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프로레슬링 기술로서의 서브미션}}}에 대한 내용은 [[프로레슬링/기술/관절기]]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프로레슬링/기술/관절기#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프로레슬링/기술/관절기#|]]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프로레슬링 기술로서의 서브미션: }}}[[프로레슬링/기술/관절기]]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프로레슬링/기술/관절기#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프로레슬링/기술/관절기#|]]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프로레슬링 경기 스타일 유형 | ||||||
브롤러 | 하이 플라이어 | 테크니션 | 올드스쿨 | 서브미션 | 파워하우스 | 자이언트 |
올라운더 | 몬스터 | 쇼 맨 | 힐 스타일 | 스턴트맨 | 하드코어 | 슈터 |
왕도 스타일 | 하드 히팅 | 루차 리브레 | 스트롱 스타일 | U계 |
| |
인디언 데스락을 시전하는 핀레이[1] | 크로스페이스를 시전하는 크리스 벤와[2] |
1. 개요
그라운드 그래플링이나 관절기에 무척 치중한 유럽식 레슬링을 선호하는 레슬러들의 경기 스타일을 통칭하는 말이다.2. 경기 스타일
테크니션의 하위 계통으로, 경기에서 탭을 받아낼 때 사용되는 서브미션 계열의 기술을 주력기로 사용하는 레슬러들의 경기 스타일이다.이런 경기 스타일을 가진 선수들은 대개 '서브미셔너'라고 불린다.[3]
Submissions
3. 특징
서브미셔너의 주력기인 서브미션들은 상대에게 지속적으로 고통이나 피해를 가하여, 탭을 치고 항복을 유도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적을 각본상으로 기절시켜 실신패를 하게끔 하는 기술들이다. | |
코키나 클러치를 시전하는 사모아 조 | 샤프슈터를 시전하는 브렛 하트 |
이런 서브미션에 사용되는 많은 관절기들은 유럽식 캐치 레슬링의 동작들에서 파생되었는데, 유럽식 캐치 레슬링은 전술한 체인 레슬링의 개념에 가장 근접함과 동시에, 거의 질질 끌다시피 할 정도로 링 바닥에 상대방을 눕혀놓고 바짝 달라붙어 철저히 조이고 뒤집는 경기 양상을 띠는 유형이기도 하다.
하지만 유럽식 레슬링 특유의 느린 템포는 다소 호불호가 갈리고, 올드 스쿨과 비슷하게 지루해 보인다는 단점이 있어서[4], 현대 프로레슬링의 서브미셔너들은 오로지 서브미션 위주의 경기를 하지 않는 대신, 자신의 무브셋 중 피니쉬나 시그니처 무브로 서브미션을 채택하여 경기 중 이 서브미션을 통한 운영을 곁들이는 절충안을 선택한다.
서브미션을 통한 경기 운영은 치열한 공방전을 강화해주는 데 무척 효과가 좋기 때문에, 최근에는 선수 자신의 경기 스타일이 굳이 서브미셔너가 아니더라도 자신의 무브셋에 서브미션을 하나쯤은 추가해 두는 편이다.
4. 그 외
서브미션의 위상은 대개 단체의 성향이나 선수의 입지에 따라 요동치는 편이다.커트 앵글의 앵클 락은 존 시나[5], 스티브 오스틴[6], 언더테이커[7] 등 탭아웃과는 거리가 먼 선수들을 상대로 탭을 받아낸 강력한 위상을 가지고 있지만, 크리스 제리코의 월스 오브 제리코는 미드카더로 활동한 적이 많던 제리코 특성상 메인 이벤터를 상대로 탭을 잘 받아내지 못하는 등 영 애매한 위상을 지닌 기술이었다.
또한 위상이 높은 선수가 기술을 사용하더라도 그 기술이 무브셋에서 얼마나 큰 비중을 차지하는지도 큰 영향을 끼친다. 더 락의 샤프슈터가 대표적인 예시.
| |
앵클 락을 시전하는 커트 앵글[8] | 월스 오브 제리코를 시전하는 크리스 제리코[9] |
서브미션이 메인 피니쉬가 아니라도 쓰이는 경우가 있는데, 거구가 작은 선수에게 서브미션을 쓰면 짓눌러 이긴다는 이미지를 연출할 수도 있고, 반대로 너무 거구라서 통상적인 피니쉬로 이길 수 없고 피니쉬가 아닌 기술로 이기는 장면을 연출시키기도 애매할 때 대체 기술로 사용할 수도 있다.
5. 선수 목록
아래 선수들은 서브미션이 피니쉬 기술에 포함되거나 혹은 정식 피니쉬는 아니어도 종종 피니쉬로 쓰기도 한다.- 브렛 하트 : 테크니션 + 서브미션
- 사모아 조 : 테크니션 + 서브미션 + 파워하우스
- 잭 세이버 Jr. : 스트롱 스타일 + 서브미션(유로피언 스타일)
- 커트 앵글 : 테크니션 + 서브미션 + 파워하우스
- 크리스 벤와 : 테크니션 + 서브미션
- 크리스 제리코 : 테크니션 + 서브미션 + 쇼 맨
- 언더테이커 : 브롤러 + 자이언트 + 몬스터 + 서브미션
- A-키드 : 서브미션 + 올라운더
- 나탈리아 네이드하트 : 테크니션 + 서브미션 + 파워하우스
- 드류 굴락 : 서브미션 + 테크니션 + 올라운더
- 디오나 퍼라조 : 테크니션 + 서브미션
- 랜스 스톰 : 테크니션 + 서브미션
- 론다 로우지 : 서브미션 + 스트롱 스타일
- 르네 듀프리 : 테크니션이지만 서브미션을 피니쉬로 쓰기도 했다.
- 릭 플레어 : 테크니션 + 서브미션
- 마티 스컬 : 힐 스타일 + 서브미션
- 메르세데스 모네 : 올라운더 + 서브미션
- 베키 린치 : 테크니션 + 서브미션
- 브록 레스너 : 테크니션 + 파워하우스 + 서브미션
- 브루터스 비프케익 : 테크니션 + 서브미션
- 샬럿 플레어 : 올라운더 + 힐 스타일 + 서브미션
- 셰이나 베이즐러 : 서브미션 + 스트롱 스타일 + 힐 스타일
- 스팅 : 테크니션 + 서브미션
- 아스카 : 테크니션 + 올라운더 + 서브미션
- 아이언 쉬크 : 서브미션 + 브롤러
- 알베르토 델 리오 : 테크니션 + 루차 리브레 + 서브미션
- 에디 게레로 : 테크니션이지만 악역시절, 그리고 선역시절이라도 비열한 악역을 상대할땐 심판이 안볼때 상대의 다리에 체어샷을 날린뒤 다리에 서브미션을 걸어서 탭아웃을 받아내곤 했다.
- 윌리엄 리갈 : 올드 스쿨 + 서브미션
- 잭 갤러허 : 올드 스쿨 + 서브미션
- 잭 깁슨 : 서브미션 + 올라운더
- 잭 스웨거 : 테크니션 + 서브미션
- 제이미 노블 : 테크니션 + 서브미션, 크루저웨이트급들 중엔 드물게 서브미션을 피니쉬로 쓰던 선수중 한명.
- 조 그레이브스 : 파워하우스 + 서브미션
- 찰리 뎀프시 : 서브미션 + 테크니션
- 찰리 하스 : 테크니션이지만 서브미션도 종종 사용한다.
- 크리스 매스터스 : 테크니션 + 서브미션
- 켄 샴락 : 서브미션 + 브롤러 + 스트롱 스타일
- 티모시 대처 : 올드 스쿨 + 서브미션
- 피트 던 : 힐 스타일 + 브롤러 + 테크니션 + 서브미션
- 핀레이 : 브롤러 + 서브미션(유로피언 스타일)
- 훅 : 브롤러 + 테크니션 + 서브미션
[1] 피폭자는 릭 플레어.[2] 피폭자는 트리플 H. 2004년 레슬매니아 20에서 트리플 H, 숀 마이클스, 크리스 벤와의 트리플 쓰렛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쉽에서 나온 장면으로 이는 해당 회차에서 최고의 명장면으로 손꼽힌다.[3] 영어권에서는 submission specialist라는 호칭을 자주 쓴다.[4] 그래플링과 관절기의 비중이 높다는 점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올드 스쿨과 별 다른 부분은 없다.[5] WWE 노 머시(2003)[6] WWF 언포기븐(2001)[7] 2002년 7월 4일 스맥다운. 정확히는 탭아웃이 아니라 무승부였다.[8] 피폭자는 라이노[9] 피폭자는 랜디 오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