다'는 내용의 글이 올라왔다. 그런데 '그런 세상이 온다면 이렇게 되지 않을까'라며 영상을 하나 올렸는데 보면 한국인들이 cos(x)를 외치며 춤을 추고 있다[19]
이 친구에게 슈뢰딩거 댄스도 알려주고 싶군 - EBS 위대한 수업, 그레이트 마인즈에 출연했다.
6. 같이보기
[1] 한국식 독음은 도철헌.[2] 중국어 표기법상으로는 타오저쉬안.[3] 인터넷에는 그의 IQ가 183SD15라는 속설이 있다. 그러나 공신력 있는 지능검사조차 3표준편차(145)보다 훨씬 위의 점수는 측정 표본이 극히 적어(0.13% 이내) 통계적 오차가 매우 커진다. 그래서 더 높은 수치를 제시할 경우, 표준오차(SEM) 문제로 인해 수치 놀음이 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어린 시절 그가 받은 스텐포드-비네 검사의 경우 비율지능지수(Ratio IQ)는 정신연령/실제연령 × 100으로 계산되어, 측정된 IQ가 정규분포를 따르는 경향이 강한 웩슬러 지능검사와 다르며, 단지 정신연령이 매우 높았다는 의미 정도를 가진다. 본인은 대중적 인터뷰에서 본인의 IQ를 직접 언급한 적이 없다. IQ보다는 최고 권위의 수학상들을 휩쓰는 모습과, 그린-타오 정리 등 난제 해결에서 보여주는 모습이 이미 초인의 경지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어린 시절부터 보여준 수학적 업적 하나만으로도 인류 최고 수준의 지성을 보여주고 있다.[4] IEEE 산하 저널들을 통틀어서 가장 높은 논문수 대비 피인용수를 가지고 있는 학자중 한명이다.[5] 1999~[6] 수학에 대한 첫번째 기억은 2살때 할머니가 창문을 청소하던 도중 수를 쓰는 것을 보조했던 일이 기억난다고 한다.[7] 다만 정식 대학 입학 후 수업을 참여한 것은 아니기에 아래에 나오는 IMO 출전과 모순되지 않는다.[8] 타오는 미라카에게 영재교육상담을 받았으며 Adrian과 타오는 부모가 홍콩 출신이라는 성장경력과 나이가 정확하게 일치한다.[9] 해석학 전공자라면 한 번쯤 들어 봤을 Princeton Lectures in Analysis 시리즈의 저자이다. 벨기에계 이민자로 1963년부터 55년 동안 프린스턴 대학교 수학과 교수로 재직하다 2018년 87세 나이로 사망했다.[10] 20세 11개월.[11] 몇몇 대학 정수론 교재에 이 정리의 역쯤 되는 디리클레의 정리(첫째항과 공차가 서로소인 등차수열 안에 포함된 소수는 무수히 많다)가 소개되어 있다. 물론 증명은 학부 수준으로는 불가능하므로 생략.[12] 그가 증명한 것은 콜라츠 추측의 반례가 존재한다면 빈도는 0에 가깝다는 것이다.[13] 보통 수학 논문은 1년에 한 편 쓰기도 힘들다. 타오의 교수 경력이 약 20년쯤 되니 한 달에 한두 편을 쓰는 셈.[14] 전문화와 세분화가 고도로 이루어진 현대수학계에서 각기 다른 분야를 연구하고 탁월한 성과를 일으키는 것은 흔치 않다.[15] 프린스턴 대학교의 교수. 그도 마찬가지로 월반을 했는데, 14세 메릴랜드 대학교 졸업, 17세 석사 학위 취득, 20세 박사 학위 취득, 24세 교수 임용, 29세 필즈상 수상 지나가는 14세대학졸업 17세석사학위 29세필즈상 교수 이 발언을 했을당시 페퍼먼 교수는 50대 중년이었기 때문에 각각 젊었을때로 비교하면 능력 자체는 엇비슷할듯 하다[16] 이 상은 상금이 미화 300만 달러, 한화로 33억 8천만원에 달한다.[17] 너무 어릴 때부터 순수 영재 교육만 받아서 사회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고 했다. 그리고 호주의 초등학생들과 대면한 시간을 가졌는데 여기에서도 "대학에 들어가서부터는 공부하려면 다른 사람들과 교류가 매우 중요하다."라는 말을 해줬다.[18] 지금까지 타오가 받은 한국인 제자는 이 사람이 유일하다.[19]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주관한 2018년 Science Night Live 현장이다. 누가 봐도 SNL에서 따온 이름이다. 장소는 옥타곤. 과기부 블로그에 나온 바에 따르면 공연, 강연, 퍼포먼스 등 다양한 소통 활동을 통해 성인들에게 과학에 관심과 흥미를 갖게 하기 위한 활동이라고 한다. 공연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