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ASUKA / アスカ |
1. 프로필
| | |
| RAW | |
| <colbgcolor=#ffffff,#1c1d1f><colcolor=#eb1926> 링네임 | <colbgcolor=white,#1f2023> 카나([ruby(華名, ruby=かな)]) Asuka([ruby(明日華, ruby=あ す か)]) |
| 본명 | 우라이 카나코[1] [ruby(浦井, ruby=うら い)] [ruby(佳奈子, ruby=か な こ)] |
| 생년월일 | 1981년 9월 26일 ([age(1981-09-26)]세) |
| 출생지 | 오사카부 오사카시 |
| 신장 | 160cm (5’3”) |
| 체중 | 62kg (140 lbs) |
| 혈액형 | O형 |
| 학력 | 오사카예술대학 단기대학부 졸업 |
| 별명 | 무파벌 여왕([ruby(無派閥, ruby=む は ばつ)][ruby(女王, ruby=じょうおう)]) 고고한 반란여자([ruby(孤高, ruby=こ こう)]の[ruby(反乱女子, ruby=はんらんじょ し)]) 여자 프로레슬링계의 이단아 ([ruby(女子, ruby=じょ し)]プロレス[ruby(界, ruby=かい)]の[ruby(異端児, ruby=い たん じ)]) The Empress of Tomorrow[2] |
| 데뷔 | 2004년 6월 16일 vs 레오나[3] |
| 유형 | 테크니션 + 서브미션 + 올라운더 |
| 피니쉬 무브 | 아스카 락[4] 아스카 킥 그린 미스트[5] 러닝 힙어택[6] 스팅크페이스 |
| 주요 커리어 | DDT 아이언맨 헤비메탈웨이트 챔피언 5회 JWP 오픈웨이트 챔피언 1회 쿠주 프로 디바 챔피언 1회 NEO 태그팀 챔피언 1회 웨이브 태그팀 챔피언 2회 레이나 월드 태그팀 챔피언 1회 레이나 월드 위민스 챔피언 1회 스매쉬 디바 챔피언십 토너먼트 우승(2011) 스매쉬 디바 챔피언 2회 NXT 위민스 챔피언 1회 WWE RAW / WWE 위민스 챔피언 3회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 1회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 4회 2018년 여성 로얄럼블 우승 WWE 위민스 머니 인 더 뱅크(2020) 우승 |
| 테마곡 | The Future (2015~2022) Warriors (2019~2020, 2023 ~)[7] You Can't Hide (2023~2024) The Future (2025) (2025~) |
| SNS | |
2. 소개
"No one is ready for Asuka!"
"누구도 아스카의 상대가 될 수 없어!"
"누구도 아스카의 상대가 될 수 없어!"
일본의 WWE 소속 프로레슬러.
여성 로얄럼블 최초 우승, 아시아인 최초 WWE 여성 그랜드 슬래머, 아시아인 여성 최초 머니 인더 뱅크 우승자, 더블 타이틀 홀더, 일리미네이션 체임버 우승, NXT 전승 <무패행진 177연승 달성>, 등.. WWE에서 레슬매니아 승리 제외 모든 것을 이뤘다. 아시아권 여성들의 커리어 로드를 만들며 신세대 개척자로서 아시아권 여성 중 가장 성공한 프로레슬러라고 볼 수 있다.
3. 커리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스카(프로레슬러)/커리어#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스카(프로레슬러)/커리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여담
- 그래픽 디자이너 외에 미용 쪽에도 종사했다. 화려한 헤어스타일과 페이스페인팅도 일본에서 활동하던 시절부터 직접 해왔다.
- 본인의 사생활에 대한 정보 통제를 굉장히 철저히 하는 걸로 유명하다. 그나마 알려진 정보는 "자식이 있다"는 것으로, 여자 운동선수에게 임신과 출산은 최소 1년 이상의 긴 공백기를 갖게 하지만 아스카는 만성 신장염으로 1차 은퇴를 했던 시기를 제외하고는 매년 꾸준히 프로레슬러 활동을 했기 때문에, 1차 은퇴 시기에 조용히 아이를 낳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이 있다. 남편의 존재도 전혀 알려져 있지 않은 걸로 보아 출산 후 빠르게 이혼했거나 비혼 출산을 했을 가능성도 있다.
- 적지 않은 나이 때문에 일본 팬들 사이에서는 오사카 아줌마(大阪のおばちゃん)라고 불리고 있다. 특히 상대와의 대립 진행 중에 흥분하면 일본어가 폭발하는데 이 때 모습은 영락없는 오사카 사람.[8]
- 1997년 16살 때 자신의 어머니보고 "WWE 슈퍼스타가 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아스카는 어머니한테 "바보 같은 소리 하지말고 대학에나 가라"면서 혼이 났다고 한다.
- 자신의 팬아트를 리트윗하거나, 본인의 무패 행진을 자랑하는 등 트위터 활동이 활발한 편이다. 참고로 트위터에서 1인칭 표현으로 ワテ(와테)를 쓰는데, 다소 독특한 표현이긴 하나 이는 간사이 방언이기 때문에 오사카 출신인 아스카가 충분히 쓸만한 표현이긴 하다.
- Kana Chan TV라는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주로 자신의 일상을 위주로 각종 먹방/쿡방/게임 하는 모습이 올라오는 편. 한국어 자막도 지원되니, 팬이라면 보기 편할 것이다.
- 상당한 수준의 겜덕후로 위에 언급된 개인 유튜브 채널에서 게임하는 영상을 자주 올리며, 동료 레슬러인 재비어 우즈의 Up Up Down Down 단골 게스트중 한 명이다. 재비어와 함께 고향 오사카에 있는 캡콤 본사를 방문하는 영상을 보면# 게임을 엄청 좋아하고 관심도 많다는 사실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버추어 파이터 5: 얼티밋 쇼다운의 모션캡처에도 참가한 이력이 있다. 본인 X(트위터)에도 레슬링 이야기를 제외하고 가장 많은 것이 게임, 그것도 고전 게임 이야기.
일본 아케이드 게임의 황금기인 8~90년대에 10~20대를 지낸 연령대이기 때문에 아케이드 게임에도 흥미가 많은 것으로 보이며, 기판까지 수집하고 있다. 빅 토너먼트 골프, 메탈슬러그 2, 메탈슬러그 X, 메탈슬러그 3 등의 기판을 시작으로정보 출처, 오락실 하나 차려도 될 수준으로 아케이드 게임 기판을 많이 갖고 있다. 2025년 1월 기준으로 대략 500장 정도라고. 심지어 2025년 1월 말을 끝으로 폐점하게 되는 교토의 유명 게임센터 a-cho의 가동 기판 일부를 인수하였으며 그중에는 도돈파치 최대왕생 기판, 그것도 12년간 원코인 클리어가 나오지 않았던 인바치를 세계 최초로 원코인으로 잡은 기록이 남은 바로 그 기기도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화룡점정으로 자신의 컬렉션을 보관할 개인 오락실을 만들기 위해 교토의 유명 건축회사에 의뢰하여 개인 빌딩까지 짓고 있다. 지하에 골프 시뮬레이터, 옥상에 BAR도 설치할 예정이라고.https://youtu.be/r-9QcAmMYPI?si=edsPzdR-4YbWZHgg
- 동명으로 활동하고 있는 트랜스젠더 레슬러 중 아스카란 링네임을 썼던 VENY라는 선수가 있으며, 해외에서 경기를 뛸 때는 혼동을 막기 위해 베니란 이름으로도 활동한다. 2015년에 일본 단체 프로레슬링 웨이브에서 데뷔했으며, 2021년 AEW 위민스 월드 챔피언십 토너먼트 예선전에 참가하기도 했고, 2023년부터는 베니로만 활동한다.
- 홀로라이브 버추얼 유튜버 사쿠라 미코가 WWE 2K22를 플레이 할 때 자기를 커스터마이징한 캐릭터로 아스카와 매치를 붙였다 일방적으로 털린 영상을 봤는지 트윗으로 반응해주기도 했다.
- 불참한 2022년도 레슬매니아를 제외하고 지금까지 참여한 레슬매니아에서 6연패 행진을 달리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2024년 레슬매니아에서는 태그팀으로 참여했으나 패배하면서 기록이 중단되었다.
- 일본 여자 프로레슬링 업계 및 이쪽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몇몇 일본 언론들과 그다지 사이가 좋지 않은 듯 하다. 2023년 8월 14일 본인의 트위터를 통해 싸잡아 비판했을 정도#. 이때 이요 스카이가 WWE 위민스 챔피언에 오르면서 일본 언론들이 대서특필했는데 이 과정에서 이미 한참전에 북미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 아스카를 은근슬쩍 깔아뭉갰고 그간 일본 언론에 대해 감정이 좋지 않았던 아스카가 더 이상 참지 못하고 폭발해버린 것.[9] 일반적인 왕도 레슬러 코스를 거치지 않고 마이웨이를 걸어 지금의 자리에 오른 그녀를 그쪽 업계에선 안 좋게 보는 모양이며 특히 언론 측을 통한 일종의 왕따(이지메) 비스무리한 대접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WWE2K25에서는 데미지 컨트롤 멤버 중에 다들 선역인데 혼자만 악역인 특이 사항으로 나왔다. 이는 데미지 컨트롤이 턴페이스 할 때 아스카 혼자 부상으로 결장 중이어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10]
- 부상에서 복귀한 이후엔 파트너인 카이리를 마구 윽박지르면서 가스라이팅을 하는 악역을 수행 중인데, 칸사이벤으로 거칠게 마이크웍을 하는 모습에서 마지마 고로가 연상된다는 평도 있다.
카이리짜응~ 이요짜응페이스 페인팅도 기존의 여우요괴같은 페인팅에서 지네를 그려넣은 페인팅으로 바뀌었다. 아스카의 개인 유튜브 채널에서도 해당 기믹의 케이페이브를 지키면서 영상을 올리고 있는 중이다.
5. 둘러보기
| WWE 그랜드 슬램 달성자 목록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232929><colcolor=#fff>남성 달성자 - 이전 기준 총 12명 / 현행 기준 총 17명 | |
| 이전 기준 | 숀 마이클스 · 트리플 H · 케인 · 크리스 제리코 · 커트 앵글 · 에디 게레로 · 랍 밴 댐 · 부커 T · 제프 하디 ·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 · 크리스찬 · 빅 쇼 | |
| 현행 기준 | 커트 앵글 · 에디 게레로 · 에지 · 빅 쇼 · 미즈 · 대니얼 브라이언 · 크리스 제리코 · 딘 앰브로스 · 로만 레인즈 · 랜디 오턴 · 세스 롤린스 · 제프 하디 · 코피 킹스턴 · 레이 미스테리오 · AJ 스타일스 · 케빈 오웬스 · 핀 밸러 | |
| 여성 달성자 - 총 7명 | ||
| 베일리 · 아스카 · 사샤 뱅크스 · 샬럿 플레어 · 리아 리플리 · 베키 린치 · 이요 스카이 | ||
| 같이 보기: 트리플 크라운 (하위 등급) · 후보 선수 | }}}}}}}}} | |
| 세계 프로레슬링 단체 여성 그랜드슬램 달성자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북미 ]⠀ {{{#!wiki style="margin:-5px 0 -5px" | <colbgcolor=#000><colcolor=#dfca4a><rowcolor=#dfca4a> 링네임 단체 | 챔피언십, 횟수 |
| 베일리 (WWE) | WWE 위민스 챔피언 2회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 2회 NXT 위민스 챔피언 1회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 2회 | |
| 아스카 (WWE) | WWE RAW 위민스 챔피언 3회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 1회 NXT 위민스 챔피언 1회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 4회 | |
| 사샤 뱅크스 (WWE) | WWE RAW 위민스 챔피언 5회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 1회 NXT 위민스 챔피언 1회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 3회 | |
| 샬럿 플레어 (WWE) | WWE RAW 위민스 챔피언 6회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 7회 NXT 위민스 챔피언 2회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 1회 | |
| 리아 리플리 (WWE) | WWE RAW 위민스 챔피언 2회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 2회 NXT 위민스 챔피언 1회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 1회 | |
| 베키 린치 (WWE) | WWE RAW 위민스 챔피언 2회 위민스 월드 챔피언 5회 NXT 위민스 챔피언 1회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 1회 | |
| 이요 스카이 (WWE) | WWE 위민스 챔피언 1회 위민스 월드 챔피언 1회 NXT 위민스 챔피언 1회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 2회 | |
| 총 7명 | ||
| 같이 보기: 트리플 크라운 (하위 등급) | ||
- ⠀[ 아시아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daa520><colbgcolor=#000><colcolor=#dfca4a><rowcolor=#dfca4a> 링네임
단체 ||<#000> 챔피언십, 횟수 ||후지모토 츠카사
(ICE RIBBON)아이스 리본 ICEx60 챔피언 7회
아이스 트라이앵글 리본 챔피언 3회
아이스 리본 국제 리본 태그팀 챔피언 8회
아이스 리본 IW19 챔피언 2회시라이 이오
(STARDOM)월드 오브 스타덤 챔피언 2회
원더 오브 스타덤 챔피언 2회
가데스 오브 스타덤 챔피언십 1회
아티스트 오브 스타덤 챔피언 6회
하이 스피드 챔피언 1회
SWA 월드 챔피언 1회이와타니 마유
(STARDOM)월드 오브 스타덤 챔피언 2회
원더 오브 스타덤 챔피언 2회
가데스 오브 스타덤 챔피언십 2회
아티스트 오브 스타덤 챔피언 5회
하이 스피드 챔피언 1회
SWA 월드 챔피언 1회타츠미 리카
(TJPW)프린세스 오브 프린세스 챔피언 1회
프린세스 태그팀 챔피언 1회
인터내셔널 프린세스 챔피언 1회와타나베 미우
(TJPW)프린세스 오브 프린세스 챔피언 1회
프린세스 태그팀 챔피언 1회
인터내셔널 프린세스 챔피언 1회총 5명 같이 보기: 트리플 크라운 (하위 등급)
}}} ||
| | ||
| 카이리 세인 | 아스카 | |
| {{{#!folding 【 전 멤버 】 | 페이지 | |
| | |||||
| 해체 선언 당시의 멤버 | |||||
| 이요 스카이 | 카이리 세인 | 아스카 | |||
| {{{#!folding 【 기타 멤버 】 | 전 멤버 | ||||
| 베일리 | 다코타 카이 | ||||
| 서브 그룹 | |||||
| 가부키 워리어즈 | 스카이 파이러츠 | ||||
| | |||||
| 프로레슬링 웨이브 캐치 더 웨이브 토너먼트 우승자 | |||||
| 가미 (2010) | → | 카나 (2011) | → | 쿠리하라 아유미 (2012) | |
| 프로레슬링 웨이브 듀얼 쇼크 웨이브 토너먼트 우승자 | |||||
| 창설 | → | 쿠리하라 아유미 카나 (2011) | → | 오하타 미사키 후지모토 츠카사 (2012) | |
| | ||||
| 2018년 WWE 믹스드 매치 챌린지 시즌 1 우승자 | ||||
| 창설 | → | 미즈 & 아스카 | → | 알 트루스 & 카멜라 |
| 역대 로얄럼블 경기 우승자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1988 ~ 2000 ]⠀ {{{#!wiki style="margin: -5px 0 -5px" | 1988 | 1989 | 1990 | 1991 | 1992 | |||||
| 짐 더간 | 빅 존 스터드 | 헐크 호건 | 헐크 호건 | 릭 플레어 | ||||||
| 1993 | 1994 | 1995 | 1996 | 1997 | ||||||
| 요코주나 | 렉스 루거, 브렛 하트 | 숀 마이클스 | 숀 마이클스 | 스티브 오스틴 | ||||||
| 1998 | 1999 | 2000 | ||||||||
| 스톤콜드 스티브 오스틴 | 빈스 맥마흔 | 더 락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2001 ~ 2020 ]⠀ {{{#!wiki style="margin: -5px 0 -5px"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
| 스톤콜드 스티브 오스틴 | 트리플 H | 브록 레스너 | 크리스 벤와 | 바티스타 | ||||||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
| 레이 미스테리오 | 언더테이커 | 존 시나 | 랜디 오턴 | 에지 | ||||||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
| 알베르토 델 리오 | 셰이머스 | 존 시나 | 바티스타 | 로만 레인즈 | ||||||
| 2016 | 2017 | 2018 | GRR | 2019 | ||||||
| 트리플 H | 랜디 오턴 | 나카무라 신스케男 아스카女 | 브론 스트로우먼 | 세스 롤린스男 베키 린치女 | ||||||
| 2020 | ||||||||||
| 드류 맥킨타이어男 샬럿 플레어女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2021 ~ 2040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
| 에지男 비앙카 벨레어女 | 브록 레스너男 론다 로우지女 | 코디 로즈男 리아 리플리女 | 코디 로즈男 베일리女 | 제이 우소男 샬럿 플레어女 | }}}}}}}}} }}} | |||||
| | ||||
| 2013년 12월 15일 | JWP JWP 클라이맥스 | JWP 오픈웨이트 챔피언십 카나(C) vs _나카지마 아리사_ | ||
| CAGEMATCH 이어 앤드 어워드 선정 올해의 여성 레슬러 | ||||
| 샬럿 플레어 (2016) | → | 아스카 (2017) | → | 베키 린치 (2018) |
| | ||||
| 나카무라 신스케 (2016) | → | 아스카 (2017) | → | 카이리 세인 (2018) |
| | ||||
| 베일리 (2015) | → | 아스카 (2016, 2017) | → | 카이리 세인 (2018) |
| | ||||
| 샬럿 플레어 (2016) | → | 아스카 (2017) | → | 베키 린치 (2018) |
| | ||||
| 샬럿 플레어 (2016) | → | 아스카 (2017) | → | 론다 로우지 (2018) |
| 위민스 레슬링 팬 어워드 선정 최고의 선역 | |||||
| 창설 | → | 아스카 (2020) | → | 리브 모건 (2021, 2022) | |
| 위민스 레슬링 팬 어워드 선정 최고의 프로모 | |||||
| 브릿 베이커 & 루비 소호 (2021) | → | 아스카 & 이요 스카이 (2022) | → | 트리쉬 스트래터스 (2023) | |
| | ||||
| 베일리 브록 레스너 (2019) | → | 아스카 오티스 (2020) | → | 니키 A.S.H. 빅 E (2021) |
[1] 결혼 여부와 관계 없는 출생명이다. 결혼 여부에 대해서는 여담 문단을 참조.[2] 뜻은 '내일의 여제'. WWE 입성 이후 바꾼 링네임 아스카의 '아스(明日)'가 내일 이라는 뜻이기 때문에 스스로 어필하던 별명이 굳어졌다.[3] Leon이란 링네임으로 조금 더 유명하다.[4] 크로스페이스 치킨 윙과 바디 시져스의 콤보[5] 2019년 턴힐 후부터 사용하고 있는 피니셔로 같이 활약하기도 한 타지리의 영향을 받은 듯 하다. 악역에 어울리는 무브이기는 하나 다시 턴페이스한 이후로도 사용 중[6] 2025년 부상에서 복귀 후 새로 사용하기 시작한 피니셔.[7] 가부키 워리어스로 활동할 때 쓰는 테마, 카이리 세인이 WWE를 떠났기 때문에 가부키 워리어스가 해체되어 잠시 쓰이지 않았으나 카이리 세인이 복귀하면서 다시 쓰인다.[8] 하지만 이것은 기믹이며, 아스카의 나이와는 맞지 않는 진득한 간사이벤을 사용한다. 평소 말투는 평범한 간사이벤.[9] 그렇다고 아스카와 이요의 사이가 나쁜건 아니다. 위에도 나와있듯 시라이 자매와 트리플 테일즈를 결성해 같이 활동했을 정도로 사이가 매우 돈독한 편.[10] 결국 이요와의 사이가 틀어지면서 리아와 이요까지 공격하면서 턴페이스를 한 지 얼마 되지않아 다시 턴힐해버렸다.[★]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