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Y RHODES |
[clearfix]
1. 프로필
SMACKDOWN | |
<colbgcolor=#fff><colcolor=#3c30fe> 본명 | <colbgcolor=white,#1f2023>Cody Garrett Runnels (코디 개럿 러널스) |
링네임 | Cody Rhodes (WWE, AEW) Stardust (WWE) Cody R (PWG) Cody (GFW, IMPACT, ROH, NJPW, AEW)[1] |
별칭 | Dashing The Inter-dimensional Oddity The Prince of Dark Matter Lovestache Undashing The Star That Left Them in the Dust The Grandson of a Plumber The American Nightmare[2] The Prince of Pro Wrestling |
생년월일 | 1985년 6월 30일 ([age(1985-06-30)]세) |
출생지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조지아주 애틀랜타[3] |
신장 | 188cm (6' 2") |
체중 | 100kg (222 lbs) |
가족관계 | 아버지 더스티 로즈 어머니 미셸 루비오 이복형 더스틴 로즈 부인 브랜디 로즈 딸 리버티 아이리스 러널스(2021년생) |
유형 | 올드스쿨 + 올라운더 |
피니시 무브 | 실버 스푼 DDT[4] 크로스 로즈[5] 디재스터 킥[6] 다크 매터[7] 아메리칸 나이트메어[8] 백 투 백 더블 언더훅 파일 드라이버[9] 타이거 드라이버 98[10] |
주요 경력 | A1 태그팀 챔피언 1회 AEW TNT 챔피언 3회[11] BPW 챔피언 1회 디파이언트 인터넷 챔피언 1회 GFW NEX*GEN 챔피언 1회 IWGP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NEW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OVW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OVW 텔레비전 챔피언 1회 OVW 서던 태그팀 챔피언 2회 ROH 월드 챔피언 1회 ROH 월드 식스맨 태그팀 챔피언 1회 WWE 챔피언 1회 WWE 유니버설 챔피언 1회 WWE 크라운 주얼 챔피언 1회[12]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 2회 월드 태그팀 챔피언 3회 WWE 태그팀 챔피언 / WWE RAW 태그팀 챔피언 4회 WWE 스맥다운 태그팀 챔피언 1회 2023년, 2024년 남성 로얄럼블 우승[13] |
테마곡 | Out to Kill[14] (2007 ~ 2008, 2010) Priceless[15] (2008 ~ 2009) Priceless V2[16] (2009) It's A New Day[17] (2009 ~ 2010) Smoke & Mirrors[18] (2010) Smoke and Mirrors (Ugly)[19] (2011) Smoke And Mirrors[20] (2011 ~ 2014) Gold and Smoke[21] (2013 ~ 2014) Written In The Stars[22] (2014 ~ 2016) Kingdom[23] (2016 ~ ) Kingdom (w/ Snoop Dogg)[24] (2020) Kingdom (Symphony Mix)[25] (2021 ~ 2022) |
SNS |
Kingdom | |
2. 개요
Wrestling has more than one royal family.
레슬링은 하나의 왕족보다 위대한 것이다.[26]
레슬링은 하나의 왕족보다 위대한 것이다.[26]
So, What do you guys wanna talk about?
그래서, 다들 무슨 얘기를 하고 싶을까?
그래서, 다들 무슨 얘기를 하고 싶을까?
미국의 WWE 소속 프로레슬러.
NWA의 레전드 '아메리칸 드림' 더스티 로즈의 아들이자 더스틴 로즈의 이복동생으로[27] 더스티 로즈의 아들이라는 후광을 등에 업고 2007년 당시 22세의 나이에 WWE에 데뷔하며 WWE를 이끌어갈 차세대 유망주로 활약했으며, 대싱, 언대싱, 스타더스트에 이르는 다양한 기믹을 선보이며 미드카더로 꾸준히 활약을 해왔다.
하지만 2014년 스타더스트로 기믹을 바꾸고 계속되는 연패와 아버지의 사망, 수뇌부로부터 자신의 아이디어가 거부되는 등 신임을 잃어버리며 결국 2016년 5월 21일, WWE로부터 방출을 요청, 그렇게 9년간의 WWE 활동을 끝마치고 FA가 되었다. 이후 아버지 더스티 로즈의 별명인 '아메리칸 드림'을 비틀어 '아메리칸 나이트메어'라는 별명을 만들며 여러 인디 단체를 떠돌며 활동을 이어갔고 ROH, 임팩트 레슬링 등 여러 단체에서 활동했었고 ROH와 제휴 관계에 있던 신일본 프로레슬링에도 출연해 스테이블 불릿 클럽의 멤버로 활동하며 WWE 활동 시절의 세 배에 달하는 수입을 거두며 성공적인 커리어를 거두기 시작했다.
2018년 ALL IN의 성공적인 개최로 프로모터로서도 능력을 발휘했으며 이후 디 엘리트 멤버들과 함께 풀럼 FC, 잭슨빌 재규어스의 구단주이자 파키스탄 출신 재벌 샤히드 칸의 아들 토니 칸과 협력해 2019년 1월 1일, AEW를 창단하며 활발히 활동을 이어갔으며 2022년 2월 14일, 부인 브랜디 로즈와 함께 AEW와 계약을 마무리하였고 2022년 레슬매니아 38을 통해 6년만에 WWE로 금의환향해 이전과는 비교도 안될 정도 메인 이벤터급 슈퍼스타가 되어 WWE의 탑 페이스로 활약하고 있다.[28] 그리고 수 많은 시련을 지나 드디어 레슬매니아 40에서 로만 레인즈의 1,316일간의 장기 집권을 종결시키고 단체의 최정상 자리에 등극하여 WWE의 차기 아이콘으로서의 입지를 다지게 되었다.
3. 커리어
자세한 내용은 코디 로즈/커리어 문서 참고하십시오.4. 경기 스타일
피니시 무브는 인버티드 DDT 자세에서 몸을 비틀며 커터로 연결하는 크로스로즈. 처음 데뷔했을 당시에는 일반 DDT보다 꽂는 각도를 약간 높인 '실버스푼 DDT'를 사용했으나 모션이 영 별로라 인기는 없었다. 스타더스트 기믹 전환 이후에는 플랫라이너 자세에서 다리를 걸고 다리 반동과 함께 쓰러지는 '다크 매터'를 피니쉬로 사용했으며, WWE 탈단 이후에는 다시 크로스로즈를 피니쉬로 사용하고 있다.[29]"옛 선수들의 스타일을 고수한다."라는 이유로 무릎 보호대를 하지 않기 때문에 다리가 상당히 허전해 보이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다가 2011 서바이버 시리즈부터는 마침내 무릎 보호대를 하기 시작했고, 꾸준히 몸을 가꿔서인지 약간 벌크업도 한 느낌이다. ROH 활동 시기부터는 긴 타이즈를 착용한다.
코디 로즈는 체형으로 볼 때에는 하이 플라이어 계열의 기술을 구사할 것 같지만, 아버지나 형의 영향 때문인지, 그라운드 계열의 기술을 주로 사용하며, 형인 골더스트의 기술과 비슷한 모션도 구사한다. 이 외에는 커리어 초창기 태그팀으로 활동했던 하드코어 할리가 사용했던 기술들도 사용하는 편. 하지만 탑로프 문설트나 3단 로프에서 구사하는 디재스터 킥과 같은 공중기 역시 종종 사용하고 있어 양쪽 모두 균형을 맞춰가는 듯하다.
ROH 및 신일본 프로레슬링 활동 시절에는 날고 기는 워커들에 빛이 바래 경기력은 크게 부각시키질 못했다. 본인 또한 이 시절 '3성 장군(three-star general)'이라는 자조적인 캐치 프레이즈를 유행시키기도 했다.
그러한 이유로 경기력은 다소 불안정하다는 평가를 받았지만[30], 스토리텔링에 강한 면모를 보인다[31]. 그리고 그 스토리 중심의 경기를 제대로 보여준 것이 더블 오어 나씽 2019에서 보여준 형 더스틴 로즈와의 경기. 아예 그 날 최고의 경기였다는 평가를 하는 팬들도 상당히 많았다. 그리고 아니나 다를까 멜처가 5성을 줬다.
그래서 AEW 출범 이후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고전적인 미국식 레슬링을 선보임으로써 점점 링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런 코디의 스토리텔링에 강한 장점은 WWE에 복귀해서도 유감없이 발휘되고 있는데, 특히 세스 롤린스와의 PLE 3연전에서 보여준 몰입도는 높은 평가를 받았다.[32]
4.1. 사용 기술
자세한 내용은 코디 로즈/주 기술 문서 참고하십시오.5. 여담
- 원래 코디 로즈라는 링네임은 WWE에서 상표권을 갖고 있어서[33] 인디나 AEW에서는 코디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었지만 2020년 11월에 WWE와 협상을 통해 코디는 코디 로즈라는 이름을 돌려받고, 대신 코디의 아버지인 더스티 로즈가 과거에 작명하여 보유하고 있던 WCW의 PPV 상표권을 WWE가 온전히 갖는 식으로 합의한 것으로 보인다.
- 로얄럼블 매치의 숨은 강자다. 로얄럼블에서 많은 선수들을 제거하는 편은 아니지만, 대부분을 초중반 번호로 나오는데도 로얄럼블마다 상당히 오랫동안 잘 버틴다. 어찌저찌 됐든 마지막에 살아남는 자가 강한 자인 로얄럼블 매치의 특성임을 생각하면 이러한 코디 로즈의 생존력은 로얄럼블 매치에서 꽤 기대를 갖게 하는 편. 2015년, 스타더스트로 기믹 변경한 후에는 코믹한 모습까지 추가되면서 더욱 그의 생존력이 볼만 해졌다. 특히 WWE 로얄럼블(2009)에서 레거시 멤버인 랜디 오턴, 테드 디비아시 주니어와 함께 파이널 4에도 한 번 들어간 적이 있다.[34] 그리고 마침내 WWE로 리턴하고 부상 이후 복귀전을 가진 WWE 로얄럼블(2023)에서 30번으로 등장해 우승했고, 더 나아가 WWE 로얄럼블(2024)에서는 15번으로 등장해서 스티브 오스틴의 97, 98년 로얄럼블 연속 우승 이후 26년만에 로얄럼블 2년 연속 우승을 달성하여 로열럼블 매치의 진정한 강자로 거듭나게 되었다.
- 스타더스트 기믹 수행에 생각보다 매우 열심이었다. 동작이나 인터뷰, 트위터 등이 매우 난해하고 기괴한 편이다. 트위터에도 자신은 5차원이라고 이야기하고 있고, 2015년 슈퍼보울 예측을 할때 스타더스트만 뜬금없는 메시지를 적어넣었다. 다름아닌 원주율이었다. 이외에도 코디 로즈 본인 트위터와 스타더스트 트위터를 따로 만들어 썼다. 스타더스트 이름의 트위터는 스타더스트 스러운 대문자와 소문자가 섞인 알 수 없는 포스팅이 올라오고, 코디 로즈 트위터는 은퇴한 선수의 이야기가 올라온다. 코디 로즈 트위터에서 팬들과 Q&A를 갖는데 이른 나이에 은퇴했지만 잘 지내고 있다, 로얄럼블 즈음에 복귀할 지도 모른다, 스타더스트는 교육받은 소시오패스라고 했다.
- 그리고 스타더스트 기믹 활동에 와이프 브랜디 로즈[35]도 이런 스토리에 같이 동참하고 있는데 골더스트가 스타더스트를 코디라고 부른 2월 2일 RAW에서는 "골더스트가 평소보다 더 이상하다. 스타더스트가 내 남편이라니? 머리에 총 한방 맞은 것 같다. 스타더스트는 코디가 아니다."라는 트윗을 남겼다. 트윗 더불어서 한 팟캐스트에서 스타더스트가 코디 로즈의 아내인 이든과 불륜관계라는 충격적인(?) 보도를 했다.
- 부자 3인(더스티 로즈, 골더스트, 코디 로즈)이 WWE에서 오랫동안 활약했지만 아무도 월드 챔피언을 차지한 적이 없었던 시절이 있었다.[36] 아버지 더스티 로즈는 업계의 거물로 릭 플레어와 라이벌 관계였고,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도 여러번 지냈지만 당시 WWE는 헐크 호건과 얼티밋 워리어가 꽉 잡고 있었다.[37] 형 골더스트는 나름 오랫동안 WWE에 있었지만 기믹이 기믹이라 월드 챔피언까지는 닿지 못했다. 코디 로즈가 러널즈 집안[38]의 마지막 희망이지만 결국 두 아들 모두 월드 챔피언을 차지하기도 전에 더스티 로즈가 운명했다. 그래도 두 아들이 1위 단체에서 롱런했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성공적인 레슬링 커리어이고, 자랑스러워할 만한 일이다. 또한 코디가 과거 더스티 로즈가 차지했던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이 되면서 충분히 기념적인 일을 달성했다. 그리고 이제 코디가 WWE에 복귀하는 것이 거의 기정사실화되어 있고 이미 코디 자신의 위상도 과거보다 훨씬 올라간 상태라 다시 한번 WWE에서 왕좌를 노릴 수 있게 되었다.[39] 그리고 2023 로얄럼블에서 우승하면서 레슬매니아에서 드디어 왕좌에 등극하는가 싶었지만 무산되어 많은 레슬링 팬들의 아쉬움을 샀다. 하지만 2023 섬머슬램에서 브록 레스너를 이기고 그 레스너가 승리를 인정해주는 놀라운 잡을 받으며[40] 아직 푸쉬가 끊기지 않았음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마침내 WWE 레슬매니아 XL에서 월드 챔피언 등극에 성공하며 마침내 가문의 오랜 숙원을 풀어주었다.
- WWE 1기 시절 미드 카더에 머물렀으나 퇴사 이후 인디계를 동분서주하면서[42] 주가가 급상승했다. WWE를 막 떠난 2016~2017년에는 매해 30여개의 다른 단체들을 돌아다니며 활동하기도 했다. 덕분에 WWE 시절보다 3배의 수입은 거뒀다고.
- 흑발에서 금발로 염색한 줄 아는 사람들이 많은데 사실은 원래 헤어가 금발이고 WWE 시절 흑발로 염색하고 다녔다.[43] 코디가 어렸을 때 어머니와 찍은 사진을 보면 확실히 알수 있다. https://twitter.com/CodyRhodes/status/1127572941745590280 애초에 아버지 더스티 로즈, 형 더스틴 로즈도 모두 금발임을 생각하면 오히려 흑발인게 부자연스럽다.
- 애완견 파라오를 가끔씩 데리고 나오는데, 파라오가 순하고 귀엽게 생기다보니 팬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덩치가 어지간한 대형견보다도 더 커보일 정도로 상당히 크며 2024년 시점에는 노견이 되었지만 아직 생존하고 있으며 섬머슬램 2024에도 등장했다. 견종은 알비노 허스키로 추정된다.
- 위에서 언급하듯이 코디는 스타더스트 기믹 자체는 충실했지만 스타더스트 기믹을 매우 싫어하였다.[44] 이 때문에 WWE를 떠나 올 엘리트 레슬링에서 자리잡은 이후로는 본래대로 코디로 돌아가려는 것을 반대한 빈스 맥마흔과 트리플 H를 까는데 주력했다.
- AEW 흥행 중 인터뷰에서 인종간 결혼의 경험이 AEW 로스터의 다양성에 도움을 주었다는 코멘트를 했다. 더불어 다양성은 단순히 홍보용 스턴트가 아니라 삶의 방식이란 말도 덧붙혔다. 이 인터뷰의 한 대목인“I told Brandi one time that I don’t see color and she said ‘well, then you don’t see my experience,’”
라는 발언은 남부출신 프로레슬링 가문의 사람이라는 정체성을 가짐에도 진보적이며 아직도 뒷담이 새나오는 다른 인종간 결혼 당사자인 코디의 사회관에 대한 의미있는 메시지로, 2019년에 가장 주목받은 민주당의 진보성향 젊은 여성 정치인인 알렉산드리아 오카시오코르테스가 리트윗하면서 복잡하게 얽혀있는 미국 정치 사회에 의미있는 메시지로 미국 내에서 주목 받았다.
- 스타워즈의 팬인데 의외로 라스트 제다이를 자신이 본 최고의 스타워즈 영화 2위라고 생각한다.# 이외에도 스타워즈의 팬들이 로즈 티코를 연기한 켈리 마리 트랜의 SNS에 맹비난을 가하는 걸 부정적으로 발언한 바 있다.[45]
- 친화력이 매우 좋아서 동료 레슬러들과도 항상 원만한 사이를 가지고 있다. 별로 친하지 않은 레슬러들도 딱히 악감정같은 것도 없이 리스펙을 해주는 편이고 위에 서술한 빅 E를 비롯하여 잭 라이더, 미즈, 돌프 지글러 등과 친분이 깊은 사이이다.
- 드류 맥킨타이어와도 친분이 깊은 사이이며 드류와는 2010년대 초반에 같이 태그팀을 맺어 태그팀 챔피언십을 거머쥔 적이 있었고 코디와 드류 두 사람은 모두 WWE를 떠난 후에는 예전과는 비교도 안되는 눈부신 발전과 성과를 거두면서 WWE로 다시 화려하게 복귀했다는 공통점도 있다. 드류가 WWE 복귀를 앞두었을 때는 그와 경기까지 치렀는데 코디 본인도 악수까지 하면서 화기애애한 모습을 보여주며 드류에게 행운을 빌어다주었다. 이후 코디도 2022년에 WWE 레슬매니아 38을 통해 화려한 복귀 신고식을 알렸는데 드류와 만나는 모습도 많은 기대를 하고 있다. 실제 레슬메니아 40 빌드업 당시 코디가 더 락에게 레슬매니아에서 로만 레인즈에게 도전할 기회를 빼앗길 위기에 처하자 드류가 나서서 코디를 설득하는 세그먼트를 보여줬다.[46] 그리고 레슬매니아 40 2일차에서 코디와 드류 모두 챔피언십 매치에 승리해 월드 챔피언에 등극했다.[47]
- WWE때부터 쭉 친하게 지냈던 랜디 오턴과도 공통점이 많은데 각각 레전드의 아들들[48]이라 레거시라는 스테이블로 같이 다닌적도 있고 데뷔 초에는 상당히 곱상하며 멀끔한 기믹과 외모로 다녔지만 커리어를 이어나감과 동시에 점점 터프한 인상을 추구하며 벌크업을 하였고 거기에 어울리는 문신까지 하여 카리스마를 장착하기 이르렀다. 헤어스타일도 데뷔초와 확연히 달라진 것도 덤. 다만 WWE에서 승승장구한 랜디와는 달리 코디는 쉽게 인정받지 못하고 절친한 친구 드류를 연상케하는 방법으로 커리어를 쌓고 돌아오면서 신임을 얻기 시작했다.
- 폭죽을 굉장히 좋아한다. AEW에서도 과할 정도로 폭죽을 쓰는 모습을 보여줬으며, WWE에 복귀해서도 마찬가지. 위클리 쇼에서는 선수들이 등장할 때 폭죽을 쓰는 편은 아닌데 코디는 실내 경기장이라 폭죽이 불법인 곳을 제외하면[49] 매 위클리 마다 혼자 PLE 하는 수준으로 폭죽이 터진다. 유이하게 위클리에서도 폭죽이 터지는 레슬러는 같은 회사의 탑 가이인 로만 레인즈 정도이지만 로만이 파트 타이머인걸 감안하면 사실상 풀 타이머로썬 유일하게 매주 폭죽이 터지는 레슬러라 볼 수 있다. 터지는 폭죽소리를 듣고 웃기도 하며, WWE의 산하 프로그램 The Bump에 출연해서 자신의 복귀 무대에 터지는 폭죽을 웃으면서 관람한 뒤에 폭죽 터지는 걸 좋아한다고 밝혔다. 미즈는 이걸 가지고 자기 토크쇼인 미즈TV에서 아예 대놓고 지 혼자 폭죽 다 쓴다고 디스 하기도 했다.
- WWE 입성 후, 경기 시작 전 입장 시, 자신이 차고 있던 통칭 '아메리칸 나이트메어' 벨트를 어린 팬 한명에게 선물해주는 팬서비스를 해준다.
- 입성하면서 부터 NXT에서 벌이고 있는 자신의 아버지 더스티 로즈의 이름을 딴 토너먼트인 더스티 로즈 태그팀 클래식에 자신도 프로듀서로 참가하고 싶다고 밝혔다.
* 2023년 3월 25일[50] IB SPORTS의 정승호 캐스터와 인터뷰를 가졌다. 인터뷰 말미에 정승호 캐스터가 '자신과 인터뷰를 한 WWE 슈퍼스타들은 하나같이 슬럼프에 빠졌었는데[51], 그 징크스, 혹은 저주를 깨줄 수 있겠냐'는 질문에 아주 재치있게 '최악의 운을 최고의 운으로 바꿔 주겠다'고 답하기도 했다. 또한 이 인터뷰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자신이 정장 차림을 고수하는 건 자신이 누군가로 생각되거나 취급받는 것을 원하지 않고 온전히 '코디 로즈' 자신으로서 취급받는 것을 원함과 동시에 누군가가 자신처럼 되길 원하는 마음에서 비롯되었으며 현재의 자신은 프로레슬러라는 공인으로서 안팎의 취급이 똑같은 본연의 자세를 지키며 스스로의 투자가치를 높이고 싶고 그걸 위해 정장 차림을 고수한다고 설명했다.
- 범죄도시 3에서 주성철 역으로 출연한 배우이자 더 락의 팬으로 알려진 이준혁이 팬으로서 응원하고 있는 또 한명이 프로레슬러이기도 하다."그간 큰 성과를 내지 못했던 프로레슬링 선수인데, 이번에 좋은 기회를 만나 메인 스타로 발돋움했다. 나와 나이대가 비슷하고 직업상 각본을 받아야 하는 입장이라 그에게 동질감을 느낀다. 마음 깊이 응원한다!"2023년 6월 12일 이준혁이 말하는 요즘 빠져 있는 것들의 목록#
- 비디오 게임을 좋아한다. 라이트 게이머가 아니라 90년대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게임을 즐기고 있어 조예가 깊은 편. 특히 젤다의 전설 시리즈의 열렬한 팬으로, 신인 시절에는 트라이포스 문양이 새겨진 부츠를 신은 적도 있고, 2023년 3월 WWE RAW에서는 뜬금없이 마스터 소드를 언급하기도 했다. 가장 좋아하는 젤다 게임은 시간의 오카리나와 신들의 트라이포스라고 하며, 각종 인터뷰에서 항상 인생 최고의 게임으로 시간의 오카리나를 언급한다.
- 가끔씩 굉장히 과장된 움직임으로 걷는데 그 폼이 상당히 재밌다. 경기 도중 코믹스럽고 과장된 움직임을 자주 보였던 부친의 영향인듯 하다.
- 골더스트한텐 코디 말고도 각본상 동생인 블루 미니도 있는데, 이 설정대로면 코디한테는 골더스트가 큰형이고, 블루 미니가 작은형이지만, 정작 블루 미니와 코디는 접점이 없다.
- WWE2K24 커버 모델 주인공이 되었다.
- WWE 복귀 후 탑페이스로 자리잡으며 레슬매니아 40 기간 동안 코디 관련 상품이 판매량 100만 달러를 돌파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코디의 상당한 인기를 엿볼 수 있는 부분.
- AJ 스타일스 다음으로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과 WWE 월드 챔피언을 모두 이룬 얼마 안 되는 선수이다. CM 펑크 다음으로 OVW와 WWE 트리플 크라운을 모두 달성한 유이한 선수이며, US 챔피언십만 획득하면 그랜드 슬램을 달성할수 있는 후보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별칭이 아메리칸 나이트메어인만큼 충분히 획득이 가능한 위상이고 현재 메인 이벤터로 활동하는 시기에는 가능성이 낮지만 메인 전선에서 밀려난다면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킹 앤드 퀸 오브 더 링 2024에서 US 챔피언인 로건 폴이 코디의 도전자가 되고 해당 경기가 US 타이틀까지 모두 걸린 경기가 되면서 코디가 그랜드 슬램에 등극할 가능성이 생기게 되었다. 다만 이후 해당 경기가 WWE 타이틀만 걸린 경기가 되면서 그랜드 슬램은 일단 미뤄지게 되었지만 메인 쇼에서 직접 그랜드 슬램을 언급할 정도로 WWE에서도 의식하고 있다는것을 드러내 주었기에 차후 달성 가능성은 높다.
5.1. 코디버스?
코디 로즈가 각본 조정 권한이 있는 선수인만큼 본인 관련 각본의 방향성을 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코디는 자신의 히어로적인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한 장치로 “시련”을 가미하는데, 문제는 그 시련이라는 것이 잘못된 타이밍에 나오고 방법 자체도 어색하여[52] 공감대를 얻지 못하는 것. 그래서 이러한 각본을 코디만의 유니버스, 즉 '코디버스'라고 부른다. 시련성애자가 아니냐는 말도 종종 나온다.이는 AEW 시절부터 존재했고[53] WWE에 복귀한 후로는 레슬매니아 39 이후로 다시 불거져 나왔다. 이미 로만 레인즈와 대립을 통해 밑밥을 다 깔아놓은 상태에서 패배하는 시련을 겪고는 다시 대권 도전을 하는 것이 아닌 브록 레스너와 뜬금없는 대립을 시작하며, 그와의 대립에서 시련을 강조하기 위해 난데없는 구타와 각본상 부상을 당하거나, 정의로운 영웅에 어울리지 않는 졸렬한 경기운영 등이 나오면서 팬들의 비판을 받았다.엄밀히 말하자면 로만 레인즈의 장기집권이 계속되면서 염증을 느낀 국내 팬들이 코디가 로만을 상대로 클린승을 해서 독재를 저지해주길 바랬으나 현재의 상황으로 각본이 흘러가자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크다고 역반응이 나오게 된 것이다.[54] 아직은 더 지켜봐야 하겠지만 코디의 반응이 최고조였던 시기가 레슬매니아 39를 앞둔 상황이였던 점이 문제. 그 어느 때보다도 좋은 각본[55]과 열렬한 반응, 상기 언급된 로만의 장기 집권에 대한 팬들의 염증으로 그 절호조의 기회를 자신만의 시련 스토리를 위해 걷어차버렸다는 인상 때문에 그의 이런 행보가 공감대를 못 얻은 것은 당연하다 할 수 있다.
이후 브록과의 PLE 스코어가 1:1이 되고 나서 도미닉 미스테리오와의 대립은 좋은 평가를 받았으나 다시 브록과의 대립을 이어가면서 시련(?) 호소 스토리를 이어가고 있다.[56]
다만 반론하자면 공식적으로 코디버스가 존재하는 건 아니다. 어디까지나 팬들이 그렇게 부르는 것일 뿐 실질적인 실체는 없는 셈. 세세한 부분을 따져 봐도 AEW에서는 코디 본인이 부사장이고 다른 선수들은 한가득인데 그들 중 대부분은 코디 자신이 불러온 것이다. 그런 상황에서 코디가 AEW의 메인 챔피언 자리에 올랐다면 결국은 그것만으로도 코디는 욕을 먹었을 것이다.[57] 또, 레슬매니아 39에서의 패배는 그걸 코디 혼자서 결정했을 리 없고 당연히 트리플 H나 기타 임원들의 결정이었을 것이다.[58] 브록 레스너와의 대립도 사실 브록이 알바라서 코디 혼자 떠들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 문제고 또, 브록은 명실상부한 WWE의 최강자인데 그걸 코디가 수월하게 이긴다면 그건 그것대로 말이 안 된다고 여겨질 가능성이 높다. 또, 브록이 그렇게 쉽게 자신의 위상을 내리는데 동의해줄 리도 없으니 그 점도 고려해야 할 테고. 즉, 결론적으로 코디가 지금의 상황을 의도했다기보다는 주변 상황에 맞추다보니 이렇게 된 것이라는 것.
AEW에서는 각본가 없이 선수가 직접 스토리라인을 짜는것이 가능하기에 정말로 코디 본인이 스토리에 시련 요소를 넣었을지는 몰라도, WWE에 와서까지 그런다는것은 그저 루머이다. 하지만 팬들 사이에서는 코디가 당하는
그런데... 로얄럼블 2024에서 우승하여 다시금 로만 레인즈의 통합 챔피언십에 도전하여 레슬매니아 40에서 그를 꺾고 이야기를 끝내어 진정한 영웅이자 아이콘으로 거듭날수 있는 일생일대의 모멘트를 더 락이 엔데버 이사직으로서의 강력한 영향력을 이용하여 개입, 강탈당할 위기에 처하는, 각본이 아닌 진짜 시련을 겪게되고만다. 이러한 상황에 수 많은 팬들이 더 락의 횡포에 대한 실망감과 분노를 표출하였고, 코디에게 진심어린 지지와 응원을 보내주며 시련을 극복하려 하고 있다.[59] 처음 실제로 더 락은 팬들이 보여준 엄청난 실망과 분노를 느낀 것인지 즉각 본인이 블러드 라인에 합류해 턴힐하는 것으로 각본을 수정해 코디의 왕도를 다시 열어주면서 팬들의 위력을 보여준 사례가 되었다. 다만 그 과정에서 기존 챔피언인 로만 레인즈와 세스 롤린스의 존재감이 깎였다는 비판은 아직 존재한다. 물론 이건 이번 레슬메니아판에 잘못 개입한 더 락의 책임이지 팬들의 잘못은 아니다.
그리고 레슬매니아 40에서는 1일차에서 패배하며 '2일차 챔피언십 매치는 블러드라인 룰로 진행한다'는 불리한 조건으로 또다시 시련을 예고했고, 다음날 열린 통합 챔피언십도 시련의 연속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코디는 모든 시련을 버텨낸 뒤, 드디어 로만 레인즈를 꺾고 통합 챔피언에 등극하면서, 길고 길었던 코디버스도 끝을 맺었다. 이후 애프터매니아 스맥다운에 출연해 이전보다 더 강단있는 모습으로[60] 마이크웍을 하면서 이전까지 존재하던 언더독의 모습이 아닌 탑독의 모습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배드 블러드 2024에선 경기를 이겼는데도 남아있던 뉴 블러드라인에게 공격 당해 퇴장하던 로만과 지미에게 도움을 받고 파이널 보스 더 락을 맞닥트리는 시련을 겪게 되었다. 여기까지만 해도 평범한 선역으로써 대립을 이어나가는 거 같지만 방송 종료 후 백스테이지에서 한동안 잡음이 생기던 케빈 오웬스에게 구타 당하는 시련까지 겪어 이중 시련이 예고 된 상황이다.
6. 둘러보기
WWE 트리플 크라운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트리플 크라운 남성 달성자 | ||||
페드로 모랄레스 | 브렛 하트 | 디젤 | 숀 마이클스 | 스톤콜드 스티브 오스틴 | |
더 락 | 트리플 H | 케인 | 크리스 제리코 | 커트 앵글 | |
에디 게레로 | | 릭 플레어 | 에지 | 랍 밴 댐 | |
부커 T | 랜디 오턴 | 제프 하디 | CM 펑크 |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 | |
레이 미스테리오 | 돌프 지글러 | 크리스찬 | 빅 쇼 | 미즈 | |
대니얼 브라이언 | 딘 앰브로스 | 로만 레인즈 | 세스 롤린스 | 코피 킹스턴 | |
드류 맥킨타이어 | AJ 스타일스 | 빅 E | 코디 로즈 | ||
총 34명 | |||||
같이 보기: 그랜드슬램 (상위 등급) / 후보 선수 |
트리플 크라운 여성 달성자 | ||||
베일리 | 알렉사 블리스 | 아스카 | ||
사샤 뱅크스 | 샬럿 플레어 | 베키 린치 | ||
리아 리플리 | 론다 로우지 | 비앙카 벨레어 | ||
총 9명 | ||||
같이 보기: 그랜드슬램 (상위 등급) / 후보 선수 |
트리플 크라운 태그팀 달성자 | ||||
리바이벌 | 스트리트 프로피츠 | 뉴 데이 | ||
총 3명 | ||||
같이 보기: 후보 태그팀 |
역대 로얄럼블 경기 우승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1988 ~ 2000 ]⠀ {{{#!wiki style="margin:-5px 0 -5px" | 1988 | 1989 | 1990 | 1991 | 1992 | |||||
짐 더간 | 빅 존 스터드 | 헐크 호건 | 헐크 호건 | 릭 플레어 | ||||||
1993 | 1994 | 1995 | 1996 | 1997 | ||||||
요코주나 | 렉스 루거, 브렛 하트 | 숀 마이클스 | 숀 마이클스 | 스티브 오스틴 | ||||||
1998 | 1999 | 2000 | ||||||||
스톤콜드 스티브 오스틴 | 빈스 맥마흔 | 더 락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01 ~ 2020 ]⠀ {{{#!wiki style="margin:-5px 0 -5px"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
스톤콜드 스티브 오스틴 | 트리플 H | 브록 레스너 | 크리스 벤와 | 바티스타 |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
레이 미스테리오 | 언더테이커 | 존 시나 | 랜디 오턴 | 에지 |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
알베르토 델 리오 | 셰이머스 | 존 시나 | 바티스타 | 로만 레인즈 | ||||||
2016 | 2017 | 2018 | GRR | 2019 | ||||||
트리플 H | 랜디 오턴 | 나카무라 신스케男 아스카女 | 브론 스트로우먼 | 세스 롤린스男 베키 린치女 | ||||||
2020 | ||||||||||
드류 맥킨타이어男 샬럿 플레어女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21 ~ 2040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
에지男 비앙카 벨레어女 | 브록 레스너男 론다 로우지女 | 코디 로즈男 리아 리플리女 | 코디 로즈男 베일리女 | }}}}}}}}} }}} |
{{{#!folding 【 역대 불릿 클럽 멤버 】 | 불릿 클럽 | ||||||
체이스 오웬스 | KENTA | 이시모리 타이지 | 로비 X | ||||
불릿 클럽 워 독스 | |||||||
데이비드 핀레이 | 게이브 키드 | 클락 코너스 | 드릴라 몰로니 | ||||
제이크 리 | 게도 | ||||||
하우스 오브 토쳐 | |||||||
EVIL | 딕 토고 | 잭 페리 | 나리타 렌 | ||||
SHO | 카네마루 요시노부 | 타카하시 유지로 | |||||
불릿 클럽 골드 | |||||||
제이 화이트 | 콜튼 건 | 오스틴 건 | 쥬스 로빈슨 | ||||
A B C | |||||||
에이스 오스틴 | 크리스 베이 | ||||||
로그 아미 | |||||||
배드 럭 팔레 | 잭 본자 | 케이브맨 어그 | 톰 필립 | ||||
스티비 필립 | |||||||
{{{#!folding 【 기타 멤버 】 | 전 멤버 | ||||||
애덤 콜 | "행맨" 애덤 페이지 | AJ 스타일스 | 알렉스 코글린 | ||||
비숍 카운 | 브랜디 로즈 | 본 솔저 | 코디 로즈 | ||||
코디 홀 | 덕 갤로우스 | 엘 판타즈모 | 엘 테라이블 | ||||
프랭키 카자리안 | 히쿠레오 | 자도 | 제프 제럿 | ||||
칼 앤더슨 | 케니 오메가 | 라 코만단테 | 라이어버드 루치 | ||||
마티 스컬 | 맷 잭슨 | 닉 잭슨 | 프린스 데빗 | ||||
레이 부카니에 | 로비 이글스 | 스캇 디 아모어 | 스티븐 아멜 | ||||
타마 통가 | 탕가 로아 | 토아 리오나 | |||||
파트타임 멤버 | |||||||
엠버 갤로우스 | 지노 감비노 | 킹 하쿠 | 마오 | ||||
메피스토 | "토쿄 라티나" 피테르 | 스티븐 아멜 | 스캇 노턴 | ||||
서브 그룹 | |||||||
디 엘리트 | 굿 브라더스 | 자도 & 게도 | 영 벅스 |
}}} ||
코디 | 브랜디 로즈 | 더스틴 로즈 | DDP | 안 앤더슨 |
영 벅스 | 오카다 카즈치카 | 잭 페리 | |||||
{{{#!folding 【 기타 멤버 】 | 전 멤버 | ||||||
마티 스컬 | 코디 로즈 | 칼 앤더슨 | 덕 갤로우스 | ||||
애덤 콜 | 바비 피쉬 | 카일 오라일리 | 케니 오메가 | ||||
''행맨" 애덤 페이지 | |||||||
객원 멤버 | |||||||
브랜든 커틀러 | 마이클 나카자와 | 크리스 제리코 | 브랜디 로즈 | ||||
체이스 오웬스 | 타카하시 유지로 | 더스틴 로즈 | 매트 하디 | ||||
돈 칼리스 | 이부시 코타 | ||||||
서브 그룹 | |||||||
골든☆러버즈 | 굿 브라더스 | 슈퍼 엘리트 | 언디스퓨티드 엘리트 |
랜디 오턴 | 테드 디바이시 Jr. | 코디 로즈 | 마누 | 심 스누카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OVW 트리플 크라운 달성자 】 | 브렌트 올브라이트 (Brent Albright) | CM 펑크 (CM Punk) | 아이돌 스티븐스 (Idol Stevens) | 코디 러널스 (Cody Runnels) | |||
제임스 "무스" 토마스 (James "Moose" Thomas) | 마이크 몬도 (Mike Mondo) | 루디 스위치블레이드 (Rudy Switchblade) | 랍 테리 (Rob Terry) | ||||
클리프 컴프턴 (Cliff Comptons) | 제이슨 웨인 (Jason Wayne) | 자민 올리벤시아 (Jamin Olivencia) | 플래쉬 플래너건 (Flash Flanagan) | ||||
애덤 리볼버 (Adam Revolver) | 무하마드 알 바에즈 (Mohamad Ali Vaez) | 크리스 실비오 (Chris Silvio) | 일라이자 버크 (Elijah Burke) | ||||
빅 존 (Big Jon) | 로코 벨라지오 (Rocco Bellagio) | 데빈 드리스콜 (Devin Driscoll) | 마이클 헤이스 (Michael Hayes) | ||||
랜디 로얄 (Randy Royal) | 아몬 (Amon) | 토니 건 (Tony Gunn) | 저스틴 스무스 (Justin Smooth) | ||||
제이 브래들리 (Jay Bradley) | 다임 (Dimes) | 맥시머스 칸 (Maximus Khan) | |||||
총 27명 | |||||||
같이 보기: 후보 선수 |
역대 파이널 배틀 메인이벤트 [★] | ||||
2017.12.15 파이널 배틀 2017 | ROH 월드 챔피언십 달튼 캐슬 vs 코디(C) |
역대 레슬매니아 메인이벤트[★] | |
2023.4.2 레슬매니아 39 - DAY 2 | 통합 WWE 유니버설 챔피언십 _로만 레인즈_(C) vs 코디 로즈 |
2024.4.6 레슬매니아 40 - DAY 1 | 코디 로즈 & 세스 롤린스 vs 더 락 & 로만 레인즈 |
2024.4.7 레슬매니아 40 - DAY 2 | 통합 WWE 유니버설 챔피언십 로만 레인즈(C) vs _코디 로즈_ |
WWE 슬래미 어워드 올해의 태그팀 | |||||
제리쇼 (2009) | → | 골더스트 & 코디 로즈 (2013) | → | 우소즈 (2014) | |
WWE 슬래미 어워드 올해의 남성 슈퍼스타 | |||||
드류 맥킨타이어 (2020) | → | 코디 로즈 (2024) | → | 미정 | |
WWE 슬래미 어워드 올해 최고의 등장 | |||||
창설 | → | 코디 로즈 (2024) | → | 미정 | |
WWE 슬래미 어워드 올해의 대립 | |||||
에지 vs 랜디 오턴 (2020) | → | 로만 레인즈 vs 코디 로즈 (2024) | → | 미정 |
ROH 이어 엔드 어워드 선정 올해의 레슬러 | ||||
창설 | → | {{{#000000 코디 로즈 (2017)}}} | → | 제이 리썰 (2018) |
ROH 이어 엔드 어워드 선정 올해의 대립 | ||||
제이 리썰 vs 사일러스 영 (2017) | → | 케니 오메가 vs 코디 로즈 (2018) | → | 미정 |
CBS 스포츠 선정 올해의 스맥 토커 | ||||
사모아 조 (2018) | → | 코디 (2019) | → | 에디 킹스턴 (2020) |
CBS 스포츠 선정 올해 최고의 프로모 | ||||
대니얼 브라이언 (2018) | → | 코디 (2019) | → | 에지 (2020) |
어워즈 최고의 세그먼트 | ||||
창설 | → | 코디 로즈 (2020) | → | CM 펑크 (2021) |
더 포스트 프로레슬링 어워드 선정 올해의 프로모 아티스트 | ||||
MJF (2022) | → | 코디 로즈 & 새미 제인 (2023) | → | - (2024) |
PWI 선정 올해 기량이 가장 발전한 선수 | |||||
캔디스 미셸 (2007) | → | 코디 로즈 (2008) | → | 존 모리슨 (2009) | |
PWI 선정 올해의 선역 | |||||
존 목슬리 (2022) | → | 코디 로즈 (2023) | → | - (2024) | |
PWI 선정 올해의 레슬러 | |||||
세스 롤린스 (2023) | → | 코디 로즈 (2024) | → | 미정 (2025) |
PWI 선정 올해의 경기 [★] | ||
2019년 5월 25일 | AEW 더블 오어 나씽 | 싱글 매치 더스틴 로즈 vs _코디_ |
2022년 6월 5일 | WWE 헬 인 어 셀 | 헬 인 어 셀 매치 세스 롤린스 vs 코디 로즈 |
ESPN 어워드 선정 올해의 경기 [★] | ||
2022년 6월 5일 | WWE 헬 인 어 셀 | 헬 인 어 셀 매치 세스 롤린스 vs 코디 로즈 |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올해의 MVP 미국/캐나다 부문 | ||||
존 목슬리 (2022) | → | 코디 로즈 (2023) | → | TBD (2024) |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최악의 기믹 | ||||
애덤 로즈 (2014) | → | 스타더스트 (2015) | → | 본 솔저 (2016) |
슬램 레슬링 어워드 선정 최고의 WWE 남성 레슬러 | ||||
로만 레인즈 (2022) | → | 코디 로즈 (2023) | → | - (2024) |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5성 경기 [★] | ||
2019년 5월 25일 | AEW 더블 오어 나씽 | 싱글 매치 더스틴 로즈 vs _코디_ |
2022년 1월 26일 | AEW AEW 다이너마이트 비치 브레이크 | 통합 AEW TNT 챔피언십 래더 매치 _새미 게바라_(C)[66] vs 코디 로즈(C) |
2022년 6월 5일 | WWE 헬 인 어 셀 | 헬 인 어 셀 매치 세스 롤린스 vs 코디 로즈 |
2024년 5월 4일 | WWE 백래쉬 | 통합 WWE 챔피언십 AJ 스타일스 vs _코디 로즈_(C) |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4a56a8> | 프로레슬링 갤러리 어워즈 선정 올해의 대립 | }}} | |||||||||||||||||||||
케니 오메가 vs 애덤 페이지 (2021) | → | <colbgcolor=#edf1ff,#4a56a8><colcolor=#4a56a8,#fff> 코디 로즈 vs 세스 롤린스 (2022) | → | 새미 제인 vs 로만 레인즈 (2023) |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4a56a8> | 프로레슬링 갤러리 어워즈 선정 올해의 뉴커머 | }}} | |||||||||||||||||||||
브라이언 대니얼슨 (2021) | → | <colbgcolor=#edf1ff,#4a56a8><colcolor=#4a56a8,#fff> 코디 로즈 (2022) | → | 드래곤 리 (2023) |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4a56a8> | 프로레슬링 갤러리 어워즈 선정 내년에 주목할 레슬러 | }}} | |||||||||||||||||||||
훅 (2021) | → | <colbgcolor=#edf1ff,#4a56a8><colcolor=#4a56a8,#fff> 코디 로즈 (2022) | → | LA 나이트 (2023) |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4a56a8> | 프로레슬링 갤러리 어워즈 선정 올해의 컴백 | }}} | |||||||||||||||||||||
CM 펑크 (2021) | → | <colbgcolor=#edf1ff,#4a56a8><colcolor=#4a56a8,#fff> 코디 로즈 (2022) | → | CM 펑크 (2023) |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4a56a8> | 프로레슬링 갤러리 어워즈 선정 올해 최악의 메인이벤트 | }}} | |||||||||||||||||||||
2023년 4월 2일 | WWE 레슬매니아 39- DAY 2 | 통합 WWE 유니버설 챔피언십 로만 레인즈(C) vs 코디 로즈 |
[1] 로즈라는 성에 대한 저작권은 WWE에 있었기 때문에 코디는 WWE를 떠나고 나서는 로즈 성을 사용하지 못했다. 그러다 나중에 WWE와의 협상으로 WWE 외부에서도 로즈라는 성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2] 2016년 WWE를 떠난 이후 사용하기 시작한 닉네임으로, 아버지 더스티 로즈의 닉네임 '아메리칸 드림'을 의도적으로 비틂으로써 아버지를 계승하는 의미가 담겨 있는 닉네임으로, 이전까지 경기력은 나쁘지 않지만 메인 이벤터가 되기엔 캐릭터가 다소 밋밋하다는 평이 많았던 코디의 캐릭터성을 크게 발전시킨 계기가 된 닉네임이기도 하다. 정확하게는 형인 더스틴 로즈가 젊었을적 사용한 닉네임으로 코디가 물려받고 지금의 이미지를 구축한 것.[3] 실제로는 조지아주 매리에타[4] WWE 데뷔 때 사용. 실버 스푼이란 이름은 레거시 가입 후에 붙인 이름으로 실버 스푼은 상속받은 부라는 뜻의 영어 단어이다.[5] 파일:장미꺾기.gif
인버티드 DDT 자세에서 롤링 커터로 잇는 기술. 과거 테스트가 피니쉬 무브로 사용한 테스트 드라이브와 거의 동일 기술이지만 회전 방향이 다르고 부상 위험도도 적다. 스타더스트로 활동하던 시절엔 퀸즈 크로스보우(Queen's Crossbow)로 명칭을 변경한 바 있다. 애로우의 스티븐 아멜과의 대립을 위한 작명으로 추정된다. WWE를 잠시 떠났을 때는 데미안 프리스트가 레코닝이란 이름으로 또다른 피니쉬 무브로 사용하고 있다.[6] 달려가서 미들로프를 밟은 뒤, 반동으로 점프하여 상대의 머리를 인사이드 킥으로 차는 기술. 맨 처음 이 기술을 사용할 적에는 '대싱' 코디 로즈 시절이었기에 기술 명칭이 뷰티풀 디재스터였으나 후에 언대싱 기믹으로 바뀌면서 디재스터 킥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당시 존 모리슨이 플라잉 척이라는 이름으로 스프링보드 엔즈이기리를 사용했기 때문에 모션이 영 이상하다는 평이 많았으나 나중에는 코디도 모션이 엔즈이기리스럽게 모션이 바뀌면서 악평이 크게 사라지고 멋있는 기술로 바뀌었다. 빅 쇼와 같이 크로스로즈 접수가 거의 불가능한 선수들을 상대할 때, 이 기술로 끝낸다.[7] WWE에서 사용하던 기술로 다리를 걸어서 사용하는 리버스 STO. 미스터 앤더슨의 피니시인 마이크 체크와 동일기이다.[8] 인버티드 피겨 포 레그락. WWE 탈단 후 부터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이 기술로 승리를 가져가는 경우도 있다. 이 기술(피겨 포 레그락)은 코디의 아버지이자 거물급 프로레슬러 겸 흥행사였던 더스티 로즈의 피니시이기도 하다. 샬롯 플레어가 피겨 에잇을 피니시로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맥락.[9] 버터브레이커, 캅킬러와 동일기.[10] 더블 암 파일 드라이버. AEW 시절 쓰던 피니시 기술이다.[11] 초대 챔피언이자 새미 게바라, 워드로우와 함께 최다 획득 챔피언 (3회)[12] 초대 챔피언[13] 스티브 오스틴의 1997 ~ 1998년 연속 우승 후 26년만에 로얄럼블 연속 우승이다.[14] 초창기 및 레거시 해체 이후 사용한 등장 음악[15] 2008년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에서 테드 디비아시 주니어와 월드 태그팀 챔피언이 되고 2009년 3월까지 사용한 등장 음악[16] 2009년 3월부터 5월까지 사용한 등장 음악[17] WWE 더 배쉬 이후부터 레거시 해체까지 사용한 등장 음악[18] 2010년 대싱 기믹으로 활동하면서 사용한 등장 음악[19] 2011년 레이 미스테리오와 대립을 시작하면서 언대싱 기믹으로 활동하면서 사용한 등장 음악[20] 2011년 11월부터 언대싱 기믹을 끝내고 사용한 등장 음악[21] 2013년, 골더스트와 태그팀으로 활동할 당시 사용한 등장 음악[22] 스타더스트 시절 등장 음악[23] 미즈의 테마곡 'I Came to Play'와 돌프 지글러의 테마곡 'I Am Perfection', 'Here to Show the World'를 만든 밴드 다운스테이트가 코디 로즈를 위해 만들어 준 곡으로 2016년 WWE에서 방출된 이후 임팩트 레슬링, ROH, AEW를 비롯한 여러 타 단체에서 사용되었으며 곡의 저작권을 코디 본인이 소유하고 있기에 2022년에 WWE로 복귀하면서도 사용하고 있다.[24] TBS의 경쟁 프로그램 Go-Big Show 시즌 1에 스눕 독과 저지로 출연하면서 잠시동안 사용한 리믹스 버전[25] 2021년 더블 오어 나씽부터 AEW 계약 종료까지 사용한 리믹스 버전[26] 코디 로즈의 테마 'Kingdom'의 인트로 구절. 여기서 왕족은 WWE의 전권을 쥐고 흔들며 선수들과 임원들을 자신의 입맛대로만 굴리며, 프로레슬링을 레슬링이라 부르는 것을 금한데다 레슬러들에게 엔터테인먼트만을 강요하여 링 위에서의 '레슬링'을 거의 사라지게 만들고 결국 자신에게마저도 스타더스트 같은 이상한 기믹만 주고 내쫓아버린 맥마흔 가문을 저격한 것이다. 이 구절은 읽는 방식에 따라 '레슬링에 왕족은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니다.'는 의미로도 해석이 가능한데, 레슬링 업계엔 맥마흔 가문 뿐만이 아닌 자신이 속한 로즈 가문 외에도 게레로 가문, 하트 가문, 오턴 가문 등 수많은 위대한 가문들이 있으며, 맥마흔 가문만이 왕족인 것은 아니다라는 의미이다. 실제로 코디는 레슬매니아 39에 로만 레인즈에게 도전을 선언하면서 이 문구를 언급하였는데 이는 로만이 아노아이 가문 중 한 명이기 때문이다.[27] 더스틴과의 나이 차이는 띠동갑이 넘는 16살 차이로 단 3살 차이인데 작은아버지-조카 관계인 에디 게레로와 차보 게레로와는 완전 대조적이다. 그래도 형제 간에 사이는 꽤 좋다고 한다. 이 때문에 코디 로즈의 별명 중 하나가 '남부의 적자'이다. 초창기 프로레슬링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남부 프로레슬링계인 NWA의 마지막 불꽃이자 훌륭한 인품으로 프로레슬러들에게 존경심을 받았던 더스티 로즈의 아들이자 제자였던 코디 로즈의 입지를 설명하는 별명이다. 이와 반대되는 인물이 루 테즈-킬러 코왈스키의 사제 지간으로 이어진 트리플 H이다.[28] 이와 비슷한 예시로 코디보다 먼저 WWE로 복귀한 드류 맥킨타이어가 있다. 드류 맥킨타이어와 코디 로즈 모두 WWE에서 데뷔 후 퇴사했다가 다시 복귀하여 성공한 선수의 표본이라고도 할 수 있다.[29] 이외에도 버터브레이크나 타이거 드라이버 등을 피니시로 사용한다. 단 타이거 드라이버는 미사와 미츠하루의 더블암 파워봄 쪽이 아니라 더블암 파일드라이버 쪽.[30] 특히 스토리를 배제하고 순수한 실력만으로 증명해야 하는 경기에서 상당히 애매한 모습을 많이 보여줬다.[31] 특히 프로모 실력은 경기력과는 별개로 현 업계에서도 탑클래스라는 팬들의 평가가 있다.[32] 다만 이런 코디의 훌륭한 스토리텔링도 알바들 상대로는 잘 안 먹혔다. 당연하겠지만 코디 혼자서 떠드는 것도 한계가 있었기 때문. 오히려 저지먼트 데이, 그 중에서도 도미닉 상대로 잘 먹힌 편.[33] 원래 본명은 코디 개럿 러널즈이다. 로즈라는 성은 원래 NWA-WCW를 거쳐 WWE에서 상표권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쓸 수 없었던 것.[34] 나머지 한 명은 트리플 H.[35] = Eden Stiles. 스맥다운의 링 아나운서였다.[36] 더스티 로즈는 WWE의 전신인 WWWF에서의 WWWF 타이틀전에서 카운트 아웃으로 승리를 거둬 경기에서 이겼음에도 챔피언 등극엔 실패하였다.[37] 거기다 더스티 로즈는 거의 커리어 말년에 WWE로 건너간 탓에 결국 챔피언십 근처에도 가보지는 못했다. 대신 나름 굵직한 각본을 수행한 적은 있었다.[38] 코디의 발언에 따르면 자신의 법적 성씨는 러널즈-로즈라고 한다.[39] 특히 지금 WWE에서는 로만 레인즈의 왕좌에 도전할 인재가 씨가 마른 상황이라 코디 정도라면 충분히 벨트를 노려볼 만하다. 이미 코디보다 더 위상이 낮은 상태에서 방출되었던 드류 맥킨타이어가 WWE에 재입성해 WWE 챔피언이 되었던 전적이 있다.[40] 심지어 이 인정은 각본이 아닌 레스너의 돌발행동이라 밝혀졌는데 레스너의 진심 리스펙덕분에 코디의 위상이 더욱 올라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41] WWF에서는 터그보트, 타이푼 등의 이름으로 활동했다. 헐크 호건과도 팀을 맺는 등 커리어 자체는 나쁘지 않은 편.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42] 퇴사전에 인디계에서 활동을 많이 한 동료들에게 조언을 구했으며 인디계에서 성공하려고 노력하였다.[43] https://www.google.com/amp/s/www.sportskeeda.com/amp/wwe/what-wwe-star-cody-rhodes-natural-hair-color-1[44] 그래도 각본진은 스타더스트를 슈퍼 히어로, 또는 다크 히어로스러운 면모를 부각시키려고 했고 코디도 만족스러워 했으나 빈스가 그걸 반기지 않았고 결국엔 코디의 새로운 기믹을 골더스트 형제로 만들고야 말았다. 이 때문에 코디로즈의 프로모션에서 다른 과거의 행적(레거시, 대싱, 언대싱)을 지나가다가 스타더스트가 나오는 순간에는 착용했던 부츠를 발로 차버린다(...)[45] 코디 자신도 빈스의 개입으로 내키지 않았던 스타더스트라는 캐릭터를 연기했던 경험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46] 각본상으로는 코디가 로만에게 도전하지 못 하면 드류가 노리고 있는 세스에게 도전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해 코디를 설득한 것이다. 그러나 드류의 멘트가 실제 상황과도 연관되어 있었기 때문에 드류의 멘트는 관중들의 많은 공감을 받았다.[47] 그러나 드류는 5분 뒤, 데미안 프리스트에게 캐싱인을 당해 바로 타이틀을 빼앗긴다.[48] 랜디 역시 레슬러 밥 오턴의 아들[49] 그럴 땐 아쉬운건지 폭죽이 터지는 타이밍에 입폭죽(...)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50] 미국시간 2023년 3월 24일.[51] 일명: 정승사자.[52] 당당하게 영웅적인 모습보다는 자신이 억울한 일을 당한 것에 대한 호소징징처럼 보인다는 게 문제.[53] 대표적으로 MJF와의 대립에서 벨트로 채찍질을 맞는 굴욕의 시련을 겪는 장면이 있다. 영상[54] 어디까지나 국내 팬들 사이에서 호불호나 역반응이 나온다는 것이며 현지에서는 아직도 가장 많은 환호를 받는 선수 중 하나이다.[55] 특히 더스티 로즈를 두고 폴 헤이먼과 설전을 벌였던 프로모는 그야말로 역대급이었다. 그럼에도 대관식이 실패했으니 부모를 팔아도 안되면 도대체 뭘 팔아야하냐는 자조섞인 반응까지 나왔다.[56] 그렇다고 해도 어차피 브록 레스너와 상대 전적 1:1인 이상 결판을 낼 필요는 있는 만큼 3차전을 하는 건 당연한 일이다. 애시당초 1, 2차전은 결과 자체가 애매하게 끝났기도 하고.[57] 권력으로 챔피언에 올랐다든가, 다른 선수들을 불러다가 들러리로 만들었다든가. 잘 모르겠다 싶으면 빈스 맥맨의 사위가 된 이후에 트리플 H가 중요 경기에서 이길 때마다 왜 욕을 먹었는지 생각해보면 된다. 사실 코디는 그 명성과 프로모터 능력이 꽤 뛰어나서 초반 AEW 설립에 가장 큰 공이 있었던 선수였고 당연히 가장 튀는 모습을 보인 것도 코디였다. 물론 AEW에서 코디의 행보를 생각하면 월챔 금지 조항을 억지로 걸지 않고 나중에 코로나 시기에 메인 챔피언 전선에 뛰어드는게 더 나은 행보였거라는 결과로 끝나서 아쉬울 뿐이지만. TNT챔피언십 전선에서 나름 밥값을 한 것도 사실이다.[58] 실제로 당시 그 일이 있었을 때 욕을 먹은 건 트리플 H를 비롯한 임원들이었지 코디가 아니었다. 그리고 당시는 WWE 매각을 위한 각본이 필요했을 테니 어느 정도 모험을 동반하는 코디보다는 나름 욕을 먹어도 시청률은 보장된 로만을 1년 더 기용해 간을 보자는 생각을 임원들이 가지고 있었어도 이상하지 않았다.[59] 더 락의 개입이 알려진 후 첫 TV쇼에서 관중들이 일제히 "We want Cody", "Rocky Suck!"을 번갈아 외쳤다. Rocky suck 챈트를 듣고 지금이 1996년이냐고 묻는 현지 중계진 멘트는 덤.[60] 자신에게 축하 및 경고를 한 더 락에게 누가 멋대로 나와서 이야기를 하라고 했냐며 꽤 강도높은 디스를 했다.[★]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오른쪽이 도전자, 밑줄이 승리자[★]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66] 잠정 AEW TNT 챔피언
인버티드 DDT 자세에서 롤링 커터로 잇는 기술. 과거 테스트가 피니쉬 무브로 사용한 테스트 드라이브와 거의 동일 기술이지만 회전 방향이 다르고 부상 위험도도 적다. 스타더스트로 활동하던 시절엔 퀸즈 크로스보우(Queen's Crossbow)로 명칭을 변경한 바 있다. 애로우의 스티븐 아멜과의 대립을 위한 작명으로 추정된다. WWE를 잠시 떠났을 때는 데미안 프리스트가 레코닝이란 이름으로 또다른 피니쉬 무브로 사용하고 있다.[6] 달려가서 미들로프를 밟은 뒤, 반동으로 점프하여 상대의 머리를 인사이드 킥으로 차는 기술. 맨 처음 이 기술을 사용할 적에는 '대싱' 코디 로즈 시절이었기에 기술 명칭이 뷰티풀 디재스터였으나 후에 언대싱 기믹으로 바뀌면서 디재스터 킥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당시 존 모리슨이 플라잉 척이라는 이름으로 스프링보드 엔즈이기리를 사용했기 때문에 모션이 영 이상하다는 평이 많았으나 나중에는 코디도 모션이 엔즈이기리스럽게 모션이 바뀌면서 악평이 크게 사라지고 멋있는 기술로 바뀌었다. 빅 쇼와 같이 크로스로즈 접수가 거의 불가능한 선수들을 상대할 때, 이 기술로 끝낸다.[7] WWE에서 사용하던 기술로 다리를 걸어서 사용하는 리버스 STO. 미스터 앤더슨의 피니시인 마이크 체크와 동일기이다.[8] 인버티드 피겨 포 레그락. WWE 탈단 후 부터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이 기술로 승리를 가져가는 경우도 있다. 이 기술(피겨 포 레그락)은 코디의 아버지이자 거물급 프로레슬러 겸 흥행사였던 더스티 로즈의 피니시이기도 하다. 샬롯 플레어가 피겨 에잇을 피니시로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맥락.[9] 버터브레이커, 캅킬러와 동일기.[10] 더블 암 파일 드라이버. AEW 시절 쓰던 피니시 기술이다.[11] 초대 챔피언이자 새미 게바라, 워드로우와 함께 최다 획득 챔피언 (3회)[12] 초대 챔피언[13] 스티브 오스틴의 1997 ~ 1998년 연속 우승 후 26년만에 로얄럼블 연속 우승이다.[14] 초창기 및 레거시 해체 이후 사용한 등장 음악[15] 2008년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에서 테드 디비아시 주니어와 월드 태그팀 챔피언이 되고 2009년 3월까지 사용한 등장 음악[16] 2009년 3월부터 5월까지 사용한 등장 음악[17] WWE 더 배쉬 이후부터 레거시 해체까지 사용한 등장 음악[18] 2010년 대싱 기믹으로 활동하면서 사용한 등장 음악[19] 2011년 레이 미스테리오와 대립을 시작하면서 언대싱 기믹으로 활동하면서 사용한 등장 음악[20] 2011년 11월부터 언대싱 기믹을 끝내고 사용한 등장 음악[21] 2013년, 골더스트와 태그팀으로 활동할 당시 사용한 등장 음악[22] 스타더스트 시절 등장 음악[23] 미즈의 테마곡 'I Came to Play'와 돌프 지글러의 테마곡 'I Am Perfection', 'Here to Show the World'를 만든 밴드 다운스테이트가 코디 로즈를 위해 만들어 준 곡으로 2016년 WWE에서 방출된 이후 임팩트 레슬링, ROH, AEW를 비롯한 여러 타 단체에서 사용되었으며 곡의 저작권을 코디 본인이 소유하고 있기에 2022년에 WWE로 복귀하면서도 사용하고 있다.[24] TBS의 경쟁 프로그램 Go-Big Show 시즌 1에 스눕 독과 저지로 출연하면서 잠시동안 사용한 리믹스 버전[25] 2021년 더블 오어 나씽부터 AEW 계약 종료까지 사용한 리믹스 버전[26] 코디 로즈의 테마 'Kingdom'의 인트로 구절. 여기서 왕족은 WWE의 전권을 쥐고 흔들며 선수들과 임원들을 자신의 입맛대로만 굴리며, 프로레슬링을 레슬링이라 부르는 것을 금한데다 레슬러들에게 엔터테인먼트만을 강요하여 링 위에서의 '레슬링'을 거의 사라지게 만들고 결국 자신에게마저도 스타더스트 같은 이상한 기믹만 주고 내쫓아버린 맥마흔 가문을 저격한 것이다. 이 구절은 읽는 방식에 따라 '레슬링에 왕족은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니다.'는 의미로도 해석이 가능한데, 레슬링 업계엔 맥마흔 가문 뿐만이 아닌 자신이 속한 로즈 가문 외에도 게레로 가문, 하트 가문, 오턴 가문 등 수많은 위대한 가문들이 있으며, 맥마흔 가문만이 왕족인 것은 아니다라는 의미이다. 실제로 코디는 레슬매니아 39에 로만 레인즈에게 도전을 선언하면서 이 문구를 언급하였는데 이는 로만이 아노아이 가문 중 한 명이기 때문이다.[27] 더스틴과의 나이 차이는 띠동갑이 넘는 16살 차이로 단 3살 차이인데 작은아버지-조카 관계인 에디 게레로와 차보 게레로와는 완전 대조적이다. 그래도 형제 간에 사이는 꽤 좋다고 한다. 이 때문에 코디 로즈의 별명 중 하나가 '남부의 적자'이다. 초창기 프로레슬링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남부 프로레슬링계인 NWA의 마지막 불꽃이자 훌륭한 인품으로 프로레슬러들에게 존경심을 받았던 더스티 로즈의 아들이자 제자였던 코디 로즈의 입지를 설명하는 별명이다. 이와 반대되는 인물이 루 테즈-킬러 코왈스키의 사제 지간으로 이어진 트리플 H이다.[28] 이와 비슷한 예시로 코디보다 먼저 WWE로 복귀한 드류 맥킨타이어가 있다. 드류 맥킨타이어와 코디 로즈 모두 WWE에서 데뷔 후 퇴사했다가 다시 복귀하여 성공한 선수의 표본이라고도 할 수 있다.[29] 이외에도 버터브레이크나 타이거 드라이버 등을 피니시로 사용한다. 단 타이거 드라이버는 미사와 미츠하루의 더블암 파워봄 쪽이 아니라 더블암 파일드라이버 쪽.[30] 특히 스토리를 배제하고 순수한 실력만으로 증명해야 하는 경기에서 상당히 애매한 모습을 많이 보여줬다.[31] 특히 프로모 실력은 경기력과는 별개로 현 업계에서도 탑클래스라는 팬들의 평가가 있다.[32] 다만 이런 코디의 훌륭한 스토리텔링도 알바들 상대로는 잘 안 먹혔다. 당연하겠지만 코디 혼자서 떠드는 것도 한계가 있었기 때문. 오히려 저지먼트 데이, 그 중에서도 도미닉 상대로 잘 먹힌 편.[33] 원래 본명은 코디 개럿 러널즈이다. 로즈라는 성은 원래 NWA-WCW를 거쳐 WWE에서 상표권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쓸 수 없었던 것.[34] 나머지 한 명은 트리플 H.[35] = Eden Stiles. 스맥다운의 링 아나운서였다.[36] 더스티 로즈는 WWE의 전신인 WWWF에서의 WWWF 타이틀전에서 카운트 아웃으로 승리를 거둬 경기에서 이겼음에도 챔피언 등극엔 실패하였다.[37] 거기다 더스티 로즈는 거의 커리어 말년에 WWE로 건너간 탓에 결국 챔피언십 근처에도 가보지는 못했다. 대신 나름 굵직한 각본을 수행한 적은 있었다.[38] 코디의 발언에 따르면 자신의 법적 성씨는 러널즈-로즈라고 한다.[39] 특히 지금 WWE에서는 로만 레인즈의 왕좌에 도전할 인재가 씨가 마른 상황이라 코디 정도라면 충분히 벨트를 노려볼 만하다. 이미 코디보다 더 위상이 낮은 상태에서 방출되었던 드류 맥킨타이어가 WWE에 재입성해 WWE 챔피언이 되었던 전적이 있다.[40] 심지어 이 인정은 각본이 아닌 레스너의 돌발행동이라 밝혀졌는데 레스너의 진심 리스펙덕분에 코디의 위상이 더욱 올라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41] WWF에서는 터그보트, 타이푼 등의 이름으로 활동했다. 헐크 호건과도 팀을 맺는 등 커리어 자체는 나쁘지 않은 편.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42] 퇴사전에 인디계에서 활동을 많이 한 동료들에게 조언을 구했으며 인디계에서 성공하려고 노력하였다.[43] https://www.google.com/amp/s/www.sportskeeda.com/amp/wwe/what-wwe-star-cody-rhodes-natural-hair-color-1[44] 그래도 각본진은 스타더스트를 슈퍼 히어로, 또는 다크 히어로스러운 면모를 부각시키려고 했고 코디도 만족스러워 했으나 빈스가 그걸 반기지 않았고 결국엔 코디의 새로운 기믹을 골더스트 형제로 만들고야 말았다. 이 때문에 코디로즈의 프로모션에서 다른 과거의 행적(레거시, 대싱, 언대싱)을 지나가다가 스타더스트가 나오는 순간에는 착용했던 부츠를 발로 차버린다(...)[45] 코디 자신도 빈스의 개입으로 내키지 않았던 스타더스트라는 캐릭터를 연기했던 경험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46] 각본상으로는 코디가 로만에게 도전하지 못 하면 드류가 노리고 있는 세스에게 도전할 것이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해 코디를 설득한 것이다. 그러나 드류의 멘트가 실제 상황과도 연관되어 있었기 때문에 드류의 멘트는 관중들의 많은 공감을 받았다.[47] 그러나 드류는 5분 뒤, 데미안 프리스트에게 캐싱인을 당해 바로 타이틀을 빼앗긴다.[48] 랜디 역시 레슬러 밥 오턴의 아들[49] 그럴 땐 아쉬운건지 폭죽이 터지는 타이밍에 입폭죽(...)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50] 미국시간 2023년 3월 24일.[51] 일명: 정승사자.[52] 당당하게 영웅적인 모습보다는 자신이 억울한 일을 당한 것에 대한 호소