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31 13:07:11

아스카(프로레슬러)

파일:SHE NAME IS KANA OR ASUKA.jpg
ASUKA / アスカ

1. 프로필2. 소개3. 커리어4. 여담5. 둘러보기


1. 프로필

파일:Asuka_PROFILE--020df70e71e4c3706e8b87d423893dd3.png
RAW
<colbgcolor=#ffffff,#1c1d1f><colcolor=#eb1926> 링네임 <colbgcolor=white,#1f2023> 카나([ruby(華名, ruby=かな)])
Asuka([ruby(明日華, ruby=あ す か)])
본명 우라이 카나코[1]
[ruby(浦井, ruby=うら い)] [ruby(佳奈子, ruby=か な こ)]
생년월일 1981년 9월 26일 ([age(1981-09-26)]세)
출생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오사카부 오사카시
신장 160cm (5’3”)
체중 62kg (140 lbs)
혈액형 O형
학력 오사카예술대학 단기대학부 졸업
별명 무파벌 여왕([ruby(無派閥, ruby=む は ばつ)][ruby(女王, ruby=じょうおう)])
고고한 반란여자([ruby(孤高, ruby=こ こう)]の[ruby(反乱女子, ruby=はんらんじょ し)])
여자 프로레슬링계의 이단아
([ruby(女子, ruby=じょ し)]プロレス[ruby(界, ruby=かい)]の[ruby(異端児, ruby=い たん じ)])
The Empress of Tomorrow[2]
데뷔 2004년 6월 16일 vs 레오나[3]
유형 테크니션 + 서브미션 + 올라운더
피니쉬 무브 아스카 락[4]
아스카 킥
그린 미스트[5]
러닝 힙어택[6]
스팅크페이스
주요 커리어 DDT 아이언맨 헤비메탈웨이트 챔피언 5회
JWP 오픈웨이트 챔피언 1회
쿠주 프로 디바 챔피언 1회
NEO 태그팀 챔피언 1회
웨이브 태그팀 챔피언 2회
레이나 월드 태그팀 챔피언 1회
레이나 월드 위민스 챔피언 1회
스매쉬 디바 챔피언십 토너먼트 우승(2011)
스매쉬 디바 챔피언 2회
NXT 위민스 챔피언 1회
WWE RAW / WWE 위민스 챔피언 3회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 1회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 4회
2018년 여성 로얄럼블 우승
WWE 위민스 머니 인 더 뱅크(2020) 우승
테마곡 The Future (2015~2022)
Warriors (2019~2020, 2023 ~)[7]
You Can't Hide (2023~2024)
The Future (2025) (2025~)
SN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2. 소개

파일:wweasukaentrance.gif
"No one is ready for Asuka!"
"누구도 아스카의 상대가 될 수 없어!"

일본WWE 소속 프로레슬러.

여성 로얄럼블 최초 우승, 아시아인 최초 WWE 여성 그랜드 슬래머, 아시아인 여성 최초 머니 인더 뱅크 우승자, 더블 타이틀 홀더, 일리미네이션 체임버 우승, NXT 전승 <무패행진 177연승 달성>, 등.. WWE에서 레슬매니아 승리 제외 모든 것을 이뤘다. 아시아권 여성들의 커리어 로드를 만들며 신세대 개척자로서 아시아권 여성 중 가장 성공한 프로레슬러라고 볼 수 있다.

3. 커리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스카(프로레슬러)/커리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스카(프로레슬러)/커리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스카(프로레슬러)/커리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여담

5. 둘러보기

파일:WWE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32929><colcolor=#fff>남성 달성자 - 이전 기준 총 12명 / 현행 기준 총 17명
이전 기준숀 마이클스 · 트리플 H · 케인 · 크리스 제리코 · 커트 앵글 · 에디 게레로 · 랍 밴 댐 · 부커 T · 제프 하디 ·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 · 크리스찬 · 빅 쇼
현행 기준커트 앵글 · 에디 게레로 · 에지 · 빅 쇼 · 미즈 · 대니얼 브라이언 · 크리스 제리코 · 딘 앰브로스 · 로만 레인즈 · 랜디 오턴 · 세스 롤린스 · 제프 하디 · 코피 킹스턴 · 레이 미스테리오 · AJ 스타일스 · 케빈 오웬스 · 핀 밸러
여성 달성자 - 총 7명
베일리 · 아스카 · 사샤 뱅크스 · 샬럿 플레어 · 리아 리플리 · 베키 린치 · 이요 스카이
같이 보기: 트리플 크라운 (하위 등급) · 후보 선수}}}}}}}}}

세계 프로레슬링 단체 여성 그랜드슬램 달성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북미 ]⠀
{{{#!wiki style="margin:-5px 0 -5px"
<colbgcolor=#000><colcolor=#dfca4a><rowcolor=#dfca4a> 링네임
단체
챔피언십, 횟수
베일리
(WWE)
WWE 위민스 챔피언 2회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 2회
NXT 위민스 챔피언 1회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 2회
아스카
(WWE)
WWE RAW 위민스 챔피언 3회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 1회
NXT 위민스 챔피언 1회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 4회
사샤 뱅크스
(WWE)
WWE RAW 위민스 챔피언 5회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 1회
NXT 위민스 챔피언 1회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 3회
샬럿 플레어
(WWE)
WWE RAW 위민스 챔피언 6회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 7회
NXT 위민스 챔피언 2회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 1회
리아 리플리
(WWE)
WWE RAW 위민스 챔피언 2회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 2회
NXT 위민스 챔피언 1회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 1회
베키 린치
(WWE)
WWE RAW 위민스 챔피언 2회
위민스 월드 챔피언 5회
NXT 위민스 챔피언 1회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 1회
이요 스카이
(WWE)
WWE 위민스 챔피언 1회
위민스 월드 챔피언 1회
NXT 위민스 챔피언 1회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 2회
총 7명
같이 보기: 트리플 크라운 (하위 등급)
}}}}}}}}}
⠀[ 아시아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daa520><colbgcolor=#000><colcolor=#dfca4a><rowcolor=#dfca4a> 링네임
단체 ||<#000> 챔피언십, 횟수 ||
후지모토 츠카사
(ICE RIBBON)
아이스 리본 ICEx60 챔피언 7회
아이스 트라이앵글 리본 챔피언 3회
아이스 리본 국제 리본 태그팀 챔피언 8회
아이스 리본 IW19 챔피언 2회
시라이 이오
(STARDOM)
월드 오브 스타덤 챔피언 2회
원더 오브 스타덤 챔피언 2회
가데스 오브 스타덤 챔피언십 1회
아티스트 오브 스타덤 챔피언 6회
하이 스피드 챔피언 1회
SWA 월드 챔피언 1회
이와타니 마유
(STARDOM)
월드 오브 스타덤 챔피언 2회
원더 오브 스타덤 챔피언 2회
가데스 오브 스타덤 챔피언십 2회
아티스트 오브 스타덤 챔피언 5회
하이 스피드 챔피언 1회
SWA 월드 챔피언 1회
타츠미 리카
(TJPW)
프린세스 오브 프린세스 챔피언 1회
프린세스 태그팀 챔피언 1회
인터내셔널 프린세스 챔피언 1회
와타나베 미우
(TJPW)
프린세스 오브 프린세스 챔피언 1회
프린세스 태그팀 챔피언 1회
인터내셔널 프린세스 챔피언 1회
총 5명
같이 보기: 트리플 크라운 (하위 등급)

}}} ||

파일:artworks-CNQU3kqBYtGbNAVf-FrDUzA-t500x500.jpg
카이리 세인 아스카
{{{#!folding 【 전 멤버 】 페이지
}}} ||

파일:WWE_Damage_CTRL_Logo.jpg
해체 선언 당시의 멤버
이요 스카이 카이리 세인 아스카
{{{#!folding 【 기타 멤버 】 전 멤버
베일리 다코타 카이
서브 그룹
가부키 워리어즈 스카이 파이러츠
}}} ||
파일:25Cfl8Pb_400x400.png
프로레슬링 웨이브 캐치 더 웨이브 토너먼트 우승자
가미
(2010)
카나
(2011)
쿠리하라 아유미
(2012)
프로레슬링 웨이브 듀얼 쇼크 웨이브 토너먼트 우승자
창설 쿠리하라 아유미
카나
(2011)
오하타 미사키
후지모토 츠카사
(2012)
파일:WWE_Mixed_Match_Challenge_RENDERED--be159eda33a707f30b3be419eb87b031.png
2018년 WWE 믹스드 매치 챌린지 시즌 1 우승자
창설 미즈 & 아스카 알 트루스 & 카멜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oyalRumbleWWElogo_2017.png
역대 로얄럼블 경기 우승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1988 ~ 2000 ]⠀
{{{#!wiki style="margin: -5px 0 -5px"
19881989199019911992
짐 더간빅 존 스터드헐크 호건헐크 호건릭 플레어
19931994199519961997
요코주나렉스 루거, 브렛 하트숀 마이클스숀 마이클스스티브 오스틴
199819992000
스톤콜드 스티브 오스틴빈스 맥마흔더 락}}}}}}}}}{{{#!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2001 ~ 2020 ]⠀
{{{#!wiki style="margin: -5px 0 -5px"
20012002200320042005
스톤콜드 스티브 오스틴트리플 H브록 레스너크리스 벤와바티스타
20062007200820092010
레이 미스테리오언더테이커존 시나랜디 오턴에지
20112012201320142015
알베르토 델 리오셰이머스존 시나바티스타로만 레인즈
201620172018GRR2019
트리플 H랜디 오턴나카무라 신스케
아스카
브론 스트로우먼세스 롤린스
베키 린치
2020
드류 맥킨타이어
샬럿 플레어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2021 ~ 2040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20212022202320242025
에지
비앙카 벨레어
브록 레스너
론다 로우지
코디 로즈
리아 리플리
코디 로즈
베일리
제이 우소
샬럿 플레어
}}}}}}}}}
}}}

파일:Jwp_logo.jpg JWP 어워드 선정 연간 최고 시합상 [★]
2013년
12월 15일
JWP
JWP 클라이맥스
JWP 오픈웨이트 챔피언십
카나(C) vs _나카지마 아리사_
CAGEMATCH 이어 앤드 어워드 선정 올해의 여성 레슬러
샬럿 플레어
(2016)
아스카
(2017)
베키 린치
(2018)
파일:NXT Year end awards.png 올해의 선수상
나카무라 신스케
(2016)
아스카
(2017)
카이리 세인
(2018)
파일:NXT Year end awards.png 올해의 여성 선수상
베일리
(2015)
아스카
(2016, 2017)
카이리 세인
(2018)
파일:PWI 로고.png PWI 선정 올해의 여성
샬럿 플레어
(2016)
아스카
(2017)
베키 린치
(2018)
파일:PWI 로고.png PWI 50인 선정 올해의 여성 레슬러
샬럿 플레어
(2016)
아스카
(2017)
론다 로우지
(2018)
위민스 레슬링 팬 어워드 선정 최고의 선역
창설 아스카
(2020)
리브 모건
(2021, 2022)
위민스 레슬링 팬 어워드 선정 최고의 프로모
브릿 베이커 & 루비 소호
(2021)
아스카 & 이요 스카이
(2022)
트리쉬 스트래터스
(2023)
파일:external/www.wwe.com/MoneyInTheBank_0--25745c993d0d1c6d7df0306a42110b9d.png 역대 머니 인 더 뱅크 우승자
베일리
브록 레스너
(2019)
아스카
오티스
(2020)
니키 A.S.H.
빅 E
(2021)

[1] 결혼 여부와 관계 없는 출생명이다. 결혼 여부에 대해서는 여담 문단을 참조.[2] 뜻은 '내일의 여제'. WWE 입성 이후 바꾼 링네임 아스카의 '아스(明日)'가 내일 이라는 뜻이기 때문에 스스로 어필하던 별명이 굳어졌다.[3] Leon이란 링네임으로 조금 더 유명하다.[4] 크로스페이스 치킨 윙과 바디 시져스의 콤보[5] 2019년 턴힐 후부터 사용하고 있는 피니셔로 같이 활약하기도 한 타지리의 영향을 받은 듯 하다. 악역에 어울리는 무브이기는 하나 다시 턴페이스한 이후로도 사용 중[6] 2025년 부상에서 복귀 후 새로 사용하기 시작한 피니셔.[7] 가부키 워리어스로 활동할 때 쓰는 테마, 카이리 세인이 WWE를 떠났기 때문에 가부키 워리어스가 해체되어 잠시 쓰이지 않았으나 카이리 세인이 복귀하면서 다시 쓰인다.[8] 하지만 이것은 기믹이며, 아스카의 나이와는 맞지 않는 진득한 간사이벤을 사용한다. 평소 말투는 평범한 간사이벤.[9] 그렇다고 아스카와 이요의 사이가 나쁜건 아니다. 위에도 나와있듯 시라이 자매와 트리플 테일즈를 결성해 같이 활동했을 정도로 사이가 매우 돈독한 편.[10] 결국 이요와의 사이가 틀어지면서 리아와 이요까지 공격하면서 턴페이스를 한 지 얼마 되지않아 다시 턴힐해버렸다.[★]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